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문고전 독해(讀解)와 표점(標點) -감단지보(邯鄲之步)와 법고창신(法古創新)의 사이- = Reading and marking the classic Literature written by classical Chinese -Between "Handanjibo(邯鄲之步)" and "Pepkochangsin(法古創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330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標點은 어떠한 경우라도 훌륭한 고전 번역을 넘어서지 못한다. 표점은 근대 이후 중국이 자국의 고전 문헌을 독해하기 위하여 주목한 방식이다. 일본의 경우, 그들은 한문을 독해하기 위하...

      標點은 어떠한 경우라도 훌륭한 고전 번역을 넘어서지 못한다. 표점은 근대 이후 중국이 자국의 고전 문헌을 독해하기 위하여 주목한 방식이다. 일본의 경우, 그들은 한문을 독해하기 위하여 우리가 고안한 구결을 원용하였지만, 구결과 언해로 한문을 독해하는 우리 전통과 사뭇 다르다. 근대 이후 중국은 표점의 방식으로, 일본은 전통적인 훈독으로 우리는 번역을 통해 한문을 독해하였다. 우리의 경우 한문 고전을 번역하였다. 현재 우리는 한글 전용의 어문체계로 어문생활을 하고 있다. 한문고전 번역은 다중의 독자를 위하여 한글로의 전환이 우선이며 여기에 치중해야 한다. 우리의 경우 표점과 번역은 상호 필요하고도 충분한 조건은 아니다. 표점을 정확하게 하지 못하면, 제대로 된 번역을 하지 못한 것이라는 논법은 성립하지 않는다. 표점은 번역에 비해 부수적이다. 전통적인 한문 독해 방식의 고려 없이, 근대 이후 중국에서 정립한 표점을 수용하는 인식과 자세는 문제다. 우리는 타자의 학술적 전통과 현실적 요구에서 나온 것을 단순히 수용하여 이를 확대할 것이 아니라, 주체의 학술 전통을 진지하게 되돌아보고, 그 전통의 자양분 위에서 한문 고전을 지금 실정에 맞게 번역하는 것에 방점을 두어야 한다. 자국 안의 학술 전통에서 나온 다양한 한문 독해 방식을 고민하지 않고, 기능적 차원이나 현실적 당위성에만 강박되거나, 저 거대한 타자의 의도를 고민하지 않은 채, 단지 효율성과 기능을 앞세워 표점과 중국식 표점을 전면적으로 거론하는 것은 邯鄲之步에 지나지 않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o-called "marking system" is not better than the excellent translation of the classic literature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in every possible case. "Marking system" as a way received attention from Chinese scholars when they tried to read the c...

      The so-called "marking system" is not better than the excellent translation of the classic literature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in every possible case. "Marking system" as a way received attention from Chinese scholars when they tried to read the classic literature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from the modern times. In Japan, even though Japanese scholars quoted "Gugyeol" when they tried to read Chinese classics, their way is quite different from our Korean tradition, which has used "Gugyeol" and "Enhay" (Korean annotation of Chinese classics) when annotating Chinese classics. Since the modern times, Chinese scholars have read Chinese classics with "marking system", Japanese scholars have read them with the traditional "ideographical system", and our Korean scholars have read them with "translations". We, Korean, have translated the classic Chinese literature into Korean. We live now in the era of exclusive use of "Hangul (Korean alphabet)" in both the written and the spoken language. Thus, our goal of the translation of the classic literature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have to give a priority to translate them into Hangul for many readers. As a result, we do not restrict our goal just to accept other`s academic tradition and the practical demands and expand the value of them. However, we earnestly review our academic tradition and under the flag of the heritage of our academic tradition, we have to focus on translating the classic literature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into the realistic context. Without considering our academic tradition derived from various ways of reading classical Chinese and without reconsidering the huge other`s desire, if we are swept along the practical usage and the realistic obligation and if we adopt "marking system" which is the reading style in China for the practical reason, this academic attitude is no more than what the maxim "Handanjibo(邯鄲之步)" say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