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한문법(大韓文法)(1908)』 격 체계 분석 연구 - 후사(後詞)와 격 어미를 중심으로 = A Study of 『Daehanmunbeop(1908)』 Postposition System Title - Focused on “Husas” and “Case ending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183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고는 근대 태동기 국어 문법서인 김규식 『大韓文法(1908)』의 격 체계에서 드러나는 국어 문법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근대 태동기 이전에 발간된 서양인...

      본 고는 근대 태동기 국어 문법서인 김규식 『大韓文法(1908)』의 격 체계에서 드러나는 국어 문법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근대 태동기 이전에 발간된 서양인의 한국어 문법서의 격 체계 전개 과정 및 『大韓文法(1908)』과 비슷한 시기에 발간된 유길준 『大韓文典(1909)』와 주시경 『國語文法(1910)』의 격 체계, 일본의 한국어 학습서의 격 체계 양상을 배경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김규식(1908)은 Underwood(1890)의 후치사 단독 체계를 비판하고, 명사 곡용론을 바탕으로 하여 격 체계를 크게 후치사에 해당하는 ‘후사(後詞)’와 ‘격 어미’로 양분하였다. 즉, 김규식 『大韓文法(1908)』의 격 체계는 Dallet(1874)에서 시작해 Ridel(1881)과 Scott(1887)으로 이어지는 격의 양분 체계를 따른 것이라 볼 수 있다. ‘후사(後詞)’는 그 의미에 따라 총 12개로 하위 분류하여 후사의 종류가 많다. 이 중, 격치 후사, 물질 후사, 연유 후사 등은 격 어미와 중복되어 그 구분이 다소 모호하며, Underwood(1890) 의 후치사와 일치하는 것이 많았다.
      ‘격 어미’는 주격·소유격·목적격·지명격·원인격 총 5 격으로 나누었다. 김규식이 격체계를 양분한 이유 중 하나는 주격과 목적격의 경우, 오롯이 선행 명사의 격을 나타내는 통사적 기능만 있으므로 ‘후사(後詞)’로 볼 수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때, 순수하게 문법적 기능만 담당하는 격 표지는 주격과 목적격뿐이라는 관점은 주시경(1910)과 일치 한다. 또한 ‘와/과’에 대한 의미 기능 서술에서도 주시경(1910)과 공통된 관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한편, 주격 어미나 목적격 어미, 원인격 어미에서 선행 명사에 따른 이형태를 모두 제시하였는데, 이러한 기술은 주로 서양이나 일본의 한국어 학습서에서 나타난다. 반면에 한국어학에 학문적 깊이가 깊은 일본인의 문법서나 유길준(1906, 1909), 주시경(1910)에서는 선행 명사의 받침 유무에 따라 나타나는 두 가지 형태만을 제시하였다. 김규식(1908)의 이와 같은 격 어미 형태 제시는 Underwood 문법관의 영향과 국어를 하나의 언어 체계로서 객관적인 관점에서 바라본 데서 기인한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erceptions of Korean grammar found in the case system in Kim Gyu-shik’s Daehanmun -beop(1908), a grammar book of Korean published during the early days of modern times. For this purpose, the investigator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erceptions of Korean grammar found in the case system in Kim Gyu-shik’s Daehanmun -beop(1908), a grammar book of Korean published during the early days of modern times. For this purpose, the investigator analyzed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case system in Korean grammar books published by Western people during the early days of modern times, the case system in Yu Gil-jun’s Daehanmunjeon(1909) and Ju Si-gyeong’s Gukeomunbeop(1910) published around the time when Daehanmunbeop(1908) was published, and the patterns of case system in learning materials for Korean published by Japanese people.
      Kim Gyu-shik(1908) criticized the system of single postpositions of Underwood(1890) and divided the case system into “Husas” referring to postpositions and “case endings” based on the nominal declination theory. That is, his case system in Daehanmunbeop(1908) followed the system of dividing cases into two groups that began with Dallet(1874) and led to Ridel(1881) and Scott(1887). There are total 12 subcategories of “Husas” according to their meanings. Of these many types, Gyeokchi, material, and reason Husas overlap with case endings, which makes their separation from case endings rather ambiguous. They matched postpositions by Underwood(1890) in many cases, as well.
      “Case endings” are divided into total five groups of subjective, possessive, objective, place name, and cause cases. One of the reasons why Kim Gyu-shik divided the case system into two parts was that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cases only had a syntactic function of representing the case of the preceding noun and could thus be considered as no “Husas.” He believed that only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cases were considered as case markers performing a purely grammatical function just like Ju Si-gyeong(1910). He also shared a viewpoint with him in his description of the semantic functions of ‘와/과.’
      He also provided all the allomorphs according to preceding nouns in subjective, objective, and cause endings, and this way of description was usually found in Western or Japanese learning materials for Korean. There were only two forms, on the other hand, provided according to final consonants of preceding nouns in grammar books written by Japanese people with profound academic depth in Korean studies and in those by Yu Gil-jun(1906, 1909) and Ju Si-gyeong(1910). This way of presenting case ending forms by Kim Gyu-shik (1908) was derived from the influence of Underwood’s viewpoint of grammar and his own objective perspective of Korean language as a linguistic syste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우형식, "한국어 명사 후치 표현의 형태 범주와 기능 -서양인의 한국어 문법 기술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소 85 : 177-214, 2018

      2 Dallet, C., "역대한국어문법대계 2-21" 탑출판사 1-161, 2008

      3 Underwood, H. G., "역대한국어문법대계 2-19" 탑출판사 1-453, 1977

      4 Rosny, L., "역대한국어문법대계 2-19" 탑출판사 1-287, 1977

      5 Scott, J., "역대한국어문법대계 2-09" 탑출판사 1-244, 1977

      6 남경완, "쉽게 풀이한 대한문전" 월인 1-296, 2003

      7 고영근, "민족어의 격 어미 및 부치사, 첨사 범주와 그 유형론적 함의" 국어학회 (65) : 73-108, 2012

      8 김영욱, "김규식, 大韓文法, 유인본, 1908, 동장, 113장(226면)" 3 : 165-180, 2001

      9 최경봉, "김규식 <대한문법>의 국어학사적 의의" 우리어문학회 (22) : 5-28, 2004

      10 최경봉, "근대 국어학의 논리와 계보" (주)일조각 1-455, 2016

      1 우형식, "한국어 명사 후치 표현의 형태 범주와 기능 -서양인의 한국어 문법 기술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소 85 : 177-214, 2018

      2 Dallet, C., "역대한국어문법대계 2-21" 탑출판사 1-161, 2008

      3 Underwood, H. G., "역대한국어문법대계 2-19" 탑출판사 1-453, 1977

      4 Rosny, L., "역대한국어문법대계 2-19" 탑출판사 1-287, 1977

      5 Scott, J., "역대한국어문법대계 2-09" 탑출판사 1-244, 1977

      6 남경완, "쉽게 풀이한 대한문전" 월인 1-296, 2003

      7 고영근, "민족어의 격 어미 및 부치사, 첨사 범주와 그 유형론적 함의" 국어학회 (65) : 73-108, 2012

      8 김영욱, "김규식, 大韓文法, 유인본, 1908, 동장, 113장(226면)" 3 : 165-180, 2001

      9 최경봉, "김규식 <대한문법>의 국어학사적 의의" 우리어문학회 (22) : 5-28, 2004

      10 최경봉, "근대 국어학의 논리와 계보" (주)일조각 1-455, 2016

      11 고영근, "국어문법의 연구 그 어제와 오늘" 탑출판사 1-483, 1983

      12 "國立國會圖書館(National Diet Livrary, Japan)"

      13 Ridel, F. -C., "Grammaire coréenne" 탑출판사 1-331, 1977

      14 김주상, "20세기 초 국어 문법서의 문법 체계 연구" 서울대학교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6-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Hanminjok Emunhak KCI등재후보
      2005-06-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Hanminjok Emunhak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4 0.73 1.266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