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형사)공공변호인 제도의 바람직한 운영 방안에 대한 소고 = A brief study on the desirable management method of public defender system in Korea (crimina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521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legal structure system that is most necessary, efficient, and suitable in Korea is to integrate the existing legal system, which is divided into several branches. In other words, it is desirable that the lawyer’s association of the criminal publ...

      The legal structure system that is most necessary, efficient, and suitable in Korea is to integrate the existing legal system, which is divided into several branches. In other words, it is desirable that the lawyer’s association of the criminal public defender and the local lawyer’s council act as the subject and operate the criminal public defender system, and the court and the Ministry of Justice should properly participate and monitor it. Specifically, a special corporation should be created by joint investment of lawyer groups, administrations and the judiciary, and should be integrated to handle all kinds of civil defense, (public) defense affairs, including criminal public defenders discussed at present. In addition, the actual subject of the operation is entrusted to the lawyers’ organizations such as the Korean War, and it is very important for the court and the Justice Ministry personnel to be appointed as directors and committee members to take appropriate management and supervision. In the form of operation, they have a dedicated lawyer as a representative attorney and full-time employee of a resident corporation in connection with the local lawyers of each level, while the percentage of cases they handle is less than 30% of the total counseling service (50% In the case of the rest of the cases, it would be appropriate to have a “Public defender Lawyer Selection Committee” within the legal entity, to select a general lawyer as a counsel for the court and to operate them harmoniously. Also, in the early stage of establishing and operating a corporation (3 to 5 years), until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are institutionally stabilized, all the funds necessary for its operation should be borne by the government in principl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지금 우리나라에서 가장 필요하고 효율적이면서도 적합한 법률구조시스템은 현행 여러 갈래로 분산되어 있는 법률구조제도를 한군데로 통합 운영하는 것이라고 하겠다. 즉, 형사공공변호...

      지금 우리나라에서 가장 필요하고 효율적이면서도 적합한 법률구조시스템은 현행 여러 갈래로 분산되어 있는 법률구조제도를 한군데로 통합 운영하는 것이라고 하겠다. 즉, 형사공공변호인의 운영주체로 대한변호사협회나 각 지방변호사회가 주체가 되어 형사공공 변호인제도를 운영하되, 여기에 법원과 법무부가 적절히 균형 있게 참여와 감시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변호사단체와 행정부, 사법부의 공동 금액출자에 의한 특수법인을 설립하여, 현재 논의되는 형사공공변호인을 비롯한 상존하는 모든 종류의 국선(공공) 변호업무를 전담하도록 통합하여야 한다. 그리고, 그 운영의 실질적 주체는 대한변협 등 변호사단체에게 맡기되 법원과 법무부 측 인사도 이사나 위원 등으로 선임하여 적절한 관리와 감독을 담당하도록 함이 상당하다. 운영 형식은 각급 지방변호사와 연계하여 구조법인 소속 대표변호사와 상근 직원으로서 전담변호사를 두는 한편, 그들이 처리하는 사건의 비율은 전체 국선변호 업무의 약 30% 이하(시행 후 상황에 따라 점진적으로 50% 이상 확대될 수도 있을 것이다)선에서 일단 맡도록 하고, 나머지 사건의 경우 구조법인 내 가칭 ‘국선변호사선정위원회’를 두어 그 위원회에서 일반 개업변호사를 국선변호인으로 선정하여 상호 조화롭게 운용하는 방안이 타당하다. 또한 법인의 설립과 운영초기(3년에서 5년 정도)에는 조직과 운영이 제도적으로 안정될 때까지는 그 운영에 필요한 자금을 원칙적으로 모두 국가의 부담으로 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현성, "형사공공변호인 제도의 운영 방향 –운영주체를 중심으로-" 2017

      2 박찬운, "형사공공변호인 구상의 구체화를 위한 방안 연구 - 피의자국선변호 제도의 바람직한 설계를 위한 제안 -" 대한변호사협회 (469) : 87-106, 2017

      3 김형일, "외국의 법률구조제도 현황" 대한법률구조공단 (여름·가을) : 1997

      4 김의택, "영국의 법률구조제도" 대한법률구조공단 2018

      5 김희준, "영국의 법률구조제도" 대한법률구조공단 (겨울) : 1995

      6 정준영, "사법개혁과 세계의 사법제도(Ⅱ)" 대법원 사법제도비교연구회 2004

      7 황승흠, "법률구조의 확대를 통한 삶의 질의 향상" 법과사회이론연구회 (18) : 2000

      8 정중근, "미국의 퍼블릭디펜더제도 도입검토" 대검찰청 2006

      9 김정선, "미국법률구조제도의 특징과 문제점" 법무부 2010

      10 양시훈, "국선전담변호사제도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사법정책연구원 2017

      1 김현성, "형사공공변호인 제도의 운영 방향 –운영주체를 중심으로-" 2017

      2 박찬운, "형사공공변호인 구상의 구체화를 위한 방안 연구 - 피의자국선변호 제도의 바람직한 설계를 위한 제안 -" 대한변호사협회 (469) : 87-106, 2017

      3 김형일, "외국의 법률구조제도 현황" 대한법률구조공단 (여름·가을) : 1997

      4 김의택, "영국의 법률구조제도" 대한법률구조공단 2018

      5 김희준, "영국의 법률구조제도" 대한법률구조공단 (겨울) : 1995

      6 정준영, "사법개혁과 세계의 사법제도(Ⅱ)" 대법원 사법제도비교연구회 2004

      7 황승흠, "법률구조의 확대를 통한 삶의 질의 향상" 법과사회이론연구회 (18) : 2000

      8 정중근, "미국의 퍼블릭디펜더제도 도입검토" 대검찰청 2006

      9 김정선, "미국법률구조제도의 특징과 문제점" 법무부 2010

      10 양시훈, "국선전담변호사제도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사법정책연구원 2017

      11 이종철, "국선변호제도 개선 방안으로서의 퍼블릭디펜더 제도 도입 여부 검토" 대검찰청 2009

      12 이상철, "국선변호인제도에 관한 연구 –공공변호인제도의 도입과 관련하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994

      13 정준영, "공적변호인제도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용역보고서" 사법제도개혁추진위원회 2007

      14 Andrea J.Saltzman, "Private Bar Delivery of Civil Legal Services to the Poor: A Design for a Combined Private Attorney and Staffed Office Delivery System"

      15 Catherine Elliott, "English Legal System" 2017

      16 U. S. Dept. of Justice, "Criminal Defense Systems, A National Survey 2012" 2012

      17 R.Hermann, "Counsel for the Poor; criminal defence in urban America"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6-06-1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인권과정의 -> 인권과 정의
      외국어명 : 미등록 -> Human Right and Justic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1 0.41 0.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3 0.478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