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특성화 대안학교 고등학생의 자기조절능력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 The Development of a Group 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Self-Regulation Competence of Alternative High Schoo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451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 대안학교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조절능력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프로그램 개발과정은 박인우(1995)의 체계적인 상담 프...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 대안학교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조절능력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프로그램 개발과정은 박인우(1995)의 체계적인 상담 프로그램 개발 모형에 따라 조사, 분석, 설계, 구안, 적용의 5단계로 이루어졌다. 조사단계에서는 다양한 선행연구 고찰과 연구대상 범위에 있는 113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단계에서는 조사단계의 결과를 바탕으로 프로그램 목적, 회기별 목표, 회기수를 결정하였다. 설계 및 구안단계는 목적, 목표, 회기별 목표에 따른 활동안을 작성하였고 이론전문가 및 현장전문가의 자문과정과 예비검사과정을 거쳐 수정․보완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적용단계에서는 전라남도 Y특성화 대안학교 학생 30명을 실험집단 15명과 통제집단 15명을 배치하여 프로그램을 처치하고, 프로그램 전․후 자기조절능력 검사(이순규, 1995)를 실시하고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실험집단의 자기조절능력의 변화가 통제집단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된 특성화 대안학교 고등학생의 자기조절능력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특성화 대안학교 고등학생의 자기조절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self-regulation competence for the alternative high school students. This group counseling program to enhance school resilience is researched, analyzed, designed, developed and applied. It surveyed 113 alt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self-regulation competence for the alternative high school students. This group counseling program to enhance school resilience is researched, analyzed, designed, developed and applied. It surveyed 113 alternative high school students for actual requirement. It developed final program by pilot, experts of theories, on-the-spot experts. To verify the hypotheses, The test tool was The test tool was the scale standardized by Lee Soon-Gyu(1995) from the self-control evaluation scale developed by Kendall & Wilcox (1979). The data was submitted to SPSS/Windows 12.0 for the mixed ANOVA and analysis of the students' experience reports and counselor observation contents was accompanied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quantitative result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change in self-regulation competence and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n the experience reports and observational data showed that the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self-regulation competence for the alternative high school studen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인우, "효율적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체계적 모형" 20 : 19-40, 1995

      2 고유경, "학습동기가 높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수준에 따른 의지조정 전략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3 허정경, "학령기 아동의 자기조절능력 척도 개발과 관련 변인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4 "학교 떠나는 학생 늘어"

      5 이풍길, "특성화고교 대안학교의 운영 현황과 문제점 분석연구"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3 (33): 1-22, 2001

      6 김태연, "특성화 대안학교 정책 평가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8

      7 신연주, "초등 저학년 인터넷 중독 예방을 위한 자기조절능력 향상 집단 프로그램 개발" 한남대학교 대학원 2009

      8 신희영, "초·중학생의 정서조절능력과 전략유형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9 김인옥, "청소년의 자기조절능력과 부모의 양육태도, 또래관계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0 신혁구, "청소년의 스포츠활동 참여가 자기표현행동과 조절능력 및 여가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1 장재홍, "청소년의 게임행동 변화동기 유형에 따른 자기조절 전략과 변화행동 촉진요소에서의 차이" 한국상담학회 8 (8): 1637-1656, 2007

      12 한상철, "청소년기 위험행동의 원인 및 보호적 요소와 발달적 모형에 대한 탐색적 연구" 39 (39): 291-312, 2001

      13 청소년 백서, "청소년 백서" 보건복지가족부 2005

      14 최심영,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청소년의 자기조절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나사렛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09

      15 박묘선, "중학교 학생의 자기조절 실태와 심리적 변인간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16 김지아, "자기조절향상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2

      17 김명희, "자기조절학습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8 양명희, "자기조절학습의 모형탐색과 타당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19 김홍석, "자기조절학습과 부모학습관여형태에 따른 전환기 초등학생의 학업성취수준" 한국상담학회 10 (10): 2321-2333, 2009

      20 정숙연, "자기조절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충동성 및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1 김동훈, "자기조절능력, 스트레스, 정서지능이 학습동기화 유형에 미치는 영향" 관동대학교 대학원 2006

      22 이순규, "자기조절 학습훈련이 아동의 자주적 학습태도 및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5

      23 김윤경, "자기조절 학습전략 훈련이 아동의 충동성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24 강대철, "자기조절 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자기조절능력과 인터넷 과다사용 경향에 미치는 영향"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5 남호선, "자기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6 곽윤정, "유아의 정서조절 척도 개발에 관한 예비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2 (12): 197-223, 2005

      27 박지현,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 자기조절능력 증진과 공격성 감소효과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0

      28 양옥승, "유아 때부터 시작하는 자유선택교육" 학지사 2004

      29 박소영,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아동의 자기효능감 및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30 남재희,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양육태도 및 아동의 자기조절능력간의 관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31 정정애, "부모양육태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성취목표지향성이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학회 11 (11): 1191-1202, 2010

      32 전선숙, "또래상담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자기표현능력과 자기조절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33 한혜정, "가정폭력이 청소년의 자아분화와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교 정보복지대학원 2006

      34 Ponitz, C. C., "Touch your toes! Developing a direct measure of behavioral regulation in early childhood" 23 : 141-158, 2008

      35 Bodrova, E., "Tools of mind: The vygotskian approach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Merrill/Prentice Hall 1996

      36 Eisenberg, N., "The relations of emotionality and regulation to preschool's social skills and sociometric status" 64 : 1418-1438, 1993

      37 Lengua, L. J., "The contribution of emotionality and self-regulation to the understanding of children's response to multiple risk" 73 (73): 144-161, 2002

      38 Olson, S. L., "Teacher ratings of behavioral self-regulation in preschool children : A Japanese/US Comparison" 21 (21): 609-617, 2000

      39 Bodrova, E., "Self-regulation as a key to school readiness. How early childhood teachers can promote this critical competency, In Critical issues in early childhood professional development" Paul H. Brookes Publishing 2006

      40 Kendall, P. C., "Self-control in children : Development of a rating scale" 47 (47): 1020-1029, 1979

      41 Gottmans, J. M., "Effect of martial discord on young children's peer interaction and health" 25 (25): 373-381, 1989

      42 Miller, D. C., "Adolescents' decision making in academic and social contexts: A self-regulation perspective" ProQuest Information & Learning 2000

      43 Zimmerman, B. J., "A social cognitive view of self-regulated academic learning" 81 (81): 329-339, 198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9-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Counseling Association (KCA)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5-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 jounal of counseling -> Korea Journal of Counseling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2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 jounal of counseling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9 2.19 2.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45 2.48 3.426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