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단행본] (21세기 세종계획) 전자사전 개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675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차 요약문 = ⅰ 1. 사업명 = ⅰ 2. 연구의 목적 = ⅰ 3. 연구의 필요성 = ⅰ 4. 연구내용 및 결과물 = ⅱ 5. 연구결과의 활용 = ⅵ Ⅰ. 머리말 = 1 1. 세종 전자사전 개발의 목표와 의의 = 1 1.1....

      목차
      요약문 = ⅰ
      1. 사업명 = ⅰ
      2. 연구의 목적 = ⅰ
      3. 연구의 필요성 = ⅰ
      4. 연구내용 및 결과물 = ⅱ
      5. 연구결과의 활용 = ⅵ
      Ⅰ. 머리말 = 1
      1. 세종 전자사전 개발의 목표와 의의 = 1
      1.1. 세종 전자사전 개발의 목표 = 1
      1.2. 세종 전자사전 개발의 배경 = 1
      1.3. 세종 전자사전 개발의 의의 또는 필요성 = 3
      2. 세종전자사전의 특징 = 4
      3. 3단계(2004-2006) 및 최종단계(2007) 사업 개요 = 6
      Ⅱ. 사업 개요 = 8
      1. 목적 = 8
      2. 사업기간 = 9
      3. 주요내용 = 9
      4. 2006년 사업 목표 및 내용 = 13
      4.1. 3단계 및 최종단계 연구의(2004-2007) 목표 및 내용 = 13
      4.2. 2006년 사업 개요 = 16
      4.2.1. 2006년 사업의 주요 내용 및 특징 = 16
      4.2.2. 2006년도 하위분과별 연구 목표 및 내용 = 17
      Ⅲ. 연구 추진 계획 및 현황 = 21
      Ⅳ. 세부 추진 내역 = 26
      1. 핵심어 사전 = 26
      1.1. 체언 = 26
      1.1.1. 2006년도 연구 계획 및 추진 현황 = 26
      1.1.1.1. 개요 = 26
      1.1.1.2. 연구 내용 및 추진 상황 = 27
      1.1.2. 체언 전자사전 연구 수행 내역 = 27
      1.1.2.1. 체언 전자사전 구축 작업 = 27
      1.1.2.1.1. 신규 상세기술 = 30
      1.1.2.1.2. 정보확장 상세 기술/ 기성 결과물 보완 = 31
      1.1.2.2. 체언 상세전자사전 미시구조 및 구축 지침 보완 = 31
      1.1.2.2.1. 미시구조 및 구축 지침 보완 개요 = 31
      1.1.2.2.2. 2006년도 체언 상세전자사전 미시 구조 = 37
      1.1.2.2.3. 2006년도 체언 상세전자사전 구축 지침 = 38
      1.1.2.2.4. 체언전자사전 형식 검증 과정 = 51
      1.1.2.3. 체언 확장기초전자사전 구축 = 53
      1.1.2.3.1. 개요 : 구축현황, 목록 작성 및 관리 지침 = 56
      1.1.2.3.2. 확장기초전자사전 미시구조 및 기술 지침 = 56
      1.1.2.3.3. 확장기초전자사전 기술 목록 = 57
      1.1.2.3.4. 확장기초전자사전 형식 검증 과정 = 58
      1.1.2.4. 사전 구축 관련 기반 연구 = 58
      1.1.2.4.1. 복합명사와 사자성어 = 58
      1.1.2.4.2. 체언사전에서의 의미부류 기술 = 59
      1.1.2.4.3. 체언사전에서의 전문어 용법 기술 = 59
      1.1.2.4.4. 타사전 관련 정보의 통일성 제고 방안 = 59
      1.1.2.4.5. 체언사전의 전산적 활용을 위한 기반 연구 = 60
      1.1.2.4.5.1. 통합입력기 개발·보완을 위한 요구사항 = 60
      1.1.2.4.5.2. 체언검색기 보완을 위한 요구사항 = 60
      1.1.2.5. 회의 = 65
      1.2. 용언 = 66
      1.2.1. 2006년도 연구 개요 및 추진 현황 = 66
      1.2.1.1. 연구 개요 = 66
      1.2.1.2. 연구 내용별 추진 현황 = 68
      1.2.2. 용언 전자사전 연구 수행 내역 = 68
      1.2.2.1. 용언 전자사전 구축 작업 = 68
      1.2.2.1.1. 신규 상세기술 = 69
      1.2.2.1.2. 정보확장 상세기술 = 69
      1.2.2.2. 사전 구축 지침 및 보완 = 70
      1.2.2.2.1. 지침 보완 개요 = 70
      1.2.2.2.2. 2006년도 용어사전 미시 구조 = 71
      1.2.2.2.3. 2006년도 용어사전 구축 지침 = 72
      1.2.2.3. 용언 확장기초전자사전 구축 = 95
      1.2.2.4. 목록 관리 및 형식 검증 = 96
      1.2.2.5. 사전 구축 관련 기반 연구 = 100
      1.2.2.6. 회의 = 101
      1.3. 기구축 사전 정보확장 = 102
      1.3.1. 연어 전자사전 = 102
      1.3.1.1. 2006년도 연구 계획 및 추진 현황 = 102
      1.3.1.1.1. 개요 = 102
      1.3.1.1.2. 연구 내용별 추진 현황 = 102
      1.3.1.2. 연어 전자사전 연구 수행 내역 = 103
      1.3.1.2.1. 상세기술사전 정보확장 = 103
      1.3.1.2.1.1. XML형식으로의 변환 및 미시구조 = 103
      1.3.1.2.1.2. 정보확장에 따른 구축지침 수정·보완 = 104
      1.3.1.2.1.3. XML형식 검증 및 기술내용 보완 = 120
      1.3.1.2.2. 기초전자사전 정보확장 = 122
      1.3.1.2.2.1. XML 형식으로의 변환 및 미시구조 = 122
      1.3.1.2.2.2. 정보확장에 따른 구축 지침 수정·보완 = 122
      1.3.1.2.2.3. XML 형식 검증 및 기술 내용 보완 = 124
      1.3.1.2.3. 연어 전자사전 정보확장 기술 목록 = 124
      1.3.1.2.4. 연어사전의 전산적 활용을 위한 기반연구 = 124
      1.3.1.2.4.1. 통합입력기 개발·보완을 위한 요구사항 = 124
      1.3.1.2.4.2. 연어검색기 개발을 위한 요구사항 = 124
      1.3.2. 부사 전자사전 = 127
      1.3.2.1. 2006년도 연구 계획 및 추진 현황 = 127
      1.3.2.1.1. 개요 = 127
      1.3.2.1.2. 연구 내용별 추진 현황 = 127
      1.3.2.2. 부사 전자사전 연구 수행 내역 = 128
      1.3.2.2.1. 상세기술사전 정보확장 = 128
      1.3.1.2.1.1. XML형식으로의 변환 및 미시구조 = 128
      1.3.1.2.1.2. 정보확장에 따른 구축지침 수정·보완 = 130
      1.3.1.2.1.3. 부사 상세전자사전 항목 수 확인 및 형식 검증 = 146
      1.3.2.2.2. 기초전자사전 정보확장 = 148
      1.3.1.2.2.1. XML 형식으로의 변환 및 미시구조 = 148
      1.3.1.2.2.2. 정보확장에 따른 구축 지침 수정·보완 = 149
      1.3.1.2.2.3. 부사 확장기초 전자사전 항목 수 확인 및 형식 검증 = 149
      1.3.2.2.3. 부사 전자사전 정보확장 기술 목록 = 150
      1.3.2.2.4. 부사사전의 전산적 활용을 위한 기반연구 = 151
      1.3.2.2.4.1. 통합입력기 개발·보완을 위한 요구사항 = 151
      1.3.2.2.4.2. 부사사전 검색기 개발을 위한 요구사항 = 151
      1.3.2.2.5. 회의 = 154
      1.3.3. 어근/접사 전자사전 = 155
      1.3.3.1. 2006년도 연구 계획 및 추진 현황 = 155
      1.3.3.1.1. 개요 = 155
      1.3.3.1.2. 연구 내용별 추진 현황 = 155
      1.3.3.2. 어근/접사 전자사전 연구 수행 내역 = 156
      1.3.3.2.1. 상세기술사전 정보확장 = 156
      1.3.3.2.1.1. XML형식으로의 변환 및 미시구조 = 156
      1.3.3.2.1.2. 정보확장에 따른 구축지침 수정·보완 = 157
      1.3.3.2.1.3. 상세기술 전자사전 결과물 항목 수 확인 및 검증 = 167
      1.3.3.2.2. 기초전자사전 구축 = 172
      1.3.3.2.2.1. 개요 = 172
      1.3.3.2.2.2. 어근/접사 기초전자사전 미시구조 및 기술 지침 = 173
      1.3.3.2.2.3. 어근/접사 기초전자사전 결과물 항목 수 확인 및 검증 = 174
      1.3.3.2.2.4. 어근/접사 기초전자사전 목록 = 175
      1.3.3.2.3. 어근/접사 확장 목록 구축 = 175
      1.3.3.2.4. 어근/접사 사전의 전산적 활용을 위한 기반연구 = 176
      1.3.3.2.4.1. 통합입력기 개발·보완을 위한 요구사항 = 176
      1.3.3.2.4.2. 어근/접사 검색기 개발을 위한 요구사항 = 181
      1.3.3.2.5. 회의 = 184
      1.3.4. 조사/어미/관형사/감탄사 전자사전 = 185
      1.3.4.1. 2006년도 연구 계획 및 추진 현황 = 185
      1.3.4.1.1. 개요 = 185
      1.3.4.1.2. 연구 내용별 추진 현황 = 186
      1.3.4.2. 조사/어미/관형사/감탄사 전자사전 연구 수행 내역 = 186
      1.3.4.2.1. 상세기술사전 정보확장 = 186
      1.3.4.2.1.1. XML형식으로의 변환 및 미시구조 = 186
      1.3.4.2.1.2. 정보확장에 따른 구축지침 수정·보완 = 190
      1.3.4.2.1.3. 조사/어미/관형사/감탄사사전 결과물 항목 수 및 검증 = 192
      1.3.4.2.2. 기초전자사전 정보확장 = 196
      1.3.4.2.2.1. XML 형식으로의 변환 및 미시구조 = 196
      1.3.4.2.2.2. 정보확장에 따른 구축 지침 수정·보완 = 198
      1.3.4.2.2.3. 조사어미관형사감탄사 기초전자사전 결과물 항목 수 및 검증 = 198
      1.3.4.2.2.4. XML 형식 검증 및 기술 내용 보완 = 199
      1.3.4.2.3. 조사/어미/관형사/감탄사 정보확장 기술 목록 = 199
      1.3.4.2.4. 조사/어미/관형사/감탄사사전의 전산적 활용을 위한 기반연구 = 200
      1.3.4.2.4.1. 통합입력기 개발·보완을 위한 요구사항 = 200
      1.3.4.2.4.2. 조사/어미/관형사/감탄사 검색기 개발을 위한 요구사항 = 200
      1.3.4.2.5. 정보 확장 작업을 위한 기반 연구 = 210
      1.3.4.2.6. 회의 = 216
      1.3.5. 의존명사/대명사/수사 전자사전 = 217
      1.3.5.1. 2006년도 연구 계획 및 추진 현황 = 217
      1.3.5.1.1. 개요 = 217
      1.3.5.1.2. 연구 내용별 추진 현황 = 217
      1.3.5.2. 의존명사/대명사/수사 전자사전 연구 수행 내역 = 218
      1.3.5.2.1. 상세기술사전 정보확장 = 218
      1.3.5.2.1.1. XML형식으로의 변환 및 미시구조 = 218
      1.3.5.2.1.2. 정보확장에 따른 구축지침 수정·보완 = 219
      1.3.5.2.1.3. 산출물의 수량 검수와 XML형식 검증 및 기술내용 보완 = 220
      1.3.5.2.2. 기초전자사전 정보확장 = 224
      1.3.5.2.2.1. XML 형식으로의 변환 및 미시구조 = 224
      1.4. 기구축 사전 보완·정제 = 231
      1.4.1. 관용표현 전자사전 = 231
      1.4.1.1. 2006년도 연구 계획 및 추진 현황 = 231
      1.4.1.1.1. 개요 = 231
      1.4.1.1.2. 연구 내용별 추진 현황 = 232
      1.4.1.2. 관용표현 전자사전 연구 수행 내역 = 233
      1.4.1.2.1. 상세기술사전 보완·정제 = 233
      1.4.1.2.1.1. 보완·정제 작업 개요 = 233
      1.4.1.2.1.2. 관용표현 상세전자사전 미시구조 = 234
      1.4.1.2.1.3. 관용표현 상세전자사전 구축지침 = 238
      1.4.1.2.2. 확장기초전자사전 보완·정제 = 276
      1.4.1.2.2.1. 보완·정제 작업 개요 = 276
      1.4.1.2.2.2. 관용표현 확장기초전자사전 미시구조 = 276
      1.4.1.2.2.3. 관용표현 확장기초전자사전 기술지침 = 278
      1.4.1.2.3. 관용표현 전자사전 보완·정제 목록 = 278
      1.4.1.2.4. 관용표현 전자사전 결과물 항목 수 및 검증 = 278
      1.4.1.2.5. 관용표현사전의 전산적 활용을 위한 기반연구 = 282
      1.4.1.2.5.1. 통합입력기 개발·보완을 위한 요구사항 = 282
      1.4.1.2.5.2. 관용표현 검색기 개발을 위한 요구사항 = 299
      1.4.1.2.5.3. 속담 범주 확정을 위한 연구 = 302
      1.4.1.2.6. 회의 = 302
      1.4.2. 특수어 전자사전 = 303
      1.4.2.1. 2006년도 연구 계획 및 추진 현황 = 303
      1.4.2.1.1. 개요 = 303
      1.4.2.1.2. 연구 내용별 추진 현황 = 303
      1.4.2.2. 특수어 전자사전 연구 수행 내역 = 304
      1.4.2.2.1. 상세기술사전 보완·정제 = 304
      1.4.2.2.1.1. 보완·정제 작업 개요 = 304
      1.4.2.2.1.2. 특수어 상세전자사전 미시구조 = 304
      1.4.2.2.1.3. 특수어 상세전자사전 구축지침 = 305
      1.4.2.2.2. 확장기초전자사전 보완·정제 = 309
      1.4.2.2.2.1. 보완·정제 작업 개요 = 309
      1.4.2.2.2.2. 특수어 확장기초전자사전 미시구조 = 309
      1.4.2.2.2.3. 특수어 확장기초전자사전 구축지침 = 310
      1.4.2.2.3. 특수어 전자사전 보완·정제 목록 = 310
      1.4.2.2.4. 특수어 전자사전 결과물 항목 수 및 검증 = 310
      1.4.3. 복합명사구 전자사전 = 314
      1.4.3.1. 2006년도 연구 계획 및 추진 현황 = 314
      1.4.3.1.1. 개요 = 314
      1.4.3.1.2. 연구 내용별 추진 현황 = 315
      1.4.3.2. 복합명사구 전자사전 연구 수행 내역 = 315
      1.4.3.2.1. 상세기술사전 보완·정제 = 315
      1.4.3.2.1.1. 보완·정제 작업 개요 = 315
      1.4.3.2.1.2. 복합명사구 상세전자사전 미시구조 = 316
      1.4.3.2.1.3. 복합명사구 전자사전 결과물 항목 수 및 검증 = 317
      1.4.3.2.1.4. 복합명사구 상세전자사전 구축지침 = 320
      1.4.3.2.2. 확장기초전자사전 보완·정제 = 340
      1.4.3.2.2.1. 보완·정제 작업 개요 = 340
      1.4.3.2.2.2. 복합명사구 확장기초전자사전 미시구조 = 340
      1.4.3.2.2.3. 복합명사구 확장기초전자사전 결과물 항목 수 및 검증 = 341
      1.4.3.2.2.4. 복합명사구 확장기초전자사전 기술지침 = 341
      1.4.3.2.3. 복합명사구 전자사전 보완·정제 목록 = 342
      1.4.3.2.4. 복합명사구 사전의 전산적 활용을 위한 기반연구 = 342
      1.4.3.2.4.1. 통합입력기 개발·보완을 위한 요구사항 = 342
      1.4.3.2.4.2. 복합명사구 검색기 개발을 위한 요구사항 = 342
      1.4.3.2.5. 회의 = 344
      1.5. 기획·운영 소분과 = 345
      1.5.1. 기획·운영 소분과 연구 계획 및 추진 현황 = 345
      1.5.1.1. 개요 = 345
      1.5.1.2. 연구 내용별 추진 현황 = 345
      1.5.2. 기획·운영 소분과 연구 수행 내역 = 346
      1.5.2.1. 세종전자사전 분과 전체 및 하위분과별 연구 기획·관리 = 346
      1.5.2.2. 워크숍, 세미나 및 각종 회의 기획과 진행 = 346
      1.5.2.2.1. 전체회의 및 전문가 초청 세미나 개최 = 346
      1.5.2.2.2. 분과사전 책임자, 연구원 회의 및 세미나 = 347
      1.5.2.2.3. 핵심사전분과 회의 및 세미나 = 347
      1.5.2.2.4. 분과 간 협의회 개최 = 347
      1.5.2.2.5. 세종계획 분과 간 협의회 참가진 운영 = 347
      1.5.2.2.6. 기초연구 및 연구발표 지원 = 348
      1.5.2.3. 계획서 및 각종 보고서 작성 = 348
      1.6. 의미정보 소분과 = 349
      1.6.1. 의미정보 소분과 연구 계획 및 추진 현황 = 349
      1.6.1.1. 개요 = 349
      1.6.1.2. 연구 내용별 추진 현황 = 350
      1.6.2. 의미정보 소분과 연구 수행 내역 = 350
      1.6.2.1. 세종 명사 의미부류 체계 및 지침서 보완·완성 = 350
      1.6.2.2. 의미부류 기반 의미표상 및 논항선택제약 기술방안 보완·개선 = 351
      1.6.2.2.1. 의미부류 기술 검토를 위한 자료 구축 = 351
      1.6.2.2.2. 의미부류 체계의 미비점 및 기술 오류 파악과 유형화 작업 = 353
      1.6.2.2.3. 해결방안 연구 = 354
      1.6.2.3. 세종전자사전의 의미정보 관리 = 355
      1.6.2.3.1. 체언사전의 의미정보 및 용언사전과의 비교 검토 예 = 356
      1.6.2.3.2. 용언사전의 논항선택제약 정보 및 체언사전과의 상관성 검토 예 = 358
      1.6.2.4. 용언 의미부류 체계 고안을 위한 연구 = 359
      1.7. 통사정보 소분과 = 362
      1.7.1. 2006년도 연구 계획 및 추진 현황 = 362
      1.7.1.1. 개요 = 362
      1.7.1.2. 연구 내용별 추진 현황 = 362
      1.7.2. 연구 수행 내역 = 363
      1.7.2.1. 세종전자사전의 통사정보 유형 정리 = 363
      1.7.2.2. 용언사전의 문형 정보 목록 정리 = 369
      1.7.2.3. 세종전자사전의 통사정보 검증용 표본문장 확장 = 375
      1.7.2.4. 세종전자사전 통사정보의 전산적 활용 방안 연구 = 376
      1.7.3. 별첨 결과물 파일 목록 = 377
      1.8. 전문영역 소분과 = 378
      1.8.1. 2006년도 연구계획 및 추진 현황 = 378
      1.8.1.1. 개요 = 378
      1.8.1.2. 연구 내용별 추진 현황 = 379
      1.8.2. 연구 수행 내역 = 379
      1.8.2.1. 세종 전자사전의 전문영역 체계 = 379
      1.8.2.2. 전문영역 표상 방법 및 기술 지침 = 382
      1.8.2.2.1. 전문어 정보 표기 원칙 = 382
      1.8.2.2.2. 전문영역별 기술 지침 = 385
      1.8.2.3. 세종 전자사전 전문어 용법 기술 내용 검토 및 수정·보완 = 396
      1.8.3. 회의 = 398
      1.9. 기초연구 = 399
      1.9.1. 분과사전별/정보항목별 전산적 활용도 심층 분석 및 평가 = 399
      1.9.2. 세종전자사전 기반 형태소 분석기 및 구문 분석기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401
      1.10. 통합지원 홍보 = 404
      1.10.1. 2006년도 연구 계획 및 추진 현황 = 404
      1.10.1.1. 개요 = 404
      1.10.1.2. 연구 내용별 추진 현황 = 404
      1.10.2. 연구 수행 내역 = 405
      1.10.2.1. 고유명사 확장기초전자사전 구축 = 405
      1.10.2.1.1. 개요 = 405
      1.10.2.1.2. 고유명사 확장기초전자사전의 미시구조와 기술 지침 = 405
      1.10.2.1.3. 고유명사 확장기초전자사전 기술 목록 = 408
      1.10.2.2. 세종전자사전의 정보표상형식 표준화 = 408
      1.10.2.3. 하위분과 사전 구축작업 지원 = 411
      1.10.2.3.1. 사전 데이터의 형식 검증, 평가 및 관리 = 411
      1.10.2.3.2. 각종 어휘자료 수집 및 표제어 목록 관리 = 419
      2. 통합전자사전 구축 분과 = 421
      2.1. 2006년도 연구 계획 및 추진 현황 = 421
      2.1.1. 개요 = 421
      2.1.2. 연구 내용별 추진 현황 = 422
      2.2. 통합전자사전 연구 수행 내역 = 423
      2.2.1. 통합전자사전 구축 = 423
      2.2.1.1. 각 분과의 상세기술사전 결과물 통합 및 관리 = 423
      2.2.1.2. 각 분과의 확장기초전자사전 결과물 통합 및 관리 = 424
      2.2.2. 통합전자사전 관리 시스템 개발·보완 = 427
      2.2.2.1. 웹 기반 통합 관리 시스템 수정 보완 = 427
      2.2.2.2. 유니코드용 웹 기반 통합 관리 시스템 확장 및 보완 = 429
      2.2.3. 통합전자사전 검색 시스템 개발·보완 = 430
      2.2.3.1. 체언 상세검색기 수정 보완 및 사전 업데이트 = 430
      2.2.3.2. 부사 상세검색기 개발 = 434
      2.2.3.3. 관용표현 상세검색기 개발 = 439
      2.2.3.4. 특수어 상세검색기 개발 = 444
      2.2.4. 통합전자사전 검증/평가 및 활용방안 연구 = 447
      2.2.4.1. 세종전자사전 기반 형태소 분석 프로그램 개발·보완 = 447
      2.2.4.2. 세종전자사전 기반 구문 분석 활용방안 연구 = 451
      2.2.4.3. 세종전자사전 기반 의미역 결정 및 활용방안 = 454
      2.2.5. 사전 구축 분과 지원 = 457
      2.2.5.1. 통합에디터의 오류 수정 및 보완 = 457
      2.2.5.2. 세종 말뭉치 형태소 분석결과 검색기 개발 = 459
      2.2.6. 2006년도 중간 및 최종 결과물 CD제작 = 460
      2.2.6.1. 2006년도 확장본 통합전자사전 = 460
      2.2.6.2. 기타 통합전자사전용 도구 = 461
      2.2.7. 회의 = 461
      Ⅴ. 결론 및 향후 전망 = 462
      1. 문제점 및 개선방안 = 462
      2. 전망 및 향후 계획 = 463
      Ⅵ. 참고문헌 = 464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d7345961987b50bf&control_no=e39848d78261becaffe0bdc3ef48d419#redirec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자료는 최종결과물(결과보고서)의 원자료이다. 본 연구는 한국어 명사의 화제 의미관계와 네트워크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의미부류 체계를 참조하여 모든 명사들의 화제...

      본 자료는 최종결과물(결과보고서)의 원자료이다.

      본 연구는 한국어 명사의 화제 의미관계와 네트워크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의미부류 체계를 참조하여 모든 명사들의 화제관련어들을 추출하고 의미의 관점에서 살펴보는 동시에 네트워크 특성에 대해 분석하였는데, 이 자료는 세종전자사전 연구에 사용된 자료이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