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충남·전북지역 볏짚 상징물의 무형유산적 가치 = Intangible heritage value of Rice straw symbols in Chungcheongnam-do and Jeollabuk-d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0323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ice straw symbols are created to convey an abstract concept or meaning in a concrete way. In Korea, rice straw symbols are found in folk beliefs, as well. Transmitted since early times, folk beliefs involve such acts as selecting an object and puttin...

      Rice straw symbols are created to convey an abstract concept or meaning in a concrete way. In Korea, rice straw symbols are found in folk beliefs, as well. Transmitted since early times, folk beliefs involve such acts as selecting an object and putting faith in it to make a life comfortable. Such rice straw symbols are found only in rice farming culture zones and were used to express wishes for good harvests, life force, fecundity, well-being of the village community, expulsion of evils, and good luck.
      Based on this interest in rice straw symbols for their symbolism and making techniques, this study selected three rice straw symbols, which include Geumjul, tug-of-war, and Byeotgaridae, in two of the seve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ategories in the nation, which are "social consciousness including folk beliefs" and "play, festivals and skills, and martial arts." Chapter 2 examined the attributes of rice plants and straws to understand rice straw symbols. Chapter 3 examined the meanings and functions of rice straw symbols. Chapter 4 looked into their making techniques, transmission, and values as intangible heritage.
      The findings show that rice straw symbols were created based on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symbolism of rice straws. They were an element of traditional culture that was common across different rice farming culture areas, thus holding values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old days saw no need for master craftsmen that would make rice straw symbols, but today there is a shortage of manpower to create them. It has been difficult to transmit cultural heritage due to the deconstruction of traditional villages following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absence of manpower for transmission according to aging, and lack of conditions and population to transmit cultural heritage. There is a need for documentation and transmission environments to preserve cultural heritage.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some rice straw symbols and did not analyze the entire rice straw symbols. In the future, alternative researches will be needed on the overall current state, making techniques, and transmission of rice straw symbo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볏짚 상징물은 볏짚을 주재료로 하여 추상적인 개념이나 의미 등을 구체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볏짚으로 제작한 것이다. 이러한 볏짚 상징물은 우리나라의 민간신앙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데...

      볏짚 상징물은 볏짚을 주재료로 하여 추상적인 개념이나 의미 등을 구체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볏짚으로 제작한 것이다. 이러한 볏짚 상징물은 우리나라의 민간신앙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데, 벼농사 문화권에서만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충청남도와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볏짚 상징물의 상징성을 연구하고, 제작기법과 전승 실태를 통해서 볏짚 상징물이 지닌 무형유산적 가치를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무형문화유산 7개 범주 중 ‘민간신앙 등 사회적 의식’과 ‘놀이 ․ 축제 및 기예 ․ 무예’에 해당하는 세 가지 볏짚 상징물인 금줄, 줄다리기, 볏가릿대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Ⅱ장에서는 볏짚 상징물의 주재료인 벼와 볏짚이 가진 속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벼와 볏짚은 농학(農學)에서 흔히 연구되는 주제로, 농학의 관점에서 연구되는 벼와 볏짚의 역사, 활용, 재질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한편 벼와 볏짚의 상징성은 볏짚 상징물을 이해하기 위해 살펴보았다. 벼는 생명력을 상징하고, 신성함을 상징한다. 또한 볏짚은 악귀(惡鬼)와 부정(不淨)한 것을 물리치는 벽사력(辟邪力)을 상징하고, 벼 보다 생명력이 더욱 증대되어 안산(安産)을 도와주고 아이의 성장을 도와주는 힘을 상징한다.
      Ⅲ장은 볏짚 상징물의 의미와 기능에 대해 알아보았다. 첫째, 금줄은 생명력과 신성, 벽사의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금줄의 기능은 완전하고 완성된 상태로 변화시키는 주술적 용구(用具)의 기능과 어떤 사물에 신성을 부여하고, 잡귀나 사람을 금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둘째, 줄다리기는 농경사회에서 생산력을 보장받기 위한 편싸움이면서 동시에 풍농을 기원하고, 폐백을 의미한다. 줄다리기의 기능은 두 가지로 마을의 변고나 액을 막고 복을 부르는 제액초복의 기능과 공동체 구성원에게 일체감을 갖게 하는 기능을 한다. 셋째, 볏가릿대는 우주목 또는 우주축의 하나로서 하늘과 땅을 연결해주며, 한 해 농사의 풍요를 기원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또한 풍흉을 예측하고, 마을 주민들 간의 화합의 장을 마련하는 마을공동체의례의 기능을 한다.
      Ⅳ장에서는 Ⅲ장을 바탕으로 세 가지 볏짚 상징물의 제작과 전승 체계를 설명하였다. 현지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볏짚 상징물의 제작기법과 전승 실태와 볏짚 상징물이 지닌 무형유산적 가치를 살펴보았다.
      이상으로 살펴본 볏짚 상징물의 제작 동기는 벼농사 문화권에서 의례와 사회적 의식, 놀이를 할 때 공동체가 가지고 있었던 염원을 함축적이고 상징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처럼 볏짚 상징물은 벼농사 문화권에서 보편적으로 볼 수 있는 전통문화이다. 줄다리기는 2015년에 벼농사(稻作) 문화권에서 볼 수 있는 전통문화 중 하나로 1960년 후반부터 국가무형문화재와 시도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또한 무형문화유산의 가치를 인정받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으로 등재되었다. 이외에도 금줄과 볏가릿대는 벼농사 문화권에서 유사한 형태로 전통문화가 전승되고 있어서 기존에 지정된 줄다리기와 같이 벼농사 문화권의 특성을 가진 문화유산으로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다만 기존에는 볏짚 상징물을 제작할 때 특정한 제작자인 장인이 필요 없었지만, 현재는 볏짚 상징물을 제작하는 인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한 전통 마을의 해체, 고령화에 따른 전승인력의 부재, 마을 문화를 전승할 수 있는 여건과 인구 부족으로 인해 문화유산의 전승이 어렵다면 문화유산의 보존을 위해 기록화와 전승환경을 마련할 필요성이 있다.
      본 논문은 일부 볏짚 상징물을 주제로 했기 때문에 볏짚 상징물 전체를 분석할 수 없었다. 향후 볏짚 상징물의 전체 현황과 제작기법, 볏짚 상징물의 전승을 위한 대안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1
      •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 2. 선행연구 검토 3
      • 3. 연구 범위와 방법 7
      • Ⅰ. 머리말 1
      •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 2. 선행연구 검토 3
      • 3. 연구 범위와 방법 7
      • Ⅱ. 벼와 볏짚의 속성 11
      • 1. 벼와 볏짚의 역사 11
      • 2. 벼와 볏짚의 과학성과 상징성 13
      • Ⅲ. 볏짚 상징물의 의미와 기능 18
      • 1. 금줄 18
      • 2. 줄다리기 25
      • 3. 볏가릿대 34
      • Ⅳ. 볏짚 상징물의 제작과 전승 체계 42
      • 1. 볏짚 상징물의 제작기법 42
      • 2. 볏짚 상징물의 전승 실태 56
      • 3. 볏짚 상징물의 무형유산적 가치 60
      • Ⅴ. 맺음말 65
      • 참고문헌ㆍ누리집 67
      • Abstract 7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