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거꾸로 수업기법을 적용한 스포츠중계수업모형 체육수업의 개발 = Development of PE classes applying flipped learning strategies: Based on sportscasting model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거꾸로 수업기법을 적용한 스포츠중계수업모형 기반 체육수업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그 반응을 조사하는 것이다. [방법] 이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은 경기도 사랑고...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거꾸로 수업기법을 적용한 스포츠중계수업모형 기반 체육수업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그 반응을 조사하는 것이다. [방법] 이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은 경기도 사랑고등학교(가명) 1학년 8개 반216명(남:115명, 여:101)이었다. 이론적 탐색을 통해 체육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거꾸로 수업 전략을 구안하고, 스포츠중계수업모형의 학습단계인 이해-수행-중계단계에 따라 수업지도안과 교수학습 도구를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연구 자료는 개방형 설문지와 심층 면접을 통해 질적 자료가 수집되었으며, 자료 분석은 질적 내용분석과 수업구조 틀을 결합한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11가지의 거꾸로 수업 전략을 구안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사전 교실 밖 활동과 교실 안 활동이 유기적으로 구조화된 컬링 단원 체육수업지도안(18차시)과 교수학습 자료가 개발·적용되었다. 중계단계에서는 학생 설문조사를 활용한 강제결합-스포츠모의중계라는 창의적 문제해결력 계발 방법이 개발·적용되었다. 학생들의 반응 분석 결과, 스포츠중계수업모형 관련 반응 31개와 거꾸로 수업기법 관련 15개의 요소가 추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주로 주지교과에 적용되고 있는 거꾸로 수업방법과 스포츠중계수업모형 기반 체육수업과의 유기적 결합을 위해 수업 전략과 수업방법을 구안·적용한 후,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한 초기 연구라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으며, 논의에서는 거꾸로 수업기법을 적용한 체육수업 개발 측면과 학생들의 반응 측면에서 논의를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develop and to apply flipped learning strategies in Physical Education(PE) classes based on Sportscasting Model and (2) to examine the responses of students after PE lesson. [Methods] Participants were 10...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develop and to apply flipped learning strategies in Physical Education(PE) classes based on Sportscasting Model and (2) to examine the responses of students after PE lesson. [Methods] Participants were 10<sup>th</sup> high school students(N=216, male=115, female=101) in high school. Instruction strategies of flipped learning was developed after theoretical investigation, and the unit plans for curling and instructional materials were developed and applied. Open-ended questionnaire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used to collect the dat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combined with of structures in lesson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Results showed that (1) 11 instruction strategies of flipped learning were developed, (2) and the unit plan combining out-of class activities and in-class activities organically based on Sportscasting Model and instructional materials for unit of curling were developed and applied. In step of sportscasting, forcing relationship method-sportscasting based on the survey of students was developed and applied. (3) And 31 factors of Sportscasting Model and 15 factors of flipped learning were drawn from the analysis of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Conclusion] And to conclude, this research has a value of early study to develop and apply instruction strategies of flipped learning, the unit plan and instructional materials for combining Sportscasting Model with flipped learning organically. Discussions were provided in terms of the development of flipped learning applied in PE classes and responses of studen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태구, "협력적 문제해결력 함양을 위한 스포츠중계수업모형의 타당화 가능성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359-384, 2016

      2 방진하,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의 교육적 의미와 수업 설계에의 시사점 탐색" 한국교원교육학회 31 (31): 299-319, 2014

      3 이동엽,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 교수학습 설계모형 탐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83-92, 2013

      4 김현우, "팀활동 기반 플립러닝 수업이 체육학과 전공과목 수강생의 학습참여 및 수업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 21 (21): 15-27, 2016

      5 서보경, "테니스 실기 수업에서 블랜디드 학습의 적용 가능성 탐색" 한국체육과학회 18 (18): 479-490, 2009

      6 이태구, "체육교과 창의·인성교육 실천 방법으로서의 모의중계수업" 한국체육과학회 24 (24): 1011-1029, 2015

      7 정제영, "지능정보사회에 대비한 학교교육 시스템 재설계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34 (34): 49-71, 2016

      8 정준상, "중학교 체육수업의 ICT활용에 관한 실행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5 (15): 137-157, 2008

      9 최의창, "전인지향적 체육교육론으로서의 인문적 체육교육: 탐색적 분석" 한국체육학회 48 (48): 243-260, 2009

      10 권민정, "예비체육교사 교육을 위한 거꾸로 교실 수업 모형 개발" 한국여성체육학회 30 (30): 37-55, 2016

      1 이태구, "협력적 문제해결력 함양을 위한 스포츠중계수업모형의 타당화 가능성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359-384, 2016

      2 방진하,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의 교육적 의미와 수업 설계에의 시사점 탐색" 한국교원교육학회 31 (31): 299-319, 2014

      3 이동엽,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 교수학습 설계모형 탐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83-92, 2013

      4 김현우, "팀활동 기반 플립러닝 수업이 체육학과 전공과목 수강생의 학습참여 및 수업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 21 (21): 15-27, 2016

      5 서보경, "테니스 실기 수업에서 블랜디드 학습의 적용 가능성 탐색" 한국체육과학회 18 (18): 479-490, 2009

      6 이태구, "체육교과 창의·인성교육 실천 방법으로서의 모의중계수업" 한국체육과학회 24 (24): 1011-1029, 2015

      7 정제영, "지능정보사회에 대비한 학교교육 시스템 재설계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34 (34): 49-71, 2016

      8 정준상, "중학교 체육수업의 ICT활용에 관한 실행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5 (15): 137-157, 2008

      9 최의창, "전인지향적 체육교육론으로서의 인문적 체육교육: 탐색적 분석" 한국체육학회 48 (48): 243-260, 2009

      10 권민정, "예비체육교사 교육을 위한 거꾸로 교실 수업 모형 개발" 한국여성체육학회 30 (30): 37-55, 2016

      11 이태구, "스포츠중계수업모형 기반 체육수업이 창의성과 인성에 미치는 효과" 국민체육진흥공단 부설 한국스포츠개발원 28 (28): 185-203, 2017

      12 이태구, "스포츠중계수업모형 기반 문제해결 체육수업 평가도구 개발 사례 연구: 비구조적 문제해결학습 측면"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1-28, 2016

      13 임정훈, "스마트교육 기반 플립러닝이 학업성취도, 협업능력 및 정보활용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공학회 32 (32): 809-836, 2016

      14 안성빈, "블랜디드 러닝을 활용한 여고 체육수업이 학생들의 체육수업 내적동기와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문제연구소 54 : 165-185, 2012

      15 임영택, "블랜디드 러닝을 적용한 체육수업의 실행: 중학생들의 경험적 의미 탐색을 중심으로" 국민체육진흥공단 부설 한국스포츠개발원 20 (20): 885-899, 2009

      16 이태구, "백워드 교육모형을 활용한 협력적 문제해결력 함양 양궁단원 체육수업" 국민체육진흥공단 부설 한국스포츠개발원 26 (26): 917-934, 2015

      17 이태구, "모의중계(Mock Broadcasting)을 통한 체육교과 감상 수업의 실행" 국민체육진흥공단 부설 한국스포츠개발원 22 (22): 2429-2444, 2011

      18 차수정, "리듬체조단원에서 스포츠모의중계수업 적용과 효과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124-144, 2014

      19 김성숙, "대한민국, 싱가포르, 일본의 PISA 2012 문제해결력 결과에 대한 남녀 학생 및 학교수준 요인의 영향력 비교 분석" 한국교육학회 54 (54): 225-247, 2016

      20 김남익, "대학에서의 거꾸로 학습(Flipped learning) 사례 설계 및 효과성 연구: 학습동기와 자아효능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공학회 30 (30): 467-492, 2014

      21 임정훈, "대학교육에서 플립러닝(Flipped Learning)의 효과적 활용을 위한 교수학습 전략 탐색: 사례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32 (32): 165-199, 2016

      22 김보경, "교직수업을 위한 역진행 수업모형 개발" 교육종합연구소 12 (12): 25-56, 2014

      23 최정빈, "공과대학의 Flipped Learning 교수학습 모형 개발 및 교과운영사례" 한국공학교육학회 18 (18): 77-88, 2015

      24 진민혜, "거꾸로 수업을 활용한 과학 중심 STEAM 프로그램이 학생의 수업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육연구원 27 (27): 77-98, 2016

      25 신영준, "거꾸로 수업(Flipped Learning)에 대한 과학 교사의 인식 분석" 교과교육연구소 20 (20): 152-167, 2016

      26 김민경, "거꾸로 교실수업이 중학교 영어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4 (64): 289-314, 2016

      27 이민경, "거꾸로 교실(Flipped Classroom)의 효과와 의미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41 (41): 87-116, 2014

      28 이태구, "강제결합-스포츠모의중계수업에서 일반화가능도 이론을 적용한 동료평가의 신뢰도와 오차요인 분석" 국민체육진흥공단 부설 한국스포츠개발원 27 (27): 345-361, 2016

      29 Papadopoulos, C., "Work in progress –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n inverted classroom for engineering statics" 2010

      30 Schwab, K.,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Penguin 2017

      31 Hamdan, N, "The flipped learning model: A white paper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itled a review of flipped learning"

      32 Kim, M. K., "The experience of three flipped classrooms in the urban university : an exploration of design principles" 22 : 37-50, 2014

      33 Kim, M. K., "The experience of three flipped classrooms in and urban university : an exploration of design principles" 22 : 37-50, 2014

      34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Road to powerful nation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Action strategies of education"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

      35 Mayring, P., "Qualitative research:handbook" Sage 2002

      36 Lee, H. C., "Mixed methods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and quantitative Research" Academy Press 2013

      37 Enfield, J., "Looking at the impact of the flipped classroom model of instruction on undergraduate multimedia students at CSUN" 57 (57): 14-27, 2013

      38 Ryan, R. M., "Handbook of self-determination research" The university of Rochester Press 3-33, 2002

      39 조일현, "GBS 학습 환경 하에서 상호작용 연구를 위한 사회 연결망 분석 기법의 적용" 한국컴퓨터교육학회 6 (6): 81-93, 2003

      40 Brame, C., "Flipping the classroom"

      41 Bergmann, J., "Flip your students’ learning" 70 (70): 16-20, 2013

      42 Bergmann, J., "Flip your classroom: Reach every student in every class every day" ISTE 2012

      43 Ministry of Education, "Direction and strategy of long-term education policy for intelligence information society(draft)" Ministry of Education 2016

      44 Lee, T. K., "Creativity and Personality Instructional Model for Physical Educati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portscasting Model" Yonsei University 2014

      45 Jeon, W. T., "Changes and challenges in medical education"

      46 Herreid, C. F., "Case studies and the flipped classroom" 42 (42): 62-66, 2013

      47 Reay, J., "Blended learning: A fusion for the future" 41-, 2001

      48 Lim, B., "Analysis on issues for development of guidelines on quality control of smart education contents"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2011

      49 Flick, U., "An introduction to qualitative research" Sage 2009

      50 Lee, K. W., "A study on developing key competencies in the primary/secondary school curriculum for the future of Koreans(Ⅱ)" KICE 2008

      51 Nwosisi, C., "A study of the flipped classroom and its effectiveness in flipping thirty percent of the course content" 6 (6): 348-351, 2016

      52 Kerres, M., "A didactical framework for the design of blended learning arrangement" 28 (28): 101-113, 2003

      53 Moon, Y. L.,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 of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for cultivating creative talented persons" Korea Foundation for the Achievement of Science & Creativity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6-08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국민체육진흥공단 부설 한국스포츠개발원 ->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04-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 Institute of Sport Scienc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3-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과학연구원 -> 국민체육진흥공단 부설 한국스포츠개발원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7-01 학술지등록 한글명 : 체육과학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 0.84 0.781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