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Effects of Nurse Navigators during Transitions from Cancer Screening to the First Treatment Phase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101771

      • 저자
      • 발행사항

        대전: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忠南大學校 大學院 , 간호학과 간호학 전공 , 2019. 2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영어

      • DDC

        610.73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대전

      • 기타서명

        암 조기검진에서 첫 치료 방문 기간 동안의 간호사: 체계적 고찰과 메타분석

      • 형태사항

        108 p.; 26 cm.

      • 일반주기명

        충남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안숙희
        참고문헌 : p. 59-72

      • UCI식별코드

        I804:25009-000000078590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충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Timely access to appropriate healthcare facilities has been known to reduce the incidence and death rates for cancer. To ensure the timely adherence to cancer diagnostic or treatment services, patient navigation program was created and its ...

      Background
      Timely access to appropriate healthcare facilities has been known to reduce the incidence and death rates for cancer. To ensure the timely adherence to cancer diagnostic or treatment services, patient navigation program was created and its implementation was successful. However, controversies still remain until now on who should be playing the role of patient navigators. In addition, despite the phase between screening to the first treatment visit may be the most critical period for most cancer patients to reduce death rates, only one systematic review looked at the effects of patient navigation program during this period.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was to provide the evidence of the effects of nurse-led patient navigation on individuals transitioning from cancer screening to the treatment phase.
      Methods
      The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using eleven electronic databases (PubMed, CINAHL, Cochrane CENTRAL, EMBASE, Web of Science, ScienceDirect, PsycInfo, KoreaMed, KISS, RISS, and DBPIA). Two reviewers independently screened and selected eligible studies, extracted data, and evaluated quality of study designs using appropriate assessment tools. For continuous data, effect sizes were reported with Hedges’s g and 95% confidence interval. Effect sizes for dichotomous data were calculated with relative ratio. Fixed effect model was used if I2 value, a statistical measurement for heterogeneity, was less than 50%. Otherwise, random effect model was used.
      Results
      Nine studies were included in the systematic review, and eight studies were included in the meta-analysis. Three studies were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nd the remaining six studies were non-randomized trials. Overall risk of bias was moderately fair. Nurse-led patient navigation program had favorable effects on reducing waiting times between screening to the first treatment visits (g = -0.359, 95% CI = -0.493 to -0.224), screening to diagnosis (g = -0.260, 95% CI = -0.384 to -0.135), and diagnosis to the first treatment visits (g = -0.249, 95% CI = -0.495 to -0.003). The nurse navigators also increased the rates of access to cancer diagnostic services (RR =1.146, 95% CI = 1.013 to 1.296). However, the effects on anxiety was not favorable to nurse navigators (g = 0.095, 95% CI = -0.144 to 0.334). Study participants from individual studies also reported high satisfaction level to nurse-led patient navigation programs.
      Conclusion
      Nurse navigators had a potential on reducing timeliness of care and increasing adherence rates and satisfaction level to care, but no sufficient evidence was identified on improving psychological outcomes. Further studies with rigorous study designs are needed in identifying the effectiveness of nurse-led navigation programs and the mechanisms of how nurse navigators may enhance psychological outcom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배경 적절한 의료기관에 대한 시기 적절한 접근은 암의 발생률과 사망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환자들이 암 진단이나 치료 서비스를 시기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환자 네비게이...

      배경
      적절한 의료기관에 대한 시기 적절한 접근은 암의 발생률과 사망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환자들이 암 진단이나 치료 서비스를 시기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환자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이 개발되었고, 이 프로그램의 효과는 성공적 이였다. 하지만 환자 네비게이터로써 어떤 직종군의 사람이 가장 적절한가에 대한 논란은 지금까지 계속 되고 있다. 게다가 암 조기검진에서부터 첫 치료 방문 기간이 암환자의 사망률을 줄일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기간일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선행연구 중 이 기간 동안의 환자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고찰한 연구는 단 한 개밖에 없었다.
      목적
      이 체계적 고찰과 메타분석의 목적은 암 조기검진에서부터 첫 치료 방문 기간 동안 간호사가 주도한 환자 네비게이션의 효과에 대한 가장 최신의 근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방법
      문헌 검색은 11개의 전자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PubMed, CINAHL, Cochrane CENTRAL, EMBASE, Web of Science, ScienceDirect, PsycInfo, KoreaMed, KISS, RISS, DBPIA). 두 명의 연구자가 독립적으로 문헌 검색 및 선택과 데이터 추출을 하였고, 적절한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연구설계의 질을 평가하였다. 연속형 변수의 경우 효과 크기는 Hedges’s g와 95% 신뢰구간으로 보고하였고, 이산형 변수의 경우에는 상대위험도를 사용하여 보고하였다. 만일 통계적 이질성을 나타내는 I2 통계량 값이 50% 이상인 경우 고정효과모형을 사용하였다. 이 외의 경우에는 변량효과모형을 사용하였다.
      결과
      체계적 고찰에는 9개의 연구가 포함되었고, 메타분석에는 8개의 연구가 포함되었다. 세개의 연구는 무작위 대조 연구였고, 나머지 6개의 연구는 비무작위 대조 연구였다. 전체적인 연구의 비뚤림은 fair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메타분석 결과 간호사 주도 환자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은 암 조기진단에서 첫 치료 방문까지의 대기기간 (g = -0.359, 95% CI = -0.493 to -0.224), 암 조기진단에서 진단까지의 대기기간 (g = -0.260, 95% CI = -0.384 to -0.135), 진단에서 첫 치료방문까지의 대기기간 (g = -0.249, 95% CI = -0.495 to -0.003)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또한 간호사 네이게이터들은 암 진단 의료서비스의 시기적절한 이용률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RR =1.146, 95% CI = 1.013 to 1.296). 하지만 간호사 네비게이터는 불안에 대한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g = 0.095, 95% CI = -0.144 to 0.334). 개개의 연구 참여자들은 간호사 주도 환자네비게이션 프로그램에 대해 높은 만족도를 보고하였다.
      결론
      간호사 네비게이터는 대기기간을 감소시키고, 시기적절한 암 진단 의료서비스의 이용률을 높이는데 있어 그 가능성을 보여주었지만 불안이나 부정적인 심리적 요인을 감소시키는데 있어서는 충분한 근거를 찾기 어려웠다. 앞으로 간호사 네비게이터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더 엄격한 연구설계를 갖춘 1차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간호사 네비게이터가 암 환자의 부정적인 심리적 요인을 어떻게 감소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방법에 대해 더 알아가야 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INTRODUCTION - 1
      • 1. Background 1
      • 2. Objectives 4
      • II. DEFINITION OF TERMS - 5
      • 1. Patient Navigation - 5
      • I. INTRODUCTION - 1
      • 1. Background 1
      • 2. Objectives 4
      • II. DEFINITION OF TERMS - 5
      • 1. Patient Navigation - 5
      • 2. Nurse-led patient navigation 5
      • 3. Timeliness of care 5
      • III. REVIEW OF LITERATURE - 7
      • 1. Patient navigation 7
      • 2. Patients psychosocial needs across cancer care continuum - 9
      • 3. Role of nurses as navigators - 11
      • 4. Previous systematic reviews on cancer patient navigation 13
      • VI. METHODS - 15
      • 1. Search strategy - 15
      • 2.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 17
      • 3. Selection of studies - 17
      • 4. Data extraction and synthesis - 18
      • 5. Methodological quality assessment 19
      • 6. Statistical analysis 19
      • 7. Heterogeneity assessment - 21
      • 8. Publication bias assessment - 21
      • V. RESULTS - 22
      • 1. Results of the search - 22
      • 2. Characteristics of included studies - 24
      • 2.1 Participants - 24
      • 2.1.1 Transition phase - 24
      • 2.1.2 Cancer types - 24
      • 2.2 Intervention - 25
      • 2.2.1 Nurse navigators: Types and titles 25
      • 2.2.2 Contents 26
      • 2.2.3 Methods 27
      • 2.2.4 Setting 28
      • 2.2.5 Conceptual/theoretical framework - 28
      • 2.2.6 Grants 29
      • 2.3 Comparison - 29
      • 2.4 Outcomes - 30
      • 2.4.1 Timeliness of care 30
      • 2.4.2 Access rates to care services 31
      • 2.4.3 Satisfaction 31
      • 2.4.4 Psychological outcomes - 32
      • 2.5 Study designs - 33
      • 3. Risk of bias 39
      • 4. Risk of publication bias 41
      • 5. Effects of intervention - 41
      • 5.1 Results of meta-analysis 41
      • 5.1.1 Primary outcome: Timeliness of care 41
      • 5.1.1.1 Timeliness of care: from screening to the first treatment visit - 42
      • 5.1.1.2 Timeliness of care: from screening to diagnosis - 43
      • 5.1.1.3 Timeliness of care: from diagnosis to the first treatment visit - 43
      • 5.1.2 Secondary outcome: Access rates to care 45
      • 5.1.3 Secondary outcome: Anxiety 46
      • 5.2 Narrative summary 47
      • 5.2.1 Timeliness of care - 47
      • 5.2.2 Satisfaction 48
      • 5.2.3 Psychological outcomes - 49
      • VI. DISCUSSION 50
      • VII. CONCLUSION 58
      • References - 59
      • Abstract in Korean 7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