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북한정치에서 김여정의 위상과 역할 = The Status and Role of Kim Yo-jong in North Korean Politic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412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status and role of Kim Yo-jong in terms of consolidating the Kim Jong-un regime and operating the regime. Kim Yo-jong works across various fields regardless of her official position based on her informal status from Baek...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status and role of Kim Yo-jong in terms of consolidating the Kim Jong-un regime and operating the regime. Kim Yo-jong works across various fields regardless of her official position based on her informal status from Baekdu Hyeoltong (Kim Il-sung Royal Family).
      Kim Yo-jong's current high status and role were greatly influenced by her lineage. The strengthening of Kim Yo-jong's status and role had the intention and purpose of consolidating Kim Jong-un's power and stabilizing the current North Korean regime. Kim Yo-jong plays a key role in the management of the system crisis and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 party. Hence, Kim Yo-jong could be expected to continue influencing the operation of the Kim Jong-un regime and continue her internal and external roles. Kim Yo-jong could be called ‘second-in-command’ in North Korea in that she is in charge of significant affairs in internal and external fields. However, the status and role of Kim Yo-jong could not go beyond the authority of Kim Jong-un. And there is also a restriction that her status and role stem from blood ties with North Korea's supreme leader Kim Jong-u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김정은 체제의 권력 공고화와 체제 운영의 측면에서 나타나는 김여정의 위상 및 역할과 그 속에 내포되어 있는 김정은과 북한 지도부의 의도를 파악해보려 한다. 김여정은 김정은...

      본 연구는 김정은 체제의 권력 공고화와 체제 운영의 측면에서 나타나는 김여정의 위상 및 역할과 그 속에 내포되어 있는 김정은과 북한 지도부의 의도를 파악해보려 한다. 김여정은 김정은 체제에서 공식적 직책과 혈통적 위상을 기반으로 높은 위상과 영향력을 가지고 있으며, 그의 정치적 역할은 크게 선전선동 분야, 정무적 분야, 대외정책분야에서 다양하게 나타난다. 구체적으로는 체제 공고화의 조력자 역할, 북한체제 운영의 역할분담, 정책결정자의 대리인 역할, 대외전략에서 배드캅(Bad Cop) 역할을 하고 있다고 하겠다.
      김여정의 위상과 역할의 강화는 대내외적으로 김정은의 권력 공고화와 북한 체제의 안정화를 추구하려는 의도와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김여정은 김정은이 추구하는 체제 위기의 관리와 효율적인 당 운영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점에서 향후 김정은 체제의 운영에 있어서 김여정은 김정은의 최측근이자 대남 관련 부문을총괄하는 책임자로서 남북관계와 대외관계에서 중요 행위자로 활동할 것으로 전망할 수 있겠다. 다만 그의 위상과역할은 어디까지나 최고지도자 김정은의 최종결정권이라는 한계 내의 것이라는 제약은 존재한다고 할 수 있겠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현 단계에서의 사회주의 건설과 공화국정부의 대내외정책에 대하여"

      2 윤미량, "북한의 여성정책" 한울 1991

      3 김창희, "북한의 백두혈통을 위한 역사 만들기" 한국정치외교사학회 39 (39): 147-178, 2017

      4 박형준, "북한의 대미 담화 연구:당 중앙위원회 제7기 제5차 전원회의 이후를 중심으로"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1 (21): 221-244, 2020

      5 한병진, "북한의 권력게임과 빗장전략" 심연북한연구소 16 (16): 7-36, 2013

      6 안문석, "북한민중사" 일조각 2020

      7 안문석, "북한 현대사 산책 5" 인물과사상사 2016

      8 홍민, "북한 조선노동당 제8차 대회 분석" 통일연구원 2021

      9 박용한 ; 곽은경, "북한 제8차 당대회 규약 개정과 김정은 정권 안정성 평가" (사)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9 (29): 309-338, 2022

      10 김엘렌, "북한 여성, 변화를 이끌다" 선인 2021

      1 "현 단계에서의 사회주의 건설과 공화국정부의 대내외정책에 대하여"

      2 윤미량, "북한의 여성정책" 한울 1991

      3 김창희, "북한의 백두혈통을 위한 역사 만들기" 한국정치외교사학회 39 (39): 147-178, 2017

      4 박형준, "북한의 대미 담화 연구:당 중앙위원회 제7기 제5차 전원회의 이후를 중심으로"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1 (21): 221-244, 2020

      5 한병진, "북한의 권력게임과 빗장전략" 심연북한연구소 16 (16): 7-36, 2013

      6 안문석, "북한민중사" 일조각 2020

      7 안문석, "북한 현대사 산책 5" 인물과사상사 2016

      8 홍민, "북한 조선노동당 제8차 대회 분석" 통일연구원 2021

      9 박용한 ; 곽은경, "북한 제8차 당대회 규약 개정과 김정은 정권 안정성 평가" (사)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9 (29): 309-338, 2022

      10 김엘렌, "북한 여성, 변화를 이끌다" 선인 2021

      11 홍민, "북한 김여정의 대남 담화와 선제타격론 제기 배경" 통일연구원 2022

      12 박형중, "독재정권의 성격과 정치변동: 북한 관련 시사점" 통일연구원 2012

      13 류종훈, "누가 북한을 움직이는가" 가나출판사 2018

      14 김영주, "김정은의 등장과 북한언론이론의 변화" 2018

      15 김범현, "김정은, 친서 보내 ‘코로나극복 응원’…문 대통령도 답장"

      16 하윤아, "김정은, 김여정에 軍 후방부문 임의시찰 권한 줘…내부 바짝 ‘긴장’"

      17 오경섭, "김정은 정권 핵심집단 구성과 권력동학" 통일연구원 2019

      18 박영자, "김정은 시대 북한의 국가기구와 국가성" 통일연구원 2018

      19 노지원, "김정은 권한, 핵심간부들에 분산 통치…스트레스 줄이고 책임 나누기"

      20 오경섭, "김여정의 정치적 위상과 역할" 통일연구원 2020

      21 권헌익, "극장국가 북한: 카리스마 권력은 어떻게 세습되는가" 창비 2013

      22 Geddes, Barbara, "What Do We Know About Democratization After Twenty Years?" 2 : 1999

      23 Koo, Bon Sang, "Unique or Common? the Kim Jong Un Regime and Modern Authoritarianism" 13 (13): 2017

      24 Ahn, Mun Suk, "The sources of North Korean conduct: Is Pyongyang really going non-nuclear?" 75 (75): 2020

      25 Lea-Henry, Jed, "The Rise of Kim Yo-Jong in the North Korean Regime" 43 (43): 2019

      26 Lee, Chung Min, "The Hermit King: The Dangerous Game of Kim Jong Un" All Points Books 2019

      27 Fifield, Anna, "The Great Successor: The Divinely Perfect Destiny of Brilliant Comrade Kim Jong Un" Public Affairs 2019

      28 Boix, Carles, "The Foundations of Limited Authoritarian Government: Institutions, Commitment, and Power-Sharing in Dictatorships" 75 (75): 2013

      29 Bueno de Mesquita, Bruce, "The Dictator's Handbook: Why Bad Behavior Is Almost Always Good Politics" Public Affairs 2011

      30 Ezrow, Natasha M., "Dictators and Dictatorships: Understanding Authoritarian Regimes and their Leaders" Continuum 2011

      31 Magaloni, Beatriz, "Credible Power-Sharing and the Longevity of Authoritarian Rule" 41 (41):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