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장애아동의 치아우식경험과 구강위생상태에 관한 조사 = (A) study on the Dental Caries Experience and Oral Hygiene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99607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지체아동, 뇌성마비아동, 자폐아동의 치아우식경험과 구강위생상태를 알아보기 위한것으로, 3개의 특수학교(정신지체특수학교, 지체장애특수학교, 정서장애특수학교...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지체아동, 뇌성마비아동, 자폐아동의 치아우식경험과 구강위생상태를 알아보기 위한것으로, 3개의 특수학교(정신지체특수학교, 지체장애특수학교, 정서장애특수학교)에 재학중인 8-13세의 99명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통계처리 하였고, 장애유형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한 결론과 선행연구에 비추어 설명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유형별 치아우식경험을 조사한 결과 장애유형별로 치아우식경험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집단간 평균의 차이는 나타났다. 치아우식경험의 평균은 정신지체아동집단이 4.70, 뇌성마비아동집단이 4.58, 자폐아동집단이 3.67으로 정신지체아동집단이 가장 심한 치아우식경험을 나타냈고, 자폐아동집단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치아우식경험은 유치우식경험과 영구치우식경험 두 가지를 보는 것으로 유치우식경험에서의 집단간 차이, 영구치우식경험에서의 집단간 차이를 비교해보았다.
      유치우식경험에서는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집단간 평균의 차이가 나타났다. 정신지체아동집단이 4.50, 뇌성마비아동집단이 4.38, 자폐아동집단이 4.45로 정신지체아동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뇌성마비아동집단이 가장 적게 나타났다.
      영구치우식경험도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집단간 평균의 차이가 나타났다. 정신지체아동집단이 2.47, 뇌성마비아동집단이 2.81, 자폐아동집단이 2.13, 뇌성마비아동집단이 가장 높고, 자폐아동집단이 가장 적게 나타났다.
      둘째, 장애유형별 구강위생상태를 조사한 결과 장애유형별로 구강위생상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장애유형별 평균을 비교해 보면 정신지체아동집단이 32.30, 뇌성마비아동집단이 35.00, 자폐아동집단이 27.79로 뇌성마비아동이 구강위생상태가 가장 좋지 않으며, 그 다음으로 정신지체아동, 그리고 자폐아동의 구강위생상태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위생상태는 구강위생관리능력과 유두변연부착치은염 두 가지를 보는 것으로 구강위생관리능력에서 집단간 차이, 유두변연부착치은염에서의 집단간 차이를 비교해보았다.
      구강위생관리능력에서는 집단간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구강위생관리능력의 차이에 대해서 집단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사후검증(LSD)을 한 결과 뇌성마비아동과 자폐아동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지체아동집단은 22.70, 뇌성마비아동집단은 24.55, 자폐아동집단은 21.48로 뇌성마비아동에서 구강관리가 가장 안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정신지체아동, 자폐아동 순으로 나타났다.
      유두변연부착치은염에서는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집단간 평균의 차이가 나타났다. 정신지체아동은 9.61, 뇌성마비아동은 10.45, 자폐아동은 6.30, 으로 뇌성마비아동이 유두변연부착치은염이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정신지체아동, 자폐아동순으로 자폐아동이 가장 유두변연부착치은염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를 선행연구와 비추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 결과 장애유형별 치아우식경험은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길라(1991)의 장애유형별 치아우식경험에서 정신지체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뇌성마비군과 자폐군에서 정신지체군보다는 낮은 수치를 보였다는 결과와 일치하지 않는다. Swallow(1969)는 자폐인에서 치아우식증이 많을 것으로 예측됨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자폐인 보호자들이 사회적 지위가 높아 구강위생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 자폐인과 정상인의 치아우식증이 비슷하게 나타났다(류영덕, 1999, P 168)고 하였는데 이 결과와도 일치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연구의 결과는 선행연구와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연구 대상 선정에 문제가 있을 수도 있고, 연구의 대상 선정 시 구강위생관리가 장애의 정도에 따라 차이를 보일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지 못한 점 때문에 그 결과가 달리 나타날 수도 있을 것이다.
      둘째, 장애유형별 구강위생상태는 어떠한가를 조사한 결과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구강위생관리능력에서는 집단간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두변연부착치은염에서는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위생관리능력의 차이에 대해서 집단간 차이는 뇌성마비아동과 자폐아동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선행연구에 비추어보면, 구강위생관리를 위한 잇솔질을 하는 능력에 있어서 뇌성마비인이 운동기능 장애로 인해 구강위생관리능력이 불충분하고 이에 따른 치주질환의 발생빈도가 높다는 송정우(2002)의 결과와도 일치한다. 정의태(1988)가 치은염유병자율과 치은염유병부분수를 각 장애유형간에 비교해 본 결과 뇌성마비군이 현저히 높음을 보고한 결과와 일치한다. 한창규·이긍호(1994)의 올바른 잇솔질의 시행이 곤란하고, 충분한 잇솔질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치주질환의 발생이 높고, 또한 구강내와 구강주위근육간의 불균형으로 부정교합의 발생빈도가 높다는 결과와도 일치한다. 이와 같이 대부분의 연구는 뇌성마비를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뇌성마비가 타 장애보다 구강위생관리 능력이 불충분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구강위생관리능력검사에 있어서 연구자가 대상자의 검사전 잇솔질 여부를 정확하게 알 수 없었다는 점과, 선행연구들이 비장애아동과 장애아동간의 비교 연구는 상당히 많이 이루어진것에 비해, 각 장애유형간의 비교 선행연구는 많지 안다는 점이 선행연구와의 차이를 비교하는데 제한점을 갖는다. 또한 장애유형중 자폐아동을 대상으로한 관련 연구가 특히 부족함에 따라 앞으로 많은 연구가 있어야 된다고 본다.
      지금까지의 결과를 통해 볼 때 장애유형별로 공통적으로 치과 질환이 계속적으로 발생하는 질환이며 치과질환이 발생하면 치료받는 것이 비장애아동에 비해 많은 인력과 시간과 경제적 부담과 노력이 요구됨에 따라, 근본적인 대책으로 예방차원의 구강관리능력향상과 예방적 처치가 중요하며, 기대효과도 크다고 본다. 장애아동의 개별적 지도목표에 따른 잇솔질 교육을 시행하며, 잇솔질 교육이 불가능한 중증의 장애아동은 가족으로 구성된 Home care(가정관리)와 전문가로 구성된 Professional care(전문가관리)를 받도록 하며, 예방처치로 치아우식증발생을 억제하는 불소도포, 치면열구전색(치아홈메우기), 식이조절등, 정기적으로 치과검진을 통해 정확한 검사가 선행되어야 치료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보통 3개월 주기로 내원이 필요하다고 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is on the purpose of examine into Dental Caries Experience and Oral Hygiene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cerebral palsy, and autism. It handled for statistics from 99 students, from 8 to 12 ages of 3 special school(for children ...

      This research is on the purpose of examine into Dental Caries Experience and Oral Hygiene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cerebral palsy, and autism. It handled for statistics from 99 students, from 8 to 12 ages of 3 special school(for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physical difficulties, emotional disturbance), looked into regardful differences by trouble types.
      Following the conclusion.
      First of all, the conclusion from research of Dental Caries Experience by trouble types, nothing of statistical regardful differences but the averages of Dental Caries Experience revealed 4.70 for group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4.58 for group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3.67 for group of autistic children,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group is severe, autistic children group is few.
      Dental Caries Experience is composed for dmft and DMFT, compared difference between groups about dmft and DMFT.
      Nothing of statistical regardful differences on dmft index, 4.50 for group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4.38 for group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4.45 for group of autistic children,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was revealed highest, group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was revealed lowest.
      2.47 for group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2.81 for group of autistic children, 2.13 for group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on DMFT, it revealed highest o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lowest on autistic children.
      Second of all, the conclusion from research of Oral Hygiene by trouble types, statistically regardful differences were revealed. It shows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is on worst stat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is on next state, autistic children is on best state by compare for averages by trouble types, 32.30 for group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35.00 for group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27.79 for autistic children.
      Oral Hygiene is composed for PHP and PMA, compared difference between groups about PHP, and PMA.
      Statistically regardful difference between groups revealed on PHP. It revealed betwee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nd autistic children by LSD to inquire difference between groups about difference of PHP. 22.70 for group of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24.55 for group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21.48 for group of autistic children, worst state on oral care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next th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and autistic children.
      Nothing of statistically regardful difference between groups on PMA, 9.61 for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10.45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6.30 for autistic children. PMA is the most frequent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next th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and autistic childre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 문제 = 3
      • 3. 용어의 정의 = 3
      • <목차>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 1
      • 2. 연구 문제 = 3
      • 3. 용어의 정의 = 3
      • Ⅱ. 이론적 배경 = 5
      • 1. 구강위생과 건강 = 5
      • 2. 장애아동의 양대 구강병 = 8
      • Ⅲ. 연구 방법 = 11
      • 1. 대상 = 11
      • 2. 검사 도구 = 12
      • 3. 자료수집 절차 = 15
      • 4. 자료 처리 = 15
      • Ⅳ. 연구 결과 = 16
      • 1. 장애유형별 치아우식 경험 = 16
      • 2. 장애유형별 구강위생 상태 = 17
      • Ⅴ. 결론 = 20
      • 참고문헌 = 24
      • 부록 = 26
      • Abstract = 2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