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초유동 콘크리트의 개발 및 실용화 연구(최종)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ocused in this project on the improvement of quality and performance of concrete as a way to prevent damages from unreliable construction and secure technical improvement. The primary purpose of the project is to develop the super flowing concrete(SF...

      Focused in this project on the improvement of quality and performance of concrete as a way to prevent damages from unreliable construction and secure technical improvement. The primary purpose of the project is to develop the super flowing concrete(SFC) suitable for domestic construction. SFC improves the performance of concrete, which has been relied upon workers, on casting in place by the in nature of characteristics of the concrete such as workability, durability, and quality. It has been proved that SFC can be used for any purpose by practical applications of the concrete in the testing specimen and the real office building struc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필요한 다짐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지금까지 인력에 의존하였던 콘크리트의 시공성·내구성·품질 등을 콘크리트 성능 자체에 부여하�...

      본 연구에서는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필요한 다짐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지금까지 인력에 의존하였던 콘크리트의 시공성·내구성·품질 등을 콘크리트 성능 자체에 부여하는 것이다. 따라서, 유동성·충전성·재료분리 저항성을 갖는 총유동 콘크리트를 개발하였으며, 현장적용을 통해 다짐을 하지 않더라도 양호한 품질을 갖는 콘크리트의 성능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1 연구배경
      • 1.2 고성능 콘크리트의 정의
      • 1.3 연구목적 및 범위
      • 1.4 연구의 필요성 및 활용방안
      • Ⅰ. 서론
      • 1.1 연구배경
      • 1.2 고성능 콘크리트의 정의
      • 1.3 연구목적 및 범위
      • 1.4 연구의 필요성 및 활용방안
      • Ⅱ. 국내ㆍ외 연구동향
      • 2.1 국내의 연구동향
      • 2.2 국외의 연구동향
      • 2.3 시공사례
      • 2.4 1차년도 연구성과 요약
      • Ⅲ. 초유동 콘크리트의 일반적인 특성
      • 3.1 초유동 콘크리트의 재료특성
      • 3.2 초유동 콘크리트의 평가특성
      • 3.3 초유동 콘크리트의 Rheology 특성
      • 3.4 초유동 콘크리트의 장기특성
      • Ⅳ. 초유동 콘크리트의 배합설계
      • 4.1 개요
      • 4.2 배합설계의 기본개념
      • 4.3 배합설계에 따른 실험적 고찰
      • 4.4 향후과제
      • V. 초유동 콘크리트 개발 및 현장적용
      • 5.1 개요
      • 5.2 사용재료 특성
      • 5.3 배합설계 및 변수별 시험
      • 5.4 F급 플라이애쉬를 사용한 초유동 콘크리트
      • 5.5 C급 플라이애쉬를 사용한 초유동 콘크리트
      • 5.6 초유동 콘크리트의 현장적용
      • Ⅵ. 초유동 콘크리트의 장기거동
      • 6.1 개요
      • 6.2 실험계획 및 방법
      • 6.3 실험결과 및 분석
      • 6.4 결론
      • Ⅶ. 초유동 콘크리트의 품질관리를 위한 지침(안)
      • 7.1 총론
      • 7.2 초유동 콘크리트의 재료
      • 7.3 초유동 콘크리트의 배합
      • 7.4 초유동 콘크리트의 제조· 운반
      • 7.5 초유동 콘크리트의 관리항목
      • Ⅷ. 결론 및 향후방안
      • 8.1 결론
      • 8.2 향후방안
      • 부록1. 용어정의
      • 부록2. 실험사진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