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시대 양로연 음악의 현대적 공연콘텐츠 복원 연구 = A Study on the Restoration of Modern Performance Content of ‘Yangroyeon’ in Joseo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882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is aimed at restoring the ‘Yangroyeon’(a banquet for in honor of the aged in Joseon Dynasty), which was preached for the realization of the virtues of kings in the Joseon Dynasty and ideal national construction, to a modern performan...

      This research is aimed at restoring the ‘Yangroyeon’(a banquet for in honor of the aged in Joseon Dynasty), which was preached for the realization of the virtues of kings in the Joseon Dynasty and ideal national construction, to a modern performance. In order to restore, this study was designed to historical evidence by analyzing various materials related to music such as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Gukjo Oryeui, Gukjo Sok-oryeui, Chungwanji and Akhakgweom and so on.
      The period when you can take a closer look at the music of ‘Yangroyeon’ during the Joseon Dynasty is the reign of King Sejong, Seongjong, Sukjong, Yeongjo and Jeongjo. The music used in ‘Yangroyeon’ was different from period to period, but the combination of ‘A-ak’ and ‘Sok-ak’ was common, among them ‘A-ak’ was mostly retrievable even if it wasn’t played today. On the other hand, because ‘Sok-ak’ is difficult to restore the music from the old scores, we need to look at the direction of using ‘Sok-ak’ played today and consider the variable possibilities of the composition of the folk music repertoire based on Akhakgweom. In the case of ‘Hwailgok’ used in King Jeongjo’s ‘Yangroyeon’, the method of saving lyric should be taken as it is directly linked to the filial piety, which is the core of the ‘Yangroyeon’ restoration project.
      When looking at the music of ‘Yangroyeon’ in its entirety by period, it is most possible to restore and have a live relationship with the old from the Jeongjo era, so the music of ‘Yangroyeon’ should be reconsidered based on this. However, we will also have to look at other ‘Yangroyeon’ music, which has been highly sought to diversify performance content. Kings of the Joseon Dynasty have been constantly agonizing over the use of music and the practice of ‘Yangroyeon’ and the spirit of which should still be inherited today. Further discussions on the direction of future restoration of music should be discussed in detail, and I hope that the contents analyzed in this article and the stated direction will serve as a cornerstone for restor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조선시대 왕들의 덕치 실현 및 이상적인 국가 건설을 위하여 설행되었던 양로연을 현대적 공연콘텐츠로 복원하기 위하여 양로연 중 음악과 관련된 사항들을 『조선왕조실록』, ...

      본 연구는 조선시대 왕들의 덕치 실현 및 이상적인 국가 건설을 위하여 설행되었던 양로연을 현대적 공연콘텐츠로 복원하기 위하여 양로연 중 음악과 관련된 사항들을 『조선왕조실록』, 『국조오례의』, 『국조속오례의』, 『춘관지』, 『악학궤범』 등의 문헌 및 각종 도상자료를 분석하여 역사적으로 고증하고자 하였다.
      조선시대 양로연의 음악 내용을 소상히 살펴볼 수 있는 시대는 세종조, 성종조, 숙종조, 영조조, 정조조가 있다. 양로연에 사용된 음악들은 시대별로 상이하였으나 아악과 속악을 겸하는 현상이 일반적이었고, 그중 아악은 오늘날 연주하는 음악이 아님에도 대부분 복원이 가능하였다. 반면 속악은 고악보에 수록된 음악을 그대로 복원하기 어렵기 때문에 오늘날 연주되는 속악을 사용하는 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으며, 『악학궤범』을 근거로 하여 속악 레퍼토리 구성의 가변적 가능성을 생각해 보아야 하겠다. 정조조 양로연에 사용했던 화일곡(化日曲)의 경우 양로연 복원사업의 핵심인 효(孝) 사상과 직접적으로 연계되므로 악장을 살리는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시대별 양로연의 음악을 전체적으로 조망해 보았을 때 정조조 양로연의 복원과 실연이 가장 가능하므로, 이를 기준을 양로연의 음악을 재고해야 하겠으나, 공연콘텐츠의 다양화 모색을 위해 고증된 다른 양로연 음악들도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조선시대의 왕들은 양로연의 설행과 용악(用樂)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고민해왔고, 그러한 정신은 오늘날에도 마땅히 계승되어야 한다. 향후 음악의 복원방향에 대한 논의가 구체적으로 더 논의되어야 할텐데, 글에서 분석한 음악적 내용들과 그 내용들을 토대로 제언한 방향성이 복원을 향한 초석이 되기를 희망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허용호, "화성 행궁과 전통 연희" 민족문화연구원 (39) : 165-198, 2003

      2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1981

      3 "춘관지"

      4 하을란, "조선후기 양로연의 양상과 특징-영정조 시기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소 (22) : 199-235, 2005

      5 박수경, "조선전기 양로연의 공연예술 연구"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전문사 2003

      6 "조선왕조실록"

      7 서인화, "조선시대 진연 진찬 진하병풍" 국립국악원 2000

      8 국립국악원, "조선시대 음악풍속도 Ⅱ" 민속원 2003

      9 국립국악원, "조선시대 연회도" 민속원 2001

      10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조선시대 양로연의례와 어연의례의 연구" 문화재관리국 1997

      1 허용호, "화성 행궁과 전통 연희" 민족문화연구원 (39) : 165-198, 2003

      2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1981

      3 "춘관지"

      4 하을란, "조선후기 양로연의 양상과 특징-영정조 시기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소 (22) : 199-235, 2005

      5 박수경, "조선전기 양로연의 공연예술 연구"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전문사 2003

      6 "조선왕조실록"

      7 서인화, "조선시대 진연 진찬 진하병풍" 국립국악원 2000

      8 국립국악원, "조선시대 음악풍속도 Ⅱ" 민속원 2003

      9 국립국악원, "조선시대 연회도" 민속원 2001

      10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조선시대 양로연의례와 어연의례의 연구" 문화재관리국 1997

      11 김종수, "조선시대 궁중연향과 여악연구" 민속원 2001

      12 박정혜, "조선시대 궁중기록화 연구" 일지사 2000

      13 임미선, "정조 19년 화성 봉수당 진찬과 낙남헌 양로연" 문헌과 해석사 (2) : 1998

      14 "원행을묘정리의궤"

      15 "악학궤범"

      16 이혜구, "신역 악학궤범" 국립국악원 2000

      17 강민영, "봉수당 진찬과 낙남헌 양로연의 음악적 고찰 : 원행을묘정리의궤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18 사진실, "기로연의 무대와 객석" 문헌과 해석사 (10) : 2000

      19 "국조오례의"

      20 "국조속오례의"

      21 "고려사"

      22 임미선, "16-17세기의 향중 양로연의 양상" 문헌과 해석사 (28) :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1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20-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3-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국악과교육 -> 국악교육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4 0.24 0.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28 0.513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