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極元哲學에 나타나는 韓國的 思惟 = Korean Reason in the GEUKWON(極元)-Philosoph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217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imJoongGeon is a made-up history of Japanese colonial rule,prompting Clear Politics idealism of sleep. Independent thinker with revolutionary fighters, the fetters of the era is worrying was the hero gone undisclosed. He who'm heaven, the heaven is t...

      KimJoongGeon is a made-up history of Japanese colonial rule,prompting Clear Politics idealism of sleep. Independent thinker with revolutionary fighters, the fetters of the era is worrying was the hero gone undisclosed. He who'm heaven, the heaven is the right person, he has declared soon, GEUKWON(極元)-Philosophy has created. Therefore GEUKWON(極元)-Philosophy in the universe inside the Korean concept for absolute tube, of human beings, and wider view of the world appear.
      In this article, I find that with a worried, GEUKWON(極元)-Philosophy of God contained in the idea, JONG(倧)-thought, WON(圆)․BANG(方)․GAK(角)-concept, a number of ideas examined. KimJoongGeon consoled historical acts of consciousness, the Korean found the notion that reason is the assumption that, while not an easy task, GEUKWON (極元)-Philosophy of the imitated, but never mind that the Chinese philosophy, one will be worrying. And GEUKWON (极 元)-Philosophy,the Korea based on traditional beliefs of the people to perform prayers and through his own ideas in Korean that appears to confirm.
      KimJoongGeon literary article, I respect and desire for the absolute 極元哲學에 나타나는 韓國的 思惟ㆍ김동환 215manifestation could be found frequently. Also fundamental ideas of the GEUKWON(極元)-Philosophy is JONG(倧)-thought. And WON(圆)․BANG(方)․GAK(角)-ideas, GEUKWON(極元)-Philos ophy has revealed the depth of the one found in parts. Finally GEUKWON(極元)-Philosophy, that sense is closely the logic of the Triad. Only a basic step in this research. GEUKWON(極元)-Philosophy as compared with the profound, in-depth analysis and comparative study was the first-. So systematic approach of the GEUKWON(極元)-Philosophy, the next task meaning in the Korean philosoph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소래 김중건은 일제 식민지치하라는 역사가 만들어 낸 비운의 이상주의자다. 일찍이 한학을 익혀 서당을 운영했고, 신학문에 눈을 뜬후에는 국내와 만주를 무대로 수많은 학교를 세워 신교...

      소래 김중건은 일제 식민지치하라는 역사가 만들어 낸 비운의 이상주의자다. 일찍이 한학을 익혀 서당을 운영했고, 신학문에 눈을 뜬후에는 국내와 만주를 무대로 수많은 학교를 세워 신교육에 헌신했다. 1909년 천도교에 입교하여 그의 사상적 포부를 바탕으로 조국독립을 꾀하려 했으나, 기존의 천도교단을 통한 독립운동에 크게 낙담을 했다. 그리고 고향으로 낙향한 뒤 독자적인 우주관을 정립하고 천도교 교단의 개혁을 촉구하는 등, 진보적 외침을 토해냈지만, 오히려이로 인해 출교를 당했다.
      그 후 김중건은 잡지를 발행하여 사상계몽과 독립의식을 고취시키다 일제에 체포되는 등의 우여곡절을 겪었고, 북만주의 황무지 지역에 어복촌을 건설하여 공동 생산과 공동 분배가 이루어지는 이상적농촌공동체를 세우기도 했다. 이 어복촌의 공동체에서는 평소 교육과 군사 훈련이 동시에 이루어졌기 때문에, 만주사변 이후 부대를 일으켜 일본군과 전투를 벌이기도 했다. 이러한 역정에서 만들어진 철학이 극원철학이다. 주인이 주인 노릇을 할 때 사람이 곧 하늘이요하늘이 곧 사람이 된다고 외쳤던 그는, 한국적 사유관념이 녹아있는우주관·절대자관·인간관·세계관 등을 극원철학 속에 폭넓게 나타냈다.
      우선 종교적인 교(敎)가 아닌 법(法)이나 도(道)를 강조하면서, 이론적·수리적 원종교(元宗敎)를 내세웠던 김중건의 자취에서 하느님관념이 확연 드러난다. 또한 그가 세운 원종교(元宗敎)의 원종(元宗)이 우리 전래의 종사상(倧思想)과도 밀접하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원·방·각 관념이 극원철학의 한 부분에 짙게 드러나고 있는데, 하늘·땅·사람에 연결시켜 설명한 김중건의 여러 내용에서그러한 사고가 그대로 투영된다. 더불어 그는 극원철학의 핵심 가운데 하나인 ‘원(元)’을 조물주의 개념으로 인식하였고, 하늘이란 땅과사람과 더불어 천·지·인 삼재(三才)의 권능으로 인식하였다. 또한인간의 문제 역시 3수의 논리로 파악했으며, 이러한 3의 수리가 곧‘1·3·3·1[一而分三 會三歸一]’의 원리로 운용됨을 피력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論語"

      2 김일성, "회고록-세기와 더불어- 3" 조선로동당출판사 1992

      3 W.하이젠베르그, "철학과 물리학의 만남" 겨레 1985

      4 우실하, "전통문화의 구성원리" 소나무 1998

      5 마이클 슈나이더, "자연.예술.과학의 수학적 원형" 경문사 2002

      6 이부영, "자기와 자기실현" 한길사 2002

      7 이부영, "우리 마음 속의 어두운 반려자 -그림자-" 한길사 1999

      8 클리포드 픽오버, "신의 베틀(The Loom of God)" 경문사 2002

      9 프란츠 칼 엔드레스, "수의 신비와 마법" 고려원미디어 1996

      10 김지용, "소래 철학의 배경과 주의촌 건설" 殉國先烈笑來金中建先生記念事業會 (4) : 2004

      1 "論語"

      2 김일성, "회고록-세기와 더불어- 3" 조선로동당출판사 1992

      3 W.하이젠베르그, "철학과 물리학의 만남" 겨레 1985

      4 우실하, "전통문화의 구성원리" 소나무 1998

      5 마이클 슈나이더, "자연.예술.과학의 수학적 원형" 경문사 2002

      6 이부영, "자기와 자기실현" 한길사 2002

      7 이부영, "우리 마음 속의 어두운 반려자 -그림자-" 한길사 1999

      8 클리포드 픽오버, "신의 베틀(The Loom of God)" 경문사 2002

      9 프란츠 칼 엔드레스, "수의 신비와 마법" 고려원미디어 1996

      10 김지용, "소래 철학의 배경과 주의촌 건설" 殉國先烈笑來金中建先生記念事業會 (4) : 2004

      11 이상은, "소래 김중건의 혁명정신" 24 : 1976

      12 최윤수, "물리학에서 발견되는 삼일원리" 국학연구소 8 : 2003

      13 "高麗史"

      14 최창규, "韓國의 思想-그 主體와 本質" 서문당 1973

      15 전규태, "韓國神話와 原初意識-그 比較文化論的 考察" 二友出版社 1980

      16 박종홍, "韓國思想史-佛敎思想篇-" 서문당 1972

      17 신오현, "韓國哲學思想硏究의 方法論的 反省"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2

      18 이강식, "韓國古代組織思想史" 아세아문화사 1995

      19 김재경, "韓國 土着古信仰의 名稱問題 檢討" 일지사 83 : 1996

      20 安震湖, "釋門儀範(下)" 佛書普及社 1966

      21 曷兆光, "道敎와 中國文化" 동문선 1993

      22 張志哲, "道敎文化辭典" 江蘇古籍出版社 1994

      23 "道德經"

      24 "譯解倧經四部合編(全)" 大倧敎總本司 1968

      25 "自山安廓國學論著集 4" 여강출판사 1994

      26 "笑來集 (一)․(二)" 笑來先生記念事業會 1969

      27 "白虎通"

      28 "漢書"

      29 "淮南子"

      30 "檀君世紀"

      31 배종호, "極元哲學" 외솔회 24 : 1976

      32 "朝鮮騷擾事件關係書類"

      33 현상윤, "朝鮮思想의 本質. in: 朝鮮思想史 (影印本)" 民族文化社 2000

      34 張玉書, "康熙字典" 上海古籍出版社 1996

      35 "太白逸史"

      36 "大倧敎重光六十年史" 大倧敎總本司 1971

      37 박종홍, "哲學槪論" 東洋出版社 1961

      38 "周髀算經"

      39 "丹齋申采浩全集(改訂版) 別集․上卷" 丹齋申采浩全集先生記念事業會 1982

      40 조자용, "三神民考" 가나아트 1995

      41 Homer, B. Hulbut, "The passing of Korea" reprinted by Yonsei University Press 1969

      42 Horace, G. Underwood, "The Religions of Eastern Asia" New York 1910

      43 Charles, A. Clark, "Religions of Old Korea" The Christian Literatrue Society of Korea 196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5-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仙道文化 제6집 -> 仙道文化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7-04-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선도문화연구원 -> 국학연구원
      영문명 : Korean Sundo Culture Institute -> kukhak Institute
      2006-11-13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for Korea Sundo & Culture -> Korean Sundo Culture Institut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6 0.36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2 0.996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