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세계 지리교육 연구의 최근 동향에 대한 언어 네트워크 분석 = A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the Current Trends in Global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015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current trends in global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Academic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Geography, Journal of Geography in Higher Education, Geography, and International Research in Geographic...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current trends in global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Academic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Geography, Journal of Geography in Higher Education, Geography, and International Research in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Education during 2000-2017 were chosen as the subject of this study. These journals are considered to be representative international academic journals in the field of geography education, and therefore provide insight into global research trends in geography education. The titles, abstracts, and keywords of the articles were analyzed using the method of semantic network analysis in order to develop a systemic understanding of the international trends of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KrKwic and UciNet 6, and the results were interpreted under consideration of the five agendas of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suggested in A Road Map for 21st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As a result, 38 core concepts related to the five agendas were drawn. These included geography teaching and learning, teacher preparation, field trips, geospatial technologies, and geography curriculum. These core concepts composed a close and tightly interconnected pattern in the semantic network. The semantic network included concepts related to several agendas of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In comparison, South Korean research tends to focus on geography learning and curriculum. This suggests that South Korean geography research needs to approach more diverse subjects in a more intensive manner, including geography teacher preparation and field trips. In addition, South Korean geography education researchers should consider the results and discussions of international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on geospatial technologies, geography teaching and assessment, and field trips in order to improve future research on South Korean geography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세계 지리교육 연구의 최근 동향을 파악하고 분석하는데 목적을 둔다. 연구대상으로는 2000년∼2017년 발간된 Journal of Geogrpahy, Journal of Geography in Higher Education, Geography, International Rese...

      본 연구는 세계 지리교육 연구의 최근 동향을 파악하고 분석하는데 목적을 둔다. 연구대상으로는 2000년∼2017년 발간된 Journal of Geogrpahy, Journal of Geography in Higher Education, Geography, International Research in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Education의 4개 국제학술지에 수록된 학술논문을 선정하였다. 이들 4개 학술지는 지리교육 연구논문을 주로 게재하는 SSCI 및 SCOPUS 등재 학술지이기 때문에, 지리교육 분야의 세계 연구동향을 파악하는데 적절한 ‘국제저명학술지’로 판단하였다. 연구동향 분석이 체계적, 구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주요 개념들 간의 언어적 연결성 및 체계성을 분석하는 기법인 언어 네트워크 분석에 기초하여 논문들의 제목, 요약, 핵심어를 분석하였다. 분석 도구로는 KrKwic 및 UciNet 6를 활용하였으며, A Road Map for 21st Geography Education Research에 언급된 지리교육 연구의 5대 방향을 참고하여 결과를 해석하였다. 분석결과 지리 교수 및 학습, 교사교육, 공간정보기술과 답사, 지리 교육과정 등 지리교육 분야의 주요 연구주제들과 관련되는 38개의 핵심개념들이 추출되었다. 이들은 의미연결망 내부에서 상호긴밀하게 연결되는 패턴을 형성하였다. 전체적으로 지리 학습이나 교육과정 등에 치우친 측면이 보이는 국내 지리교육 연구동향에 비해, 국제학술지의 동향에서는 지리 교사와 교수 및 평가, 공간정보기술 등 보다 폭넓은 주제들을 망라하는 특징이 관찰된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우리나라 지리교육 학술연구들도 보다 다양한 연구주제들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아울러 공간정보기술, 교사교육, 평가 등에 대한 국제적인 학술연구의 성과와 함의가 향후 우리나라 지리교육 연구에 구체적으로 어떤 함의를 제시할 것인가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성 또한 제기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한우, "한국어의 내용분석을 위한 KrKwic 프로그램의 이해와 적용 : Daum.net에서 제공된 지역혁신에 관한 뉴스를 대상으로" 한국자료분석학회 6 (6): 1377-1387, 2004

      2 이동민, "한국 초등지리교육 학술연구의최근 동향에 대한 언어 네트워크 분석"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5 (25): 1-14, 2017

      3 이상균, "프랑스 지리교육사 150년의 전통과 최근 동향, 그리고 전망"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9 (19): 185-204, 2011

      4 최병두, "초국적 이주와 한국의 사회공간적 변화" 대한지리학회 47 (47): 13-36, 2012

      5 조영달, "지식정보사회의 사회과교육: 교육의 변화와 교과적 지향"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1 (41): 167-188, 2009

      6 심광택, "지리교육의 연구 동향과 연구영역별 성과 분석 - 대한지리학회지 논문을 중심으로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3 (23): 87-100, 2015

      7 김한승, "지리교육에서 카스피 해 자원 분쟁 활용에 대한 고찰" 한국지리학회 6 (6): 101-112, 2017

      8 이진희, "지리공간기술의 지리교육현장 적용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태도 연구" 한국지리학회 5 (5): 85-97, 2016

      9 권정화, "지리 교육의 미래를 위한 구도 설정" 대한지리학회 45 (45): 711-720, 2010

      10 이종원, "조사형 야외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교육적 효과 - 해안사구를 사례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5 (25): 129-150, 2017

      1 박한우, "한국어의 내용분석을 위한 KrKwic 프로그램의 이해와 적용 : Daum.net에서 제공된 지역혁신에 관한 뉴스를 대상으로" 한국자료분석학회 6 (6): 1377-1387, 2004

      2 이동민, "한국 초등지리교육 학술연구의최근 동향에 대한 언어 네트워크 분석"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5 (25): 1-14, 2017

      3 이상균, "프랑스 지리교육사 150년의 전통과 최근 동향, 그리고 전망"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19 (19): 185-204, 2011

      4 최병두, "초국적 이주와 한국의 사회공간적 변화" 대한지리학회 47 (47): 13-36, 2012

      5 조영달, "지식정보사회의 사회과교육: 교육의 변화와 교과적 지향"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1 (41): 167-188, 2009

      6 심광택, "지리교육의 연구 동향과 연구영역별 성과 분석 - 대한지리학회지 논문을 중심으로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3 (23): 87-100, 2015

      7 김한승, "지리교육에서 카스피 해 자원 분쟁 활용에 대한 고찰" 한국지리학회 6 (6): 101-112, 2017

      8 이진희, "지리공간기술의 지리교육현장 적용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태도 연구" 한국지리학회 5 (5): 85-97, 2016

      9 권정화, "지리 교육의 미래를 위한 구도 설정" 대한지리학회 45 (45): 711-720, 2010

      10 이종원, "조사형 야외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교육적 효과 - 해안사구를 사례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5 (25): 129-150, 2017

      11 서태열, "자연주의 교육사상가들에게서 나타나는 지리적 관심-지리학 및 지리교육에 미친 영향-" 대한지리학회 38 (38): 802-821, 2003

      12 임윤진,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적용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연구 동향 분석" 대한공업교육학회 41 (41): 48-68, 2016

      13 박희정,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언어치료연구' 학술지 게재논문 연구동향 분석: 1998~2015" 한국언어치료학회 26 (26): 131-143, 2017

      14 이상균,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과학의 본성에 관한 국내연구 동향"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9 (9): 65-87, 2016

      15 송언근, "답사 코스 개발을 통한 역사적 주제의 시·공간적 접근 - 이순신 장군 해전지 답사 코스 개발을 사례로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4 (24): 131-149, 2016

      16 박삼옥, "경제지리학의 패러다임 변화와 신경제지리학" 한국경제지리학회 11 (11): 8-23, 2008

      17 이유나, "‘교육공동체’에 대한 최근 연구동향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언어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교육종합연구소 14 (14): 153-185, 2016

      18 Bagoly-Simó, P., "Tracing sustainability: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lower secondary geography curricula of Germany, Romania, and Mexico" 23 (23): 126-141, 2014

      19 Smith, L., "The “cultural turn” in the classroom:two examples of pedagogy and the politics of representation" 101 (101): 240-249, 2002

      20 Larsen, P.O., "The rate of growth in scientific publication and the decline in coverage provided by Science Citation Index" 84 (84): 575-603, 2010

      21 Brenner, N., "The limits to scale? Methodological reflections on scalar struction" 25 (25): 569-589, 2001

      22 Walsh, M. K., "Teaching geographic field methods using paleoecology" 113 (113): 97-106, 2014

      23 Gersmehl, P., "Teaching Geography" The Guilford Press 2014

      24 Drieger, P., "Semantic network analysis as a method for visual text analytics" 79 : 4-17, 2013

      25 Tsai, C.-C., "Research and trends in science education from 1998 to 2002: A content analysis of publication in selected journals" 27 (27): 3-14, 2005

      26 Vlieger, E., "Research Methodologies, Innovations and Philosophies in Software Systems Engineering and Information Systems" USAl 106-125, 2012

      27 Rohli, R.V., "Recent trends in geography education in Lousiana" 115 (115): 224-230, 2016

      28 Alam, S., "Recent trend in school geography in India" 119 (119): 243-250, 2009

      29 Russo, R.C., "Prestige, centrality, and learning: a social network analysis of an online class" 54 (54): 254-261, 2005

      30 Elwood, S., "Negotiating knowledge production:the everyday inclusions, exclusions, and contradictions of participatory GIS research" 58 (58): 197-208, 2006

      31 ONA Surveys, "NETDRAW-BASIC: a practical guide to visualizing social network"

      32 Lambert, D., "Masterclass in Geography Education:Transforming Teaching and Learning" Bloomsbury 30-48, 2015

      33 Brooks, C., "Masterclass in Geography Education: Transforming Teaching and Learning" Bloomsbury 49-65, 2015

      34 Mitchell, J. T., "Journal of Geography key words: trends and recommendations" 114 (114): 247-253, 2015

      35 "Journal of Geography in Higher Education"

      36 "Journal of Geography"

      37 Butt, G.,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the future of geography education:An analysis of national curricula and standards" 23 (23): 1-12, 2014

      38 "International Research in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Education"

      39 Heffron, S.G., "Geography for Life: National Geography Standards" National Council for Geographic Education 2012

      40 Bednarz, S. W.,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in the Journal of Geography 1988-1907" 9 (9): 128-140, 2000

      41 "Geography"

      42 Reinfried, S., "Geographical views 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243-250,

      43 Arenas-Martija, A., "Fragility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geography" 116 (116): 57-66, 2017

      44 Pauw, I., "Educating for the future: the position of school geography" 24 (24): 307-324, 2015

      45 Hicks, D., "Coverage and overlap of the new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journal lists" 62 (62): 284-294, 2011

      46 Lee, S., "A semantic network and categorical content analysis of internet and online media research" 3 : 15-28, 2009

      47 Kim, J-H., "A hyperlink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the triple helix (university-governmentindustry):The interorganizational communications structure of nanotechnology" 17 (17): 152-170, 2012

      48 Zhang, G., "A bibliometric analysis of world volatile organic compounds research trends" 83 (83): 477-492, 2010

      49 Dong-min Lee, "A Typological Analysis of South Korean Primary Teachers' Awareness of Primary Geography Education" Informa UK Limited 1-13, 2017

      50 Bednarz, S.W., "A Road Map for 21st Century Geography Education: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A report from the Geography Education Research Committee of the Road Map for 21st Century Geography Education Project)"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2013

      51 이동민, "2015 개정 고등학교 여행지리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의미구조 분석" 한국지리학회 5 (5): 1-11,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3 0.83 0.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 0.864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