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여성장애인의 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Social Integration for the Handicapped Wom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5050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대의 급속한 산업화와 국가 발전 등의 변화에서 여성의 지위는 날로 신장되고 여성의 역할과 사회참여는 크게 증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성장애인은 우리 사회의 주변인으로서 사회통...

      현대의 급속한 산업화와 국가 발전 등의 변화에서 여성의 지위는 날로 신장되고 여성의 역할과 사회참여는 크게 증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성장애인은 우리 사회의 주변인으로서 사회통합에 어려움을 느끼고 사회에 적응하는 데 많은 장애요소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성장애인이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지역사회 내에서 적극적인 활동과 참여를 통해 자신의 삶에 행복과 안녕감을 느끼며 사회통합을 할 수 있는 요인들을 조사하여 여성장애인들에게 필요한 정책 및 서비스를 모색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 대상자는 총 91명으로 서울·경기에 거주하며 장애인복지관 및 종합사회복지관을 이용하는 여성장애인 중에서 정신장애, 지체장애, 정신지체장애, 시각장애, 청각·언어장애를 가진 여성장애인으로 대상으로 조사되었다. 설문조사는 기관에 의뢰하여 조사하였으며 설문지 기간은 2005년 10월 10일부터 11월 4일까지 실시되었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장애인의 장애유형별로는 사회통합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시각장애인이 다른 장애인보다는 지역사회참여와 접근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기존의 선행연구와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연령별로도 사회통합의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나이가 적을수록 사회통합을 더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결혼여부별로는 미혼인 여성장애인이 기혼인 여성장애인보다는 사회통합에 더 쉽게 접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유형별로는 사회통합에 있어서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종교가 있는 집단이 종교가 없는 집단보다는 사회통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정도별로도 큰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았지만 교육정도가 높아질수록 여성장애인이 사회통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여부별로는 직업이 있는 집단과 없는 집단을 비교했을 때 직업이 있는 집단이 없는 집단보다는 사회통합을 더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장애인의 사회통합의 변수간의 상관관계에서는 개인적 특성인 자존감과 일상생활능력이 삶의 만족도, 지역사회참여, 지역사회접근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환경적인 특성인 가족의 지지는 삶의 만족에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사회적 지지는 지역사회참여에만 영향을 미쳤을 뿐 사회적 낙인은 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적 특성인 자존감, 일상생활능력, 연령, 교육정도, 직업유무, 결혼유무, 종교유무에 환경적 특성인 가족지지, 사회적지지, 사회적낙인이 사회통합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 결과 삶의 만족도에서는 자존감과 일상생활능력이 영향을 미치고, 가족지지와 사회적낙인이 일상생활능력과 함께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참여에서는 자존감과 일상생활능력이 각각 영향을 미치고, 일상생활능력과 사회적지지가 지역사회참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접근에서는 일상생활능력이 지역사회접근에 영향을 미치고, 일상생활능력, 가족지지, 사회적 낙인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여성장애인의 사회통합에 미치는 요인 중 일상생활능력이 사회통합의 세 하위 차원인 삶의 만족, 지역사회참여, 지역사회접근 모두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여성으로서의 가정역할과 사회인으로서의 사회역할을 하는데 있어 일상생활의 기본이 되는 기능수행의 중요함을 다시 한번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여성장애인이라 해서 특별한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보다는 여성으로서의 기능과 욕구에 맞고 실질적으로 실생활에 사용할 수 있는 일상생활능력의 향상을 통해 여성장애인이 가정에서 가정역할과 사회에서 사회역할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회복지서비스가 더더욱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정책적 함의는 첫째, 여성장애인을 위한 일상생활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법적인 조항을 장애관련정책에 포함시키도록 하여 여성장애인의 사회참여의 원활함은 물론 권리확보에 어려움이 없도록 해야 한다.
      둘째, 교육과 취업에 있어서 비장애인과 균등한 기회를 제공하여 여성장애인이 한 인간으로서 당당하게 살아 갈 수 있는 자립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여성장애인의 원만한 결혼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가족지원서비스를 개발하여 결혼생활의 어려움을 해소한다.
      넷째, 여성장애인의 사회적응과 사회통합에 맞는 생애주기별 맞춤식 사회재활을 개발하여 사회통합을 하는데 적극 지원한다.
      다섯째, 여성장애인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뤄져 여성과 장애의 이중적인 고통을 가진 여성장애인들의 복지정책수립과 사회복지프로그램 등 국가와 관련단체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though the status of women is getting higher and the role and social participation of women are increasing with the changes is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 and the rapid industrialization of the modern society, the handicapped women still feel diff...

      Although the status of women is getting higher and the role and social participation of women are increasing with the changes is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 and the rapid industrialization of the modern society, the handicapped women still feel difficulties in social integration and they have many obstacles to adjust themselves to the society because they cannot enter the main stream as peripheral peopl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for social integration while they feel happiness and well-being in their lives through active participation in community activities as a member of the society and to identify the policies and services for the handicapped wom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1 female handicapped people who resided in Seoul and Gyeonggi area, and had mental disorder, crippled disorder, mental retardation, eyesight disorder, and hearing and speaking disorder and visited Social Welfare Center for the Handicapped or Social Welfare Complex. The survey was performed with the support of the institutions and the survey period was October 10 to November 4 in 2005.
      Major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social integration level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handicaps of the female handicapped people, those who had eyesight disorder had more difficulties than others,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result of the previous studies.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social integration level according to the age either, however younger ones seemed to be easy to be integrated into the society and single ones seemed to have less difficulties in integration than those who had already married. Although there was no big difference in integration level according to religion type, those who had religion showed significantly better than those who had no religion at all. Although there was no big difference according to education, those who had better education could integrate themselves into the society better. When comparing those who were employed and those who were unemployed, the former showed better integration capability than the latter.
      Second, in the correlation of the social integration variables of the female handicapped people,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self-respect, and ordinary living capabilities seemed to influence the satisfaction in life, the participation in community life and access to the community. Additionally, the support from the family which is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 made positive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in life only. The social support influenced the participation in community life only, and the social stigma did not influence social integration.
      Third, when the influence of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self-respect, ordinary living capabilities, ate, education, employment, marital status, and religion and the educat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support from the family, social supports and social stigma on the social integration level was investigated, the self-respect and ordinary living capabilities influenced the satisfaction in life, and the support from the family and social stigma seemed to mak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in life with the ordinary living capabilities. In community life participation, the self-respect and ordinary living capabilities made influence respectively, and ordinary living capabilities and social supports mad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ommunity life participation. In access to the community, ordinary living capabilities made influence on it and ordinary living capabilities, family supports and social stigma made significant influence on it.
      Conclusively, amo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ocial integration of the female handicapped people, ordinary living capabilities made influence on the three sub-dimensions such as satisfaction in life, community life participation and the access to the community. It shows the importance of the performance of the functions that are base of the ordinary life in playing the role of the woman at home and in the community. Therefore, we need to provide social welfare service to enable them to play their own roles at home and in the society through enhancing the ordinary living capabilities that suits for their functions and requirements and that they can make use of in their actual lives rather than devise special welfare services for the female handicapped people.
      Therefore, we could identify the followings as the meaning of this study. First, in order to enhance the ordinary living capabilities of the female handicapped people, we need to include the legislative clauses in the policies for the handicapped so that the female handicapped people can participate in social life actively and will not have difficulties in executing their rights.
      Second, we need to provide them with equal opportunities in education and employment so that they can live an independent life.
      Third, we need to develop family support service for the female handicapped people to help them resolve their difficulties in marital life so that they can maintain the marriage.
      Fourth, we need to support their social integration by developing customized social rehabilitation according to the life cycle which suits for their social adaptation and integration.
      Fifth, the government and related organizations need to pay continuous attention to the female handicapped people who have dual difficulties (gender and handicap) and make constant efforts to mitigate their difficulties in life by establishing welfare policies and social welfare programs through continuous studies on the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i
      • 목차 = ⅳ
      • 제1장 서론 = 1
      • 제1절 문제제기 = 1
      • 제2절 연구목적 = 3
      • 국문요약 = i
      • 목차 = ⅳ
      • 제1장 서론 = 1
      • 제1절 문제제기 = 1
      • 제2절 연구목적 = 3
      • 제2장 이론적 배경 = 4
      • 제1절 여성장애인 = 4
      • 1. 여성장애인의 개념 = 4
      • 2. 여성장애인의 현황 = 6
      • 3. 여성장애인이 갖는 문제점 = 7
      • 제2절 사회통합 = 13
      • 1. 사회통합의 개념 = 13
      • 2. 선행연구를 통한 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18
      • 3. 선행연구의 한계점 = 24
      • 제3장 연구방법 = 25
      • 제1절 연구의 분석틀 = 25
      • 제2절 연구가설 = 25
      • 제3절 표집방법 및 조사대상자 선정 = 26
      • 제4절 측정도구 = 26
      • 제5절 자료분석방법 = 29
      • 제4장 연구결과 = 30
      • 제1절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 30
      • 제2절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사회통합의 관계 = 32
      • 제3절 사회통합 영향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기술 분석 = 39
      • 제5장 결론 및 제언 = 46
      • 제1절 연구결과 요약 = 46
      • 제2절 정책적 제언 = 48
      • 제3절 연구의 한계점 = 50
      • 참고문헌 = 51
      • 설문지 = 56
      • ABSTRACT = 6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