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다문화 가정 자녀의 직업인식, 진로대안영역 및 직업포부 = Occupational Perceptions and Zone of Acceptable Alternatives, Occupation Aspiration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564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ow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know about occupation, and to identify zone of acceptable alternatives and occupation aspiration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ased on Gottfredson's The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ow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know about occupation, and to identify zone of acceptable alternatives and occupation aspiration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ased on Gottfredson's The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basic informations for career guidance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Population of his study was school-age children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children from non multi-cultural families. 240 students(120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120 children from non multi-cultural families) were drawn form th population by third stage(hig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4-6 grade), forth stage(middle school students) based on Gottfredson's developmental stage. 221 were used for analysis after data cleaning. The major findings in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ccupational perception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lower than occupational perceptions of children from non multi-cultural families. Second, zone of acceptable alternatives of middle school students grew narrower than zone of acceptable alternatives of hig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rd, level of occupation aspiration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lower than level of occupation aspiration of children from non multi-cultural famil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다문화 가정 자녀들이 직업에 대해 얼마만큼 아는지 직업의 인식수준을 구명하고 또한 Gottfredson의 직업포부 이론에 따라 이들의 진로대안영역 및 직업포부를 구명하고 이와 관련...

      이 연구는 다문화 가정 자녀들이 직업에 대해 얼마만큼 아는지 직업의 인식수준을 구명하고 또한 Gottfredson의 직업포부 이론에 따라 이들의 진로대안영역 및 직업포부를 구명하고 이와 관련있는 변인들과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다문화 가정 자녀들의 진로지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모집단은 학령기의 다문화 가정 자녀와 비교집단인 비 다문화 가정 자녀로 설정하였다. 표집은 Gottfredson의 발달단계에 따라 3단계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4∼6학년), 4단계 중학생을 대상으로, 총 240명을 표집하여 분석에 총 221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이를 통한 주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가정 자녀들의 직업인식은 비 다문화 가정 자녀들에 비해 낮았으며 두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직업이 무슨 일을 하는지에 대해 인식하는 수준의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대안영역은 초등학생보다 중학생의 경우에 진로대안영역이 좁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 가정 자녀의 직업포부 지위수준이 비 다문화 가정 자녀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홍준, "한국 직업지위 지수: 과거와 현재" 한국사회학회 40 (40): 153-186, 2006

      2 姜京贊, "한국 중·고교생의 진로성숙 및 진로포부 관련변인 탐색" 弘益大學校 大學院 1996

      3 김용신, "한국 사회의 다문화교육 지향과 실행 전략"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8 (48): 13-25, 2009

      4 김갑성, "한국 내 다문화가정의 자녀교육 실태조사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5 임은경, "학령기 아동의 직업적 포부의 발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0

      6 유정이, "초등학생 직업포부 및 인식의 발달에 관한 연구" 한국진로교육학회 15 (15): 23-40, 2002

      7 吳仁泳, "청소년의 진로선택과 대중매체와의 관계" 建國大學校 敎育大學院 1995

      8 장의성, "진로취약계층을 위한 직업진로지도 정책" 1-17, 2009

      9 황매향, "진로의사결정에서의 타협과정에 대한 연구동향" 13 (13): 111-124, 2001

      10 진미석, "중학생 진로교육실태 및 요구조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98

      1 유홍준, "한국 직업지위 지수: 과거와 현재" 한국사회학회 40 (40): 153-186, 2006

      2 姜京贊, "한국 중·고교생의 진로성숙 및 진로포부 관련변인 탐색" 弘益大學校 大學院 1996

      3 김용신, "한국 사회의 다문화교육 지향과 실행 전략"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8 (48): 13-25, 2009

      4 김갑성, "한국 내 다문화가정의 자녀교육 실태조사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5 임은경, "학령기 아동의 직업적 포부의 발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0

      6 유정이, "초등학생 직업포부 및 인식의 발달에 관한 연구" 한국진로교육학회 15 (15): 23-40, 2002

      7 吳仁泳, "청소년의 진로선택과 대중매체와의 관계" 建國大學校 敎育大學院 1995

      8 장의성, "진로취약계층을 위한 직업진로지도 정책" 1-17, 2009

      9 황매향, "진로의사결정에서의 타협과정에 대한 연구동향" 13 (13): 111-124, 2001

      10 진미석, "중학생 진로교육실태 및 요구조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98

      11 황매향, "중고등학생의 직업인식 발달연구"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1 (11): 3-12, 2003

      12 姜宗求, "자아개념, 진로의식성숙 및 학업성취도가 직업포부수준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6

      13 김오남, "이주여성의 부부갈등 결정요인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6

      14 행정안전부, "외국이주민통계"

      15 이정미, "아동 및 청소년의 진로포부에 영향을 주는 변인" 13 (13): 101-123, 2000

      16 양계민, "다문화가족 아동·청소년의 발달과정 추적을 위한 종단연구II"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17 박솔지, "다문화가정자녀의 자아존중감과 학습동기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0

      18 김경란, "다문화가정자녀의 자아정체감과 사회적지지가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2006

      19 선상이, "다문화가정에서 어머니와의 관계,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지지가 자녀의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호남대학교 복지행정대학원 2010

      20 신혜정,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아정체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21 서원준, "다문화가정 자녀의 생활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2 전성희, "다문화가정 자녀의 모애착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0

      23 강원일보, "다문화가정 자녀 학교교육 대책 서둘 때(사설)"

      24 이영주, "다문화가정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7

      25 제갈 종기,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학교적응" 신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7

      26 전경숙, "다문화 교육 정책방안 연구" 경기도교육청 2007

      27 교육과학기술부, "다문화 가정 학생 5만명 시대"

      28 권순희, "다문화 가정 자녀의 상담 지도 사례" 국어교육학회 29 (29): 127-174, 2007

      29 윤희원, "다문화 가정 자녀 교육의 현황과 과제" 49 : 17-22, 2007

      30 조영달, "다문화 가정 자녀 교육 실태조사" 교육인적자원부 2006

      31 곽금주, "다문화 가정 아동의 발달과 적응: 다문화 가정에서의 부모-자녀간 상호작용 패턴과 그 효과를 중심으로" 2008

      32 이아라, "남녀 학업 우수 청소년의 진로장벽, 학업 효능감 및 진로 포부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33 임경혜, "국제결혼 사례별로 나타난 가족문제에 따른 사회복지적 대책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4

      34 오성배, "국제결혼 가정 자녀의 교육환경과 문제" 22 : 186-213, 2007

      35 이남철, "국제결혼 가정 및 외국인 근로자 자녀의 인재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9

      36 임은미, "국내 다문화 연구화 다문화 상담 연구의 현황" 한국상담학회 10 (10): 1291-1304, 2009

      37 吳鉉根, "中學校 學生들의 職業 및 敎育抱負決定의 關聯 變因에 관한 연구" 崇實大學校 産業大學院 1990

      38 Miller, M. J., "Which occupational environments do Black youths prefer? Extending Holland’s typology" 36 : 103-106, 1988

      39 Catsambis, S., "The path to math: Gender and racial-ethnic differences in mathematics participation from middle school to high school" 67 : 199-215, 1994

      40 Trice, A.D., "The origins of children's career aspirations: IV. Testing hypotheses from four theories" 43 : 307-322, 1995

      41 Schulenberg, J. E., "The influence of the family on vocational development" 46 (46): 129-143, 1989

      42 Schulenberg, J. E., "The influence of the family on vocational development" 46 : 129-143, 1984

      43 Seligman, L., "The career development of 10 year olds" 25 : 172-181, 1991

      44 Hannah, J. S., "The Relationship of Socioeconomic Status and Gender to the Occupational Choices of Grade 12 Students" 34 (34): 161-178, 1989

      45 Swell, W., "The Educational and early occupational attainment process" 34 : 82-92, 1969

      46 Leung, S. A., "The Career and educational aspirational of gifted high school students: A retrospective study" 72 : 298-303, 1994

      47 Trice, A. D., "Stability of children's career aspirations" 152 : 137-139, 1991

      48 Bandura, 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Prentice-Hall 1986

      49 Albercht, S. L., "Social class and sex-stereotyping of occupations" 9 : 321-328, 1976

      50 Bandura, 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84 : 191-215, 1977

      51 Noble, A, J., "Relations of career and academic self-efficacy to the career aspirations and academic achievement of ninth and tenth grade at risk students" 1992

      52 Nelson, R. C., "Knowledge and interests concerning sixteen occupations among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 23 : 731-754, 1963

      53 Smith, E. J., "Issues in racial minorities’ career behavior, In Handbook of vocational psychology (Vol. 1: Foundations)" Lawrence Erlbaum 161-222, 1983

      54 Leung, S. A., "Individual and sex differences in the zone of acceptable alternatives" 37 (37): 153-159, 1990

      55 Wall, J., "Implications of social supports for adoloscents' education and career aspirations" 31 (31): 63-71, 1999

      56 Lucas, M. S., "Identity development, career development, and psychological separation from parent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44 : 123-132, 1997

      57 Gottfredson, L. S., "Gottfredson’ theory of circumscription and compromise, In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3rd ed.)" Jossey-Bass 179-232, 1996

      58 이성식, "Gottfredson 이론에 기초한 고등학교 학생의 진로대안영역과 직업포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59 Simmons, R. G, "Functions of children's perceptions of the stratification system" 36 : 235-249, 1971

      60 Hill, N. E., "Early adolescents' career aspirations: A qualitative study of perceived barriers and family support among low-income, ethnically diverse adolescents" 24 (24): 934-959, 2003

      61 Gottfredson, L., "Circumspection and compromise: A developmental theory of occupational aspirations" 28 : 545-580, 1981

      62 Leung, S. A., "Circumscription and compromise: A replication study with asian americans" 40 (40): 188-193, 1993

      63 Lapan, R. T., "Circumscribing vocational aspirations in junior high school" 39 (39): 81-90, 1992

      64 Goldstein, B., "Children and work: A study of socialization" Transection Books 1979

      65 Goldstein, B., "Children and work: A study of socialization" Transection Books 1979

      66 O'Brien, K. M., "Causal model of the career orientation and career choice of adolescent women" 40 : 456-469, 1993

      67 Phipps, B. J., "Career dreams of preadolescent students" 22 (22): 19-32, 1995

      68 Gati, I., "Career compromises" 40 : 416-424, 1993

      69 Betz, N. E., "Basic issues and concepts in career counseling for women. Career counseling for women" Erlbaum 1994

      70 McWhirter, E. H., "A causal model of the educational plans and career expectations of Mexican American high school girls" 45 : 166-181, 1998

      71 출입국 외국인정책본부, "2011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연보"

      72 법무부, "2011 외국인정책 관계부처 합동설명회 자료집" 법무부·행정안전부·고용노동부·여성가족부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15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실과교육학회지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5 0.97 1.367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