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영유아와의 상호작용 관계에서 교사전문성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expertise on the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ir interaction with young chil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9941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과의 상관은 어떠하며, 교사전문성를 매개로 그 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K시의 영유아교사 ...

      목적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과의 상관은 어떠하며, 교사전문성를 매개로 그 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K시의 영유아교사 386명을 대상으로 영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교사전문성관련 변인을 측정하기위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24.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매개효과 검증은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절차에 따라 교사전문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첫째, 영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교사전문성 변인 간에 모두 의미 있는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영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에서 교사전문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교수효능감과 교사전문성을 순차적으로 투입한 결과, 영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더하여 교사전문성을 추가한 연구결과는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따라서 영유아교육현장에서 교수효능감과 전문성을 증진시켜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질 향상 뿐 아니라 교수효능감과 교사전문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사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 s teaching efficacy and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the effect of teacher expertise as a medium. Methods To this end, a test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va...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 s teaching efficacy and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the effect of teacher expertise as a medium. Methods To this end, a test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teacher expertise, targeting 386 early childhood teachers in K cit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PASW 24.0, and the parameters verification were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expertise in accordance with the verification procedure of Baron and Kenny(1986). Results In the research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efficacy,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teacher expertise. Second, in order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expertis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efficac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teaching efficacy and teacher expertise were sequentially introduced. In addition, the research results that added teacher expertise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Therefore, this suggests that teacher education is needed to improve teaching efficacy and teacher expertise as well as improving the quality of teacher-child interaction by enhancing teaching efficacy and their expertise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sit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윤식, "학교조직건강, 개인적 교사효능감, 집단적 교사효능감 및 수업전문성 간의 관계" 한국교원교육학회 29 (29): 541-564, 2012

      2 김진미, "전문적 학습 환경, 반성적사고, 교사효능감, 유치원교사 전문성간의 구조적관계분석" 고려대학교대학원 2017

      3 안수연,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나타난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유아-유아상호작용"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4 정은희, "유치원교사의 인성과 교사효능감 및 교사전문성과의 구조관계 분석"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9

      5 백은주,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 자기 평가 도구 개발"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95-117, 2004

      6 신은미,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관련 연구 동향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4 (24): 135-154, 2007

      7 곽민영,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교육기관 원장 특성의 경로분석" 광주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8 최미애, "유아교육기관원장의 진정성리더쉽과 교사의 반성적 사고 및 전문성의 구조적관계" 안양대학교대학원 2020

      9 송민영,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유아 또래놀이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37 (37): 273-295, 2017

      10 곽희경, "유아교사의 행복감 및 자아정체감과 교사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1

      1 이윤식, "학교조직건강, 개인적 교사효능감, 집단적 교사효능감 및 수업전문성 간의 관계" 한국교원교육학회 29 (29): 541-564, 2012

      2 김진미, "전문적 학습 환경, 반성적사고, 교사효능감, 유치원교사 전문성간의 구조적관계분석" 고려대학교대학원 2017

      3 안수연,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나타난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유아-유아상호작용"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4 정은희, "유치원교사의 인성과 교사효능감 및 교사전문성과의 구조관계 분석"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9

      5 백은주,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 자기 평가 도구 개발"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95-117, 2004

      6 신은미,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관련 연구 동향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4 (24): 135-154, 2007

      7 곽민영,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교육기관 원장 특성의 경로분석" 광주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8 최미애, "유아교육기관원장의 진정성리더쉽과 교사의 반성적 사고 및 전문성의 구조적관계" 안양대학교대학원 2020

      9 송민영,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유아 또래놀이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37 (37): 273-295, 2017

      10 곽희경, "유아교사의 행복감 및 자아정체감과 교사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1

      11 한서원, "유아교사의 행복감 및 교사효능감과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과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8

      12 이수련,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관계 분석"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2 (12): 221-239, 2013

      13 심숙영,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 교수효능감 및 교사-유아 관계와 유아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 한국아동교육학회 26 (26): 187-206, 2017

      14 심숙영,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의 관계: 유아기질에 따른 차이 검증" 한국유아교육학회 37 (37): 353-369, 2017

      15 임우영, "유아교사-부모 협력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간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 18 (18): 323-350, 2011

      16 이정미, "유아교사 교수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17 송지연, "예비 보육교사의 배경변인 및 교사전문성 인식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18 (18): 293-321, 2011

      18 이경례, "영아보육교사의 발달지식,교사효능감, 전문성 지원환경이전문성 발달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 13 (13): 163-182, 2013

      19 백영숙, "어린이집 교사의 정서노동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에서 교수효능감과 교수창의성의 매개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9 (19): 179-200, 2014

      20 강병재, "어린이집 교사의 심리적 소진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에서 교수 창의성과 교수 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2 (12): 145-168, 2013

      21 백영숙, "어린이집 교사의 교수몰입과 교수효능감과의 관계에서 교수창의성의 매개효과"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1 (31): 293-311, 2013

      22 이현주, "보육교사효능감이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전문성 인식의 매개효과" 한국보육학회 15 (15): 93-112, 2015

      23 이선미, "보육교사의 창의인성과 교수효능감이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소 26 (26): 731-752, 2020

      24 박은미, "보육교사의 전문성발달수준과 보육효능감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7 (17): 179-200, 2013

      25 손혜숙,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 행복감 및 정서지능이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교과교육연구소 22 (22): 414-425, 2018

      26 김지영, "보육교사의 전문성 발달과 효능감, 역할 수행 간의 관계" 한국아동교육학회 20 (20): 127-137, 2011

      27 김현지,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유아상호작용과의 관계" 2 (2): 111-128, 2006

      28 권미성,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전문성 수준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9 (9): 277-296, 2013

      29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학용어사전" 학지사 2000

      30 홍찬의, "교육 계획에 내재된 유치원 교사의 수업전문성 탐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31 권영애, "교사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교육학회 26 (26): 115-129, 2017

      32 윤주연, "교사의 전문성 인식, 유아의 성별 및 보육기간과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행동" 한국생활과학회 22 (22): 407-417, 2013

      33 문영경, "교사의 교수효능감이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 15 (15): 1-20, 2015

      34 김미래, "교사-유아상호작용과 교수효능감 및 교사 업무스트레스가 교사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3 (23): 57-76, 2018

      35 백경순, "교사-유아 상호작용 관련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2 (12): 223-240, 2011

      36 Enochs, L., "Toward the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74 (74): 625-637, 1990

      37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51 : 1173-1183, 1986

      38 Tschannen-Moran, M., "Teacher efficacy : It’s meaning and measure" 68 (68): 202-248, 1998

      39 Tschannen-Moran, M., "Teacher efficacy : Capturing an elusive construct" 17 (17): 783-805, 2001

      40 Gibson, S., "Teacher efficacy : A construct validation" 76 (76): 569-582, 1984

      41 Bandura, A., "Self efficacy : A motivational paradigm for effective teacher education" 35 : 28-32, 1997

      42 Ashton, P. T., "Making a difference: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student achievement" Longman 1986

      43 Susan, M., "Education digest : essential reading" 73 (73): 46-48,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