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소통’의 『이고리 원정기』 = A Study of Communication in The Lay of Igor`s Campaig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어떤 의미에서, 『이고리 원정기』는 ‘소통’을 위한 텍스트라고도 말할 수 있다. 역사적 관점에서 보자면 중세 키예프 루시 시대 수좌도시로서의 권위를 누려온 키예프에 대항하는 체르...

      어떤 의미에서, 『이고리 원정기』는 ‘소통’을 위한 텍스트라고도 말할 수 있다. 역사적 관점에서 보자면 중세 키예프 루시 시대 수좌도시로서의 권위를 누려온 키예프에 대항하는 체르니고프 공령(Черниговское княжество) 공후들의 소통의 불충분함, 그로 인한 체르니고프 공후들의 독단적인 원정과 패배, 비록 체르니고프 공령 공후들의 원정이 잘못된 것이었다 하더라도 위기에 빠진 루시 전체를 외면하는 다른 공령 공후들의 모습은 소통의 부재와 실패에서 비롯한 결과이다. 이를 잘 아는 작품의 익명의 저자는 자신의 작품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다름아닌 ‘소통’을 내세우고 있다. 외적에 맞서 내부의 단합이 필요하다는 메시지 전달과 키예프 루시 공령 공후들의 결속과 단결을 위해 작가는 텍스트의 수신인인 청자/독자를 향한 부단한 소통을 시도하고 있으며, 또한 자신의 메시지의 정당성과 전달의 효율성을 대단히 강조하고 있다. 즉, 작품의 중요한 구성적 지향으로 타자의 목소리와 작가 자신의 목소리와의 조화를 통한 소통 지향은 심지어 남성적 목소리와 여성적 목소리의 교호(交互)로 실현되고 있으며, 인간과 자연과의 소통 또한 적극적으로 조명되고 있다. 또한, 가장 적극적이며 효율적으로 청자/독자와의 소통을 위해 작가는 중세 문학 일반의 특징이라 할 수 있을 장르의 유연성 또한 충분히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이고리 원정기』에 대한 소통의 전략이라는 측면에서 그간 누적 되어온 중세 동슬라브 서사시 연구에서 하나의 빈 고리를 채울 수 있다는 점에서 이 논문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aimed at examining The Lay of Igor`s Campaign, an anonymous epic poem written in the Old East Slavic languag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trategy of communication. The poem revolves around a unsuccessful raid by Kniaz Igor Svyatoslavic...

      This paper is aimed at examining The Lay of Igor`s Campaign, an anonymous epic poem written in the Old East Slavic languag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trategy of communication. The poem revolves around a unsuccessful raid by Kniaz Igor Svyatoslavich, Prince of Novgorod-Seversk in 1185 on the Polovtsians tribe residing in the southern area of the Don region. In a sense, The Lay of Igor`s Campaign can be said to be the text for "communication." From a historical point of view, the inadequate communication of Chernigov's prices against Kiev, who enjoyed its authority as a medieval Kievan Rus`, and the resulting dogmatic and defeat of Chernigov princedom against nomads’ tribes of steppe, even though the expeditions of Chernigov's princes were wrong, the other appearances that dismiss Rus` in a crisis are the result of lack of communication and failure. An anonymous author of a work that knows this well, says that the most important element in her work is the very itself of communication. In order to deliver a message that internal unity is needed against external enemies and to unite and unite the Kiev-Russian followers, the author tries to communicate with the listener/reader as the recipient of the text. In other words, as an important constructive orientation of the work, the intention to communicate through harmony between the voice of the other and the artist's own voice is realized even by the alternation of the masculine and feminine voices. In addition,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the listener/reader most actively and efficiently, the artist also takes full advantage of the flexibility of the genre,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medieval literature in general. Thus,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can be found in that it can fill a small empty loop in the accumulated research of medieval East Slavic epic in terms of communication strategy about The Lay of Igor`s Campaig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미하일 바흐틴, "문예학의 형식적 방법" 문예출판사 1992

      2 Лихачев, Д. С, "и култура его времени. 2-еизд" 1985

      3 Крутоус, В. П, "Эстетика «Слова о полку Игореве»: Феномен ирефлексии" 7 (7): 40-46, 1988

      4 Зайцев, А. К, "Черниговское княжество X-XIII вв" 2009

      5 Лихачев, Д. С, "ТОДРЛ. Т. XXVII" 69-75, 1972

      6 Лотман, Ю. М, "Структура художественного текста" Brown Univ. Press 1971

      7 Демкова, Н. С, "Средневековая русская литература" Изд-во. СПбУ 1997

      8 Яценко, Б. И, "Солнечное затмение в «Слове о полку Игореве»" XXXI : 116-122, 1976

      9 Ранчин, А. М, "Слову о полку Игореве" Изда-тельсьво московского университета 2012

      10 Терехина, М. Т, "Слово о полкуИгореве и мировоззрение его эпохи" Киев 146-153, 1990

      1 미하일 바흐틴, "문예학의 형식적 방법" 문예출판사 1992

      2 Лихачев, Д. С, "и култура его времени. 2-еизд" 1985

      3 Крутоус, В. П, "Эстетика «Слова о полку Игореве»: Феномен ирефлексии" 7 (7): 40-46, 1988

      4 Зайцев, А. К, "Черниговское княжество X-XIII вв" 2009

      5 Лихачев, Д. С, "ТОДРЛ. Т. XXVII" 69-75, 1972

      6 Лотман, Ю. М, "Структура художественного текста" Brown Univ. Press 1971

      7 Демкова, Н. С, "Средневековая русская литература" Изд-во. СПбУ 1997

      8 Яценко, Б. И, "Солнечное затмение в «Слове о полку Игореве»" XXXI : 116-122, 1976

      9 Ранчин, А. М, "Слову о полку Игореве" Изда-тельсьво московского университета 2012

      10 Терехина, М. Т, "Слово о полкуИгореве и мировоззрение его эпохи" Киев 146-153, 1990

      11 Творогов, О. В. (Отв. ред.), "Слова о полку Игореве ТТ. 1-5" 1995

      12 Гаспаров, Б. М, "Слова о полку Игореве" Wiener Slawistischer Almanach 2000

      13 Горский, А. А, "Русь, От славянского Расселения до Московского царства" 2004

      14 Лихачев, Д. С, "Развитие русской литературы X-XVII веков: Эпохи истили" 1973

      15 Николаева, Т. М, "Поэтика и лингвистикатекста" 1997

      16 "Памятники литературы Древней Руси. XII" Художественнаялитература 1980

      17 Толочко, А. П, "Очерки начальной Руси" Киев 2015

      18 Робинсон, А. Н, "Литература Древней Руси в литературномпроцессе средневековья XI-XIII веков: Очеркилитературно-исторической типологии" 314-335, 1980

      19 Еремин, И. П, "Лекции и статьи по древней русской литературе. 2-еизд" 1987

      20 "Лаврентьевская летопись. 2-еиздание" Языки славянской культуры 2001

      21 Рыбаков, Б. А, "Киевская Русь и русские княжества" 1982

      22 Гудзий, Н. Г, "История древнерусской литературы. 7-е изд" 1966

      23 Лихачев, Д. С, "Историко-литературныйочерк. 2-e изд" 1982

      24 Лихачев, Д. С, "Исследования по древнерусской литературе" 1986

      25 "Ипатьевская летопись. 2-е издание" Языки славянской культуры 2001

      26 Творогов, О. В, "Древяя Русь, события и люди" СПб 2001

      27 Данилевский, И. Н, "Древняя Русь глазами современников и потомков(IX-XII вв.)" 2001

      28 Лихачев, Д. С, "Героический пролог русскойлитературы" 1967

      29 Косоруков, А. А, "Гений без имени" 1986

      30 Под ред. Л. А. Дмитриева, "Библиотека литературы Древней Руси. Т. 4. XII век" Наука 1997

      31 Ворт, Д. С. (Worth, D. S.), "«Слово о полку Игореве»: Комплексные исследования" 38-45, 1988

      32 Абрамов, М. А, "«Слово о полку Игореве» и мировоззрение его эпохи" Киев 154-163, 1990

      33 Poggioli, Renato, "The Spirit of the Letter: Essays in European Literature" Harvard Univ. Press 3-49, 1965

      34 Dimnik, Martin, "The Dynasty of Chernigov, 1146-1246"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35 Dimnik, Martin, "The Dynasty of Chernigov, 1054-1146" Pontifical Institute of Mediaeval Studies 1994

      36 Jakobson, Roman, "Selected Writings IV: Slavic Epic Studies" Mouton 1966

      37 Tschizewskij, Dmitirij, "Russian Intellectual History" Ardis 1978

      38 Čiževskij, Dmitry, "History of Russian Literature: from the 11th Century to the End of the Baroque" Mouton 1971

      39 Worth, Dean S, "Cyrillomethodianum, vols. 8-9" Association hellénique d'études slaves 29-36, 198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3-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Humanities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7-29 학회명변경 한글명 : 인문과학연구소 -> 인문학연구원
      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for Humanities -> Institute for Humanities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 0.4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5 0.35 0.858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