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구지역의 대기오염도 특성평가(I)  :  지역별 및 계절별 농도변동을 중심으로 Locational and Seasonal variations = Characteristics of Ambient Air Quality in Taegu Area(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21024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구지방환경관리청과 유관기관 등에서 과거 7년간(1988~1994년) 측정한 대기질 관련자료중 아황산가스, 분진, 일산화탄소, 질소산화물 및 오존을 대상으로 통계분석하여 각기 배출...

      본 연구는 대구지방환경관리청과 유관기관 등에서 과거 7년간(1988~1994년) 측정한 대기질 관련자료중 아황산가스, 분진, 일산화탄소, 질소산화물 및 오존을 대상으로 통계분석하여 각기 배출강도가 다른 지역별 농도분포 특성을 평가하였고 대구지역의 전반적인 대기질 변화추이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각 지점별 아황산가스의 농도는 전형적인 동고하저형을 나타내었으며, 도시가스공급과 황함량규제등 연료변환 정책의 효과로 인해 점차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부유분진은 결측치가 많아 장기적인 농도변화추이를 판단하기는 어려웠으나 아황산가스와 같이 큰 계절적인 변동은 보이지 않았다. 질소산화물의 전반적인 농도분포는 장기 환경기준치 50ppb를 초과하지 않는 수준이었으나 최근엔 이동배출원의 영향이 가중되어 그 농도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인 반면 동고하저형의 계절적인 변동을 나타내는 일산화탄소는 가정용 무연탄 사용량의 감소로 대기중 일산화탄소의 농도는 점점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오존은 전반적으로 일사량이 많은 하절기에 농도가 높았고 동절기에는 농도가 낮은 경향을 보였다. 한편 주요 대기오염물질의 장·단기 기준달성도를 비교분석한 결과 대구지역의 대기오염물질중 아황산가스의 고농도 발생빈도는 공업지역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질소산화물과 일산화탄소는 아직은 장·단기 환경기준을 초과하지 않는 수준으로 나타났고, 분진과 오존의 경우는 공업지역 뿐만 아니라 전지역에서 그 발생빈도가 유사하게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al patterns of the concentrations of air pollutants in Taegu area were evaluated using a data-base established from the ambient air quality monitoring stations for the period of 1989 to 1994. The result o...

      In this study,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al patterns of the concentrations of air pollutants in Taegu area were evaluated using a data-base established from the ambient air quality monitoring stations for the period of 1989 to 1994. The result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in each sampling site, the SO_2 concentrations were much higher in winter than those in summer. However, a decreasing tendency was clearly shown in the annual variation of SO_2 concentrations, largely due to the use of LPG instead of anthracite coal for local heating systems and to the fuel policy of using lower sulfur content fuel in industrial sectors. Unlike SO_2, there was no distinct seasonal variation in the concentrations of suspended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s of NO_x were found to be generally lower than the long term ambient air quality standard (50 ppb). The NO_x concentration has been gradually increased, reflecting the rapidly increased number of vehicles In this area, while the CO levels In ambient air were declind because of the reduced use of coal for domestic purposes. The Ozone concentrations in Taegu area exhibited that there has been already photochemical smog phenomena during the summer season when the insolation is stro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 론
      • 2 . 자료조사 및 방법
      • 2.1 대기오염도 자료
      • 2.2 측정 기기 및 측정방법
      • 3 . 결과 및 고찰
      • 1. 서 론
      • 2 . 자료조사 및 방법
      • 2.1 대기오염도 자료
      • 2.2 측정 기기 및 측정방법
      • 3 . 결과 및 고찰
      • 3.1 아황산가스
      • 3.2 부유분진
      • 3.3 질소산화물
      • 3.4 일산화탄소
      • 3.5 오존
      • 3.6 환경기준 초과일수 분석
      • 4 . 결 론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