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해양조사 장비를 활용한 시화방조제 주변해역의 수심분포 조사 = Water depth study of distribution of Sihwa dyke surrounding waters utilizing marine survey equip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6209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시화방조제 전면해상의 수심 및 지층탐사, 조류관측, 해저저질 조사를 통하여 연구해역의 해수특성과 해수유동 변화를 연구하였다. 수심 및 위치를 조사하기 위하여 가장 널리 사용되는 다...

      시화방조제 전면해상의 수심 및 지층탐사, 조류관측, 해저저질 조사를 통하여 연구해역의 해수특성과 해수유동 변화를 연구하였다. 수심 및 위치를 조사하기 위하여 가장 널리 사용되는 다중빔 음향측심기를 이용하여 취득된 자료를 처리했다. 지층탐사조사를 통해 퇴적층의 두께 및 지층의 구조를 해석하는 탄성파 탐사를 실시하여 퇴적량을 산출하였고, 해저저질 성분을 탄성파 탐사와 비교하기 위하여 Grab Sampler 이용한 저질 조사를 실시하였다. 다중빔 음향측심기에서 취득된 이상 물체를 해저면 영상탐사를 통해 형상과 종류를 파악하였고, 층별 유속관측으로 조력발전 가동시와 비가동시를 관측 조사하였다.
      시화방조제 전면해상의 수심은 전반적으로 EL(-)1.8 ∼ 41.5m의 분포로 나타났다. 준설구간과 미준설구간으로 구분이 되며, 준설구간은 평탄한 해저지형을 형성하고 있고, 실험 해역에서 필요로 하는 계획수심이 있어 다양한 수심을 나타났다. 발전소 수문 앞의 중앙부 수로는 북서방향으로 길게 나타나며, 경사가 급하였다가 북방향으로 갈수록 완만한 경사를 보였다. 또한 서측에서 동측으로 갈수록 수심이 얕아지는 양상을 보였다.
      수문의 영향을 많이 받는 곳은 조립질 퇴적입자가 우세하였고, LNG기지 해역은 세립질의 니질 퇴적물이 우세하였다.
      시화방조제 인근해역 수심 측량 부분에 관련된 자료들이 많이 부족하여 분석하는데 어려움이 많았다. 이 연구를 통하여 시화방조제 전면해상의 해수유동 변화 데이터를 확보하고자 하며 장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보다 양질의 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researches seawater characteristic and changes of seawater flow through surveys on depth and bottom materials as well as sub-bottom exploration and tidal current observation of the front ocean of the Sihwa dyke. To research the depth and lo...

      This paper researches seawater characteristic and changes of seawater flow through surveys on depth and bottom materials as well as sub-bottom exploration and tidal current observation of the front ocean of the Sihwa dyke. To research the depth and location, the acquired materials were treated with multi-beam eco-sounder that is widely used. The seismic survey that interprets the thickness of the sedimentary layer and structure of strata via Sub-bottom survey was conducted to calculate the volume of sedimentation. Also, the bottom materials survey using Grab Sampler was performed to compare characters of bottom materials with seismic profiling. The seafloor image survey identified the form and kinds of abnormal subject acquired from multi-beam eco sounder and the flow rate observation by layer investigated the cases when the tidal power is generated and not generated.
      The depth of sea near Sihwa dyke ranges from EL(-)1.8 to 41.5m generally. It is discrete with Dredged Section and Non-Dredged Section: The Dredged Section forms flat topology of the seafloor and various ranges of the depth are seen in the planned depth needed for the test ocean. The central waterway in front of the water gate of the tidal power plant is long from the north to the west and the slope is sharp and becomes gentle as it goes to the northern directions. In addition, the depth is getting shallower as the waters goes from the west to the east.
      Coarse depositing particles are dominant in the part that gets high influence of the water gate and fine textured mud is in the waters of LNG Station.
      It was difficult to analyze the depth of the sea neighboring Sihwa dyke due to shortages in relevant materials. This research has tried to acquire the data regarding seawater circulation changes in the front ocean of the Sihwa dyke and conducted to secure much qualified materials via long term monitor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서론 1
      • 1.조사지개황 1
      • Ⅱ.재료 및 방법 4
      • 1.다중빔음향측심기 4
      • 2.지층탐사조사 14
      • Ⅰ.서론 1
      • 1.조사지개황 1
      • Ⅱ.재료 및 방법 4
      • 1.다중빔음향측심기 4
      • 2.지층탐사조사 14
      • 3.해저면영상조사 19
      • 4.층별유속조류관측 조사 22
      • 5.해저질 조사 23
      • Ⅲ.실험결과 27
      • 1.다중빔음향측심기 결과 27
      • 2.지층탐사 결과 30
      • 3.해저면 영상탐사 결과 38
      • 4.층별유속조류관측 결과 41
      • 5.해저질조사 결과 46
      • Ⅳ.결론 5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