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후변화시나리오를 이용한 우리나라의 기후지대 변화 연구 = Study on the Change of Climate Zone in South Korea by the Climate Change Scenario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082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we were carried out the classification of Korea's climate zone. $K{\ddot{o}}ppen$ climate classification and Warmth Index were used for classification of climate zone and we have predicted how the climate zone will be changed during the...

      In this study, we were carried out the classification of Korea's climate zone. $K{\ddot{o}}ppen$ climate classification and Warmth Index were used for classification of climate zone and we have predicted how the climate zone will be changed during the 21st century. Especially, $K{\ddot{o}}ppen$ climate classification i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method in the world. The climate data used monthly climate normal data (1981-2010) and future climate data (2051-2060 and 2091-2100) by considering RCP 8.5 scenarios, which was made from geospatial climate models at 1km grid cell estimated. In conclusion, the temperature will rise steadily and the climate zone will be simplified in the future as a resul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RCP 8.5 기후변화 시나라오를 바탕으로 온량지수와 쾨펜의 기후구분을 통한 우리나라의 기후지대 변화를 살펴 보았다. 그 결과, 온량지수에 의한 기후지대를 구분하였을 경우 2...

      본 연구에서는 RCP 8.5 기후변화 시나라오를 바탕으로 온량지수와 쾨펜의 기후구분을 통한 우리나라의 기후지대 변화를 살펴 보았다. 그 결과, 온량지수에 의한 기후지대를 구분하였을 경우 21세기 후반으로 갈수록 기온이 증가하여 전국적으로 난온대의 기후특성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쾨펜의 기후지대 구분에서는 기온의 꾸준한 증가와 강수량의 연중 빈도 차이에 의해 Cfa와 Cwa의 기후특성이 주로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혜영, "우리나라의 온량지수·한랭지수 변화에 관한 연구" 기후연구소 10 (10): 153-164, 2015

      2 윤진일, "디지털 농업기후도 해설" 한국농림기상학회 12 (12): 63-73, 2010

      3 박종철, "기후변화에 따른 난온대 상록활엽수림대의 이동에 관한 연구" 기후연구소 5 (5): 29-41, 2010

      4 박창용, "기온과 강수특성을 고려한 남한의 기후지역구분" 대한지리학회 44 (44): 1-16, 2009

      5 Kottek, M., "World Map of the Köppen-Geiger climate classification updated" 15 : 259-263, 2006

      6 Kesseli, J. E., "The climates of California according to the Köppen classification" 32 (32): 476-480, 1942

      7 Ackerman, E. A., "The Köppen classification of climates in North America" 31 (31): 105-111, 1941

      8 Jung, H. S., "The Korean Peninsula climate change prospect report"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10-13, 2012

      9 공석준, "RCP 8.5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온량지수에 따른 천안시 적응 가능한 식물종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6 (16): 19-30, 2013

      10 Alvares, C. A., "Köppen’s climate classification map for Brazil" 22 : 711-728, 2013

      1 김혜영, "우리나라의 온량지수·한랭지수 변화에 관한 연구" 기후연구소 10 (10): 153-164, 2015

      2 윤진일, "디지털 농업기후도 해설" 한국농림기상학회 12 (12): 63-73, 2010

      3 박종철, "기후변화에 따른 난온대 상록활엽수림대의 이동에 관한 연구" 기후연구소 5 (5): 29-41, 2010

      4 박창용, "기온과 강수특성을 고려한 남한의 기후지역구분" 대한지리학회 44 (44): 1-16, 2009

      5 Kottek, M., "World Map of the Köppen-Geiger climate classification updated" 15 : 259-263, 2006

      6 Kesseli, J. E., "The climates of California according to the Köppen classification" 32 (32): 476-480, 1942

      7 Ackerman, E. A., "The Köppen classification of climates in North America" 31 (31): 105-111, 1941

      8 Jung, H. S., "The Korean Peninsula climate change prospect report"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10-13, 2012

      9 공석준, "RCP 8.5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온량지수에 따른 천안시 적응 가능한 식물종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6 (16): 19-30, 2013

      10 Alvares, C. A., "Köppen’s climate classification map for Brazil" 22 : 711-728, 2013

      11 홍기옥, "GIS와 PRISM을 이용한 고해상도 격자형 기온자료 추정" 한국기상학회 17 (17): 255-268, 2007

      12 Yim, Y. J.,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I. Distribution of some indices of thermal climate" 25 : 77-88, 1975

      13 RDA, "Digital Agro-Climate Map Database for Impact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on Agriculture"

      14 Lee, S., "Climatology" Purungil 275-, 2010

      15 Park, H. W., "Classification of climatic region in Korea using GIS" 33 (33): 17-40, 199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6 0.74 0.961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