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훔멜의 비올라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E♭장조 Op.5 No.3 작품분석 = Analysis of J.N.Hummel's Viola and Piano Sonata Op.5 No.3 in E♭ Majo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066481

      • 저자
      • 발행사항

        춘천 :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강원대학교 대학원 , 음악학과 , 2019. 2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671.52 판사항(6)

      • 발행국(도시)

        강원특별자치도

      • 형태사항

        57 L. : 삽도 ; 30 cm

      • 일반주기명

        강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성경주
        참고문헌 : :L.52-53

      • UCI식별코드

        I804:42002-000000030172

      • 소장기관
        • 강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고전주의를 대표하는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였으며 교육자로 활동한 훔멜(Johann Nepomuk Hummel, 1778-1837)의 비올라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E♭장조 Op.5 No.3의 작품 분석이다. 훔멜의 ...

      본 논문은 고전주의를 대표하는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였으며 교육자로 활동한 훔멜(Johann Nepomuk Hummel, 1778-1837)의 비올라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E♭장조 Op.5 No.3의 작품 분석이다. 훔멜의 생애와 업적에 대해 알아보고 훔멜의 비올라 소나타 Op.5 No.3의 악곡을 분석하여 작곡가의 음악적 특징을 파악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일반적인 소나타보다 훔멜의 소나타는 4마디 이상의 악구가 많아 선율선의 호흡이 길다.
      둘째, 알베르티 베이스 반주가 자주 사용된다. 알베르티 베이스란 화음을 펼쳐 만든 반주형태를 말하는데, 모차르트나 베토벤이 자주 사용하였다.
      셋째, 부점리듬이 매우 자주 사용되었다. 넷째, 훔멜의 비올라 소나타 1악장은 소나타 형식이고, 2악장은 3부형식이며 3악장은 론도 형식인데 이 모두 고전주의적 형식을 따르기는 하지만 정형화된 형식 그대로가 아닌 부분적인 변화를 보이는 특징을 갖는다.
      각 악장의 주요 특징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1악장은 알레그로 모데라토 (Allegro Moderato)악장으로 서주부, 제시부, 발전부, 재현부, 후주부로 구분되며 발전부의 모티브는 피아노 파트가 발전부를 발전시키는데 많은 역할을 한다. 2악장은 아다지오 칸타빌레 (Adagio cantabile)악장으로 3부형식이다. 느리고 서정적인 선율이 강조된 악장이다. 3악장은 론도 콘 모토 (Rondo con moto)악장으로 론도형식의 악장이다. 구성은 A→B→A→C→B′→D로 나누어진다. 전형적인 론도형식과는 좀 다른 형태의 형식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an analysis for Hummel′s Sonata for Piano and Viola E♭Major Op.5 No.3. Hummel (1778-18837) is a pianist, composer and educator representing classicalism. After searching for Hummel's life and achievements, I analyzed the musical char...

      This paper is an analysis for Hummel′s Sonata for Piano and Viola E♭Major Op.5 No.3. Hummel (1778-18837) is a pianist, composer and educator representing classicalism. After searching for Hummel's life and achievements, I analyzed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Hummel's viola Sonata Op.5 No.3. First of all, there are long phrases in his music. Generally a phrase made by four bars. However his musical phrases consist on more than four bars. Second, the Alberti bass accompaniment is often used which could see the music by Mozart or Beethoven. Third, dotted rhythm has been used very often.Fourth, all three movements followed the classical form. However the form has been changed partly. The main characteristics of each movement are as followings. The first movement is Allegro Moderato, which is divided into Introduction, Exposition, Development, Recapitulation, Coda. The piano has strong power to develop the part of Development.The second movement is called Adagio Cantabile. The form is the Tenery form. This movement is focused on lyrical melody. The third movement is the Rondo Concerto, which is the style of the Rondo. The composition is divided into A→B→A→C→B′→D. It's a slightly different form from the typical Rondo.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Ⅰ. 서 론 ····································································· 1
      • 목 차
      • Ⅰ. 서 론 ····································································· 1
      • Ⅱ. Hummel의 생애 ·························································· 3
      • Ⅲ. Viola Sonata에 나타난 Hummel의 음악적 특징 ···················· 7
      • Ⅳ. Johann Nepomuk Hummel Viola Sonata Op.5 No.3
      • in E♭Major 의 분석 10
      • 1. 제 1악장 ······························································· 10
      • 2. 제 2악장 ······························································· 27
      • 3. 제 3악장 ······························································· 34
      • Ⅴ. 결 론 ···································································· 50
      • ·참고문헌 ·································································· 52
      • ·국문초록 ·································································· 54
      • ․Abstract ·································································· 5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