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 배제"에 관한 실증연구 = Positive Research on the Social-Exclus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753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두 가지다. 첫째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사회적 배제의 개연성을 과학적·실증적으로 측정·분석하여 밝히는 것이다. 둘째는 그 개연성과 실상의 인과관계를 과학적으로 측정...

      본 연구의 목적은 두 가지다. 첫째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사회적 배제의 개연성을 과학적·실증적으로 측정·분석하여 밝히는 것이다. 둘째는 그 개연성과 실상의 인과관계를 과학적으로 측정·분석 가능한 연구모형을 개발하여 우리 사회내에 존재하고 있는 다른 사회적 배제 집단 또는 계층과 비교할 수 있는 실증연구의 가능성과 함의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1996년 이후 2009년 12월까지 남한사회에 입국한 북한이탈주민 중 서울특별시를 비롯한 광역시·도에 거주하는 만 20세 이상의 215명을 설문조사하여 통계적으로 측정·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독립변수는 사회적 배제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경제적 차원(소득보장, 업무만족도), 복지적 차원(주거환경, 교육기회, 건강차원), 사회관계적 차원(언어이해능력, 사회적 지지, 조직분위기)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종속변수는 사회적 배제유형으로서 경제적 배제, 공간적 배제, 사회관계적 배제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여기에 양측(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상호조절 변수로 북한이탈주민들의 개인적 특성 중성별, 연령, 직업유무를 설정하였다. 가설을 검증한 결과,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 배제에 미치는 영향요인 중 소득보장, 건강, 언어이해능력, 조직분위기는 사회적 배제 유형 중 ``경제적 배제``에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직접적으로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주거환경, 교육기회, 건강, 언어이해능력은 ``공간적 배제``에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직접적으로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언어이해능력은 사회적 배제 유형 중 ``사회관계적 배제``에도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직접적으로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호조절변수의 상호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북한이탈주민의 개인적 특성 중 성별과 연령, 직업유무가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에 각각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유의미하게 조절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일반적인 개연성을 실증적으로 측정·분석할 시험적 연구모델을 제시함으로서 사회적 배제에 처해질 개연성이 높은 북한이탈주민과 다른 집단 및 계층과 비교할 수 있는 실증적인 측정·분석의 가능성을 제공했다는 점과 북한이탈주민들이 ``사회적 배제``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했다는 점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relative influence of factors that affect social-exclus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positively. And secondly, it aims to develop the model to estimate and analyze the multidimensional relationships between factors th...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relative influence of factors that affect social-exclus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positively. And secondly, it aims to develop the model to estimate and analyze the multidimensional relationships between factors that the probability of social-exclusion among North Korean defectors scientifically. In order to,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argeting that North Korean defectors whose age was over twenty years old, who had escaped from North Korean from 1996 to December 2009, and who settled down large urban areas in South Korea including metropolis Seoul. Total number of respondents were 215 male and female. Economical dimension (income guarantee, task satisfaction), dimension of welfare(residential environment, educational opportunity and health) and Social relationship dimension (language comprehensibility, social maintenance and Organization atmosphere) factors that affect social exclusion were included as independent variables. Social exclusion types such as economical-exclusion, spatial-exclusion and social relationship- exclusion were also included as dependent variables. And gender, age and the condition of employment among North Korean defector`s characteristics were included as corelational control variables. According to my hypothesis, economic, welfare, and social relationship factors that affect social-exclus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the social-exclusion types such as economical-exclusion, spatial-exclusion and social relationship exclusion. Especially, income guarantee, language comprehensibility and Organizational atmosphere were found to have a meaningful influence on the economic-exclusion at the economic level. Residential environment, educational opportunity, health, and language comprehensibilit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patial-exclusion. And language comprehensibilit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all of economical, spatial and social relationship-exclusion at the social relationship had a direct significant influence on social relationship-exclusion. According to analysis on the interaction effect of corelational-control variables, gender, age and condition of employment among North Korean defector`s personal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activate meaningful controlling in the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The significant implication of the study findings as follows: The pivotal research model to estimating and analyzing the general probability were suggested and in addition to, possibility of positive estimating analyzing can be compared between other groups, class and North Korean defectors. And importance of social-exclus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should be discuss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안나, "한국의 사회적 배제 실태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사회이론학회 (32) : 227-254, 2007

      2 "통일부"

      3 전우택, "통일 실험, 그 7년" 한울 2010

      4 이금순, "탈북주민의 국내 정착방안 연구" 통일연구원 1996

      5 전우택, "탈북자들의 남한사회 적응과 심리갈등에 대한 이해, In 남북한의 심리적 통합" 2000

      6 제성호, "탈북자 정착지원제도의 실태와 개선방안 -사회적응지원을 중심으로" (3) : 221-247, 2001

      7 박순영, "탈북자 인체측정자료를 이용한 북한의 생물학적 복지 수준에 대한 연구" 한국문화인류학회 35 (35): 101-127, 2002

      8 김병로, "탈북자 발생 배경 분석" 통일한국연구원 (126) : 2-127, 1994

      9 박현선, "탈북자 국내 정착정책의 현황과 발전 방향" 북한연구학회 6 (6): 209-240, 2002

      10 이순형, "탈북인의 사회관계망과 사회적 자본" 학지사 2009

      1 김안나, "한국의 사회적 배제 실태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사회이론학회 (32) : 227-254, 2007

      2 "통일부"

      3 전우택, "통일 실험, 그 7년" 한울 2010

      4 이금순, "탈북주민의 국내 정착방안 연구" 통일연구원 1996

      5 전우택, "탈북자들의 남한사회 적응과 심리갈등에 대한 이해, In 남북한의 심리적 통합" 2000

      6 제성호, "탈북자 정착지원제도의 실태와 개선방안 -사회적응지원을 중심으로" (3) : 221-247, 2001

      7 박순영, "탈북자 인체측정자료를 이용한 북한의 생물학적 복지 수준에 대한 연구" 한국문화인류학회 35 (35): 101-127, 2002

      8 김병로, "탈북자 발생 배경 분석" 통일한국연구원 (126) : 2-127, 1994

      9 박현선, "탈북자 국내 정착정책의 현황과 발전 방향" 북한연구학회 6 (6): 209-240, 2002

      10 이순형, "탈북인의 사회관계망과 사회적 자본" 학지사 2009

      11 김영수, "탈북귀순자 남한사회적응 실태조사" 통일연수원 1996

      12 이순형, "탈북가족의 적응과 심리적 통합"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13 한만길, "탈북 이주자의 남한사회 적응문제와 재사회화 방안" 통일연구원 5 (5): 215-238, 1996

      14 노병일, "취약 지역의 사회적 배제" 다운샘 2006

      15 백영옥, "중국 내 탈북 여성실태와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북한연구학회 6 (6): 241-264, 2002

      16 한반도평화연구원, "제8회 한반도평화포럼-이명박 정부의 새터민 정책 방향모색" 2008

      17 김안나, "유럽연합 사회적 배제개념의 한국적 적용 가능성 연구" 한국유럽학회 25 (25): 351-379, 2007

      18 박정란, "여성새터민의 직업가치와 진로의사결정과정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6

      19 최경자, "새터민학생의 학습 적응력 신장을 위한 교육과정과 모색" 단국대학교 2008

      20 허은영, "새터민청소년을 위한 진로지도 프로그램 개발" 한국기술교육대학교 2009

      21 김안나, "사회통합을 위한 사회적 배제계층 지원방안 연구: 사회적 배제의 역동성 및 다차원성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

      22 강신욱, "사회적 배제의 지표개발 및 적용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

      23 문진영, "사회적 배제의 국가간 비교연구-프랑스, 영국, 스웨덴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56 (56): 253-277, 2004

      24 심창학, "사회적 배제 개념의 의미와 정책적 함의 :비교 관점에서의 프랑스를 중심으로" (44) : 178-208, 2001

      25 심창학, "빈곤문제해결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 사회적 배제 극복정책의 국가별 비교" 한국유럽학회 18 : 209-238, 2004

      26 박윤숙, "북한이탈청소년의 사회적지지 특성과 남한사회 적응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2006

      27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28 임정규, "북한이탈주민의 지원 정책" 대전대학교 대학원 2004

      29 김재영, "북한이탈주민의 적응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교 2004

      30 김병창,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자연살해세포 활성"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7 (47): 481-487, 2008

      31 류지웅,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 배제 연구:소수자의 관점에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06

      32 안혜영,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사회 적응과 사회 복지적 대응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1999

      33 채정민,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내 심리적 문화적응 기제와 적응행태" 고려대학교 2003

      34 박하진, "북한이탈주민의 국내정착을 위한 행정지원체제 연구" 경희대학교 2004

      35 유시은, "북한이탈주민의 경제적 적응 영향요인 분석" 연세대학교 2009

      36 통일연구원, "북한이탈주민문제의 종합적 정책방안 연구" 통일연구원 2000

      37 통일부, "국회 외교통상위원회 현안보고" 2010

      38 Giddens, A., "The Third Way" Policy Press 1998

      39 Bradshaw, J., "The Relationship between Poverty and Social Exclusion in Britain" IARIW 2000

      40 Pierson, J., "Tackling Social Exclusion" Routledge 2001

      41 Converse, Jean M., "Survey Question: Handcrafting the Standardized Questionnaire" Sage Publications 1986

      42 Atkinson, T., "Social Indicators: The EU and Social Inclus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43 Figueiredo, J., "Social Exclusion: An ILO perspective International" Institute for Labor Studies 1998

      44 Kronauer, M., "Social Exclusion and Underclass-New Concepts for the Analysis of Poverty, In Empirical Poverty Research in Comparative" Ashgat 1998

      45 Silver, H., "Social Exclusion and Social Solidarity" 133 (133): 1994

      46 Robinson, P., "Social Exclusion Indicators: A Submission to the Social Exclusion Unit" Institute for Public Policy Research 1998

      47 Paugam, Serge, "Pauvrete et exclusion, In L’excluson, l’etat des savoirs" Editions la decouverte 1996

      48 Burchardt, Tania, "Introduction, In Understanding Social Exclusion" Oxford University Press 1-2, 2002

      49 Room, Graham, "Beyound the threshold: The measurement and Analysis of Social Exclusion" Policy Press 199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2 1.32 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2 1.1 1.848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