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국내 조난 야생동물의 감염병 보균자로서의 잠재성 조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7768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야생동물로부터 유래되는 감염병이 공중보건학적으로 주된 위협이 되고 있다. 야생동물들이 감염병의 보균자로서의 역할에 대한 인지나 위험성은 증가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연구나 이를 ...

      야생동물로부터 유래되는 감염병이 공중보건학적으로 주된 위협이 되고 있다. 야생동물들이 감염병의 보균자로서의 역할에 대한 인지나 위험성은 증가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연구나 이를 감시하기 위한 기법 혹은 체계는 만들어져 있지 않다. 감시가 필요한 감염병의 수가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이들 각각을 모두 검사하는 데는 높은 비용, 많은 시간 그리고 대용량의 샘플이 필요하다. 대용량 고효율 pPCR 플랫폼은 많은 수의 감염병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이 연구는 대용량 고효율 플랫폼을 적용하여 야생동물 구조센터로 구조된 야생동물이 가지고 있는 감염병에 대해서 조사한 것이다.
      전북야생동물구조센터에 2018년부터 2019년에 구조된 야생동물 중 혈액 및 기관, 폐, 대장(분변), 비장에 대하여 시료를 채취하였다. 총 121 마리의 환자에 대한 시료가 채취되었으면 그 중 조류는 55마리, 포유류는 66마리였다. 각 환자의 sample은 하나로 합친 후 DNA와 RNA를 동시에 추출하였다. 진단에 사용한 플랫폼은 19 종류의 병원체를 2번씩 검사하도록 제작되었고 한번에 48개의 샘플을 검사할 수 있게 하였다. 병원체가 검출된 검체에 대해서는 각각의 혈액과 기관에 대해 singleplex qPCR을 진행하여 어떤 혈액 혹은 기관에서 병원체가 검출된 것인지 확인하였다.
      대용량 고효율 qPCR 플랫폼을 이용한 결과에서 Campylobacter jejuni, Campylobacter coli, Mycoplasma spp., Plasmodium spp. 총 4가지 병원체에서 양성이 나왔다. 각각 병원체의 유병률은Campylobacter jejuni (10/121, 8.3%), Campylobacter coli (1/121, 0.8%). Mycoplasma spp. (78/121, 64.5%) and Plasmodium spp. (15/121, 12.4 %)이었다. Singleplex qPCR을 통해서는 대부분 병원체는 대장(분변)에서 많이 검출되었음을 보였으며 특히 Campylobacter spp. 인경우엔 양성인 개체 모두 대장에서 병원체가 검출되었다.
      이 연구는 구조 야생동물이 감염병 보균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위험성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fectious disease derived from wild animals is a major threat to public health. While the risk of the role of wildlife as a reservoir of infectious disease is increasing, effective and efficient systems for monitoring for infectious disease have not ...

      Infectious disease derived from wild animals is a major threat to public health. While the risk of the role of wildlife as a reservoir of infectious disease is increasing, effective and efficient systems for monitoring for infectious disease have not been developed yet in Korea. The surveillance of wildlife-mediated infectious diseases is challenging because of high cost, long turnaround time and large sample volume. High-throughput real-time PCR (qPCR) platform can be a simple alternative for detecting pathogens in large numbers of samples. This is a pilot study to survey on the potential of rescued wild animals as reservoirs of infectious disease based on the high-throughput qPCR platform in the Republic of Korea. From 2018 to 2019, blood and tissue samples (trachea, lung, large intestine [including stool] and spleen) collected from wildlife rescued by the Jeonbuk wildlife center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 total of 121 patients consisting of 55 birds and 66 mammals were included. The high-throughput qPCR platform was designed to diagnose 19 pathogens in duplicate against 48 samples simultaneously. Each tissue or blood was grinded and mixed one and then, total nucleic acid isolated from each tissue or blood simultaneous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amples were positive to Campylobacter jejuni (10/121, 8.3%), Campylobacter coli (1/121, 0.8%). Mycoplasma spp. (78/121, 64.5%) and Plasmodium spp. (15/121, 12.4 %). Singleplex qPCR confirmed that most pathogens were detected in the large intestine (including stool) and especially Campylobacter spp. was detected 100 % in the large intestine. This study suggested that wild animals have potential as infectious disease reservoirs. In a further study, phylogenetic analysis of each pathogen will be conducted to confirm relationship between wild animals and oth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Contents i
      • List of Figures ii
      • List of Tables iii
      • Abstract iv
      • Introduction 1
      • Contents i
      • List of Figures ii
      • List of Tables iii
      • Abstract iv
      • Introduction 1
      • Materials and methods 3
      • Results 9
      • Discussion 20
      • Bibliography 24
      • Abstract in Korean 3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