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Studies on the Anti - aging Action of Korean Ginse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737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홍삼(紅蔘)사포닌 가수분해물(加水分解物)의 항산화작용(抗酸化作用)에 의한 노화억제작용(老化抑制作用)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홍삼(紅蔘)사포닌을 가수분해(加水分解)하여 얻은 prosapog...

      홍삼(紅蔘)사포닌 가수분해물(加水分解物)의 항산화작용(抗酸化作用)에 의한 노화억제작용(老化抑制作用)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홍삼(紅蔘)사포닌을 가수분해(加水分解)하여 얻은 prosapogenin, panaxadiol 및 panaxatriol을 시료(試料)로 하여 in vitro 및 in vivo 실험(實驗)을 통하여 이들 가수분해물(加水分解物)들의 생체(生體) 과산화지질생성(過酸化脂質生成)에 미치는 억제효과(抑制效果)를 비교(比較)하였다. DPPH에 대한 전자공여능(電子供與能)(EDA)은 $13.88{\sim}19.76%$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in vitro에서 과산화지질생성(過酸化脂質生成) 억제효과(抑制效果)는 현저하였으며 그 순서는 prosapogenin>panaxatriol>panacadiol이었다. POV에 의한 유효기간(誘導期間)은 이들 가수분해물(加水分解物) 홍삼(紅蔘)사포닌보다 훨씬 높았으며 prosaposenin>panaxatriol>panaxadiol의 순이었다. in vivo에서 복강(復腔)(i. p.) 및 경구(經口)(p.o.) 투여(投與)에 의한 생체내(生體內) 과산화지질생성(過酸化脂質生成) 억제효과(抑制效果)는 대조군(對照群)에 비(比)해 훨씬 효과적(效果的)이었으며, 홍삼(紅蔘)사포닌과 비교(比較)했을 때 간장(肝臟)과 신장(腎臟)에는 거의 비슷한 효과(效果)를 나타냈지만 혈액(血液)에서는 이들 가수분해물(加水分解物)이 홍삼(紅蔘)사포닌보다 훨씬 효과적(效果的)이었다. 효소활성(酵素活性)으로서 superoxide dismutase 활성(活性)을 in vitro에서 비교해 보면 이들 가수분해물(加水分解物)이 $24.2{\sim}36.4%$의 과산화지질생성(過酸化脂質生成) 억제효과(抑制效果)를 나타내고 있어, 홍삼(紅蔘)사포닌의 12.1%보다 $2{\sim}3$ 배(倍)의 효과(效果)를 나타내고 있었고, in vivo에서는 복강(復腔)(i. p.) 투여(投與)에서는 $12.9{\sim}22.2%$. 경구(經口)(p.o.) 투여(投與)에서는 $11.2{\sim}21.6%$의 높은 활성(活性)을 나타내고 있었다. 단 peroxidase 활성(活性)은 복강(復腔)(i. p.) 투여(投與)에서는 $129.0{\sim}188.6%$, 경구(經口)(p. o.) 투여(投與)에서는 $111.4{\sim}139.6%$의 활성(活性)을 나타내고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inhibitory effects of red-ginseng saponin hydrolyzates (prosapogenin, panaxadiol and panaxatriol) on lipoperoxide formation in vitro and in vivo were investigated and correlated with anti-aging. Saponin hydrolyzates showed the electron-donating ab...

      The inhibitory effects of red-ginseng saponin hydrolyzates (prosapogenin, panaxadiol and panaxatriol) on lipoperoxide formation in vitro and in vivo were investigated and correlated with anti-aging. Saponin hydrolyzates showed the electron-donating ability (EDA) of 12.88 - 19.76% to DPPH in vitro, and the ability was distinctively decreased in order of prosapogenin, panaxatriol and panaxadiol. The induction period of saponin hydrolyzates, which was measured by the method of peroxide value (POV), was much longer than red-ginseng saponin and decreased in order of prosapogenin, panaxatriol and panaxadiol. The inhibitory effect of saponin, hydrolyzates in vivo was remarkably greater than control. In contrast to red-ginseng saponin, almost similar inhibitory effect in rat liver and kidney was observed, whereas they were much more effective than red-ginseng saponin in blood. The superoxide dismutase (SOD) activity of saponin hydrolyzates in vitro was also measured, and the inhibitory effect of saponin hydrolyzates was found to be 24.2-36.4% and 2-3 times greater than that of red-ginseng saponin (12.1%). Saponin hydrolyzates showed the inhibitory effects of 11.2-21.6% and 12.9-22.2% in oral and intraperitioneal administrations, respectively. It was also found from the measurement of peroxidase activity that the inhibitory effects of saponin hydrolyzates were 111.4-139.6% in oral administration and 129.0-188.6% in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