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북인도지원운동의 전개과정과 발전방향 :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활동을 중심으로 = (A) Study on Process and Development of the Humanitarian Aid Campaign for North Korea : Focused on Activities of Korean Sharing Move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5000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북한의 식량난을 계기로 하여 발생한 국내 대북 인도지원 운동은 10년이라는 기간을 걸쳐 통일분야에 있어 주요한 운동적 흐름을 형성하여 왔다. 국내에서 최초로 북한 지원을 위한 전문단...

      북한의 식량난을 계기로 하여 발생한 국내 대북 인도지원 운동은 10년이라는 기간을 걸쳐 통일분야에 있어 주요한 운동적 흐름을 형성하여 왔다. 국내에서 최초로 북한 지원을 위한 전문단체로 설립된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을 비롯하여 현재40여개가 넘는 기관에서 대북 인도지원 운동을 꾸준히 전개해 오고 있다.
      운동이 진행되어 오는 과정에서 강릉 잠수함 사건, IMF 경제위기, 사스(SARS), 2004년 조문 파동으로 인한 경색 국면의 장기화 등 외부적인 요인과 이른바 '퍼주기론'을 비롯하여 북한 경제난의 장기화 및 핵문제, 인권 문제 등을 이유로 한 대북 지원에 대한 부정적 여론, 지원 피로 현상 가중화 등 여러 제약 조건에도 불구하고 대북 인도지원 운동은 10년여에 걸친 생명력을 유지해 왔다.
      한때 제2의 3.1운동이라 불릴 정도로 폭발적으로 진행된 국내 대북 대북인도지원운동은 대북협력민간단체협의회(Korea NGO Council for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활동 강화, 대북지원민관정책협의회 결성 등 국내 지원 단체간, 정부와 민간의 파트너쉽 강화, 대북지원 국제기구들과의 네트워크 안정화 등에 힘씀으로써 대북 인도 지원 시스템 구축에 관한 모색까지 그 활동 영역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
      국내에서 대북 인도지원을 주요한 목적으로 결성된 최초의 단체인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은 창립 시기 대북 긴급구호 사업의 신속한 전개 뿐 아니라, 2004년 평안남도 용천 폭발사고 당시에도 룡천역폭발사고피해동포돕기운동본부 구성을 주도하는 등 신속한 대북지원에 앞장서 왔다. 또한, 알용닭공장 건립, 농기계 수리공장 건립, 정성수액약품공장 설립, 조선적십자병원 지원을 비롯한 병원현대화 사업 등 규모 및 기간에 있어 전문성과 장기성이 요구되는 개발지원 분야에 있어 성공적인 선례를 창출하였다. 아울러 기존 통일운동에 소극적이었던 종교계, 시민단체, 직능단체, 지자체 등을 대북인도지원운동에 동참시키고 남북 교류의 주체로 세워 내었다는 점에서 통일 운동의 확대 측면에서도 주목할 만하다.
      현재 국내 대북인도지원운동의 주요한 흐름은 초기의 긴급구호적 지원에서 농 업, 보건의료 및 취약계층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을 모색하는 개발협력의 단계로 나아가고 있다. 또한 각종 정치적 상황 및 운동의 발전 상황을 고찰할 때 전환기 적인 시점에 서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향후 대북인도지원 운동의 발전을 위한 과제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첫 번째, 효율적인 대북 인도지원 시스템 마련 및 모금 재원의 안정적 구축이다. 현재, 대북협력민간단체협의회. 대북지원민관정책협의회 구성, 민관 합동사업 추진 등 효율적인 대북 인도지원 시스템 구축을 위한 다양한 모색이 진행되고 있다. 또 한 장기적이고 규모있는 개발지원 사업이 추진됨으로써 지원에 소요되는 재원 역시 상당한 규모로 일정기간 확보되어야만 한다. 이 부분은 민간 차원의 재원 조달뿐만 아니라, 남북교류 협력 기금의 확충, 남북지원 관련 법제도 개선 등 대정부 파트너쉽 강화와도 관련된다고 볼 수 있다.
      두 번째, 대북 인도지원 단체의 체질개선이 요구된다. 여기에는 기존의 명망가중심의 운동에서 벗어나 광범위한 후원회원의 확보, 발런티어 그룹의 참여 보장, 농업, 보건의료 등 개발협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 전문가 그룹과의 파트너쉽 강화 및 전문성 강화를 위한 조직 개편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세 번째, 대북 인도지원 운동의 발전 방향에 대한 전망 및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한반도를 둘러싼 각종 정치적 상황 변화에 대한 대처, 국내외 대북지원에 관한 부정적 여론 및 지원 피로현상의 극복 또한 대북인도지원 운동의 과제 중 하나이다. 대북인도지원운동의 필요성 및 이 운동이 향후 남북관계 발전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 북한 경제난 해소에 관한 청사진을 제시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대북지원운동과 관련된 학술적 과제로는 첫 번째, 국내외 대북인도지원 운동에 대한 현황 파악 및 이 운동이 북한 경제난 해소에 미친 효과 분석, 두 번째, 개발 NGO 및 통일 NGO 로서의 이중성을 띠고 있는 국내 대북인도지원 단체들에 대한 위치 구분 및 성격 분석, 세 번째, 이 운동이 남한 및 북한, 국제사회에 미친 각종 정치사회적 영향 분석, 네 번째, 대북인도지원 단체와 정부 및 기타 통일NGO 들과의 대북지원 분야에 있어 차별성 분석 및 협력과제 선정 등을 들 수 있다.
      결론적으로, 대북인도지원 운동은 분단이라는 특수한 조건, 돌발적인 북한 식량난의 발생 등을 배경으로 한 가운데, 인도주의, 동포애를 기반으로 10년여간 발전해 온 새로운 형태의 운동이라 볼 수 있다. 또한 이 운동은 이 운동은 지원운동을 통한 북한 경제난 해소에서 나아가 남북 교류의 매개자, 정치적 경색 국면 속에서 남북관계 모멘텀 유지 등 평화운동 차원에서도 그 역할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이 운동에 대한 면밀한 분석 및 연구는 남북관계 개선, 한반도 평화정착, 통일과 그 이후 우리 사회 발전에 이르는 청사진 마련에 필요불가결한 작업이라 보여진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humanitarian aid campaign for North Korea which started in Korea to solve North Korea's food shortage has been creating a favorable atmosphere for the national unification importantly over the last decade. Currently, more than 40 organizations inc...

      The humanitarian aid campaign for North Korea which started in Korea to solve North Korea's food shortage has been creating a favorable atmosphere for the national unification importantly over the last decade. Currently, more than 40 organizations including Korean Sharing Movement established as a special group, ever-first in South Korea to support North Korea are engaged in humanitarian aids for North Korea.
      In this process, the humanitarian aid campaigns have survived various external and internal obstacles. The examples of external obstacles were Kangrung submarine incident, IMF bailout program, SARS, long political tension caused by refusal of the condolatory call by South Korean government in 2004, etc., while the internal obstacles were 'argument against the unconditional aid to North Korea', and negative public opinion due to extended economic hardship of North Korea, nuclear issue, human rights issue, etc., South Korean people's sentiment of 'pouring water into a bottomless jar', and so on.
      South Korea's humanitarian aid campaigns for North Korea once propelled strong enough to be called 'A Second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are expanding the sphere of their activities: reinstatement of Korea NGO Council for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reinforcement of partnership between private organizations or between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 as exemplified by Korea NGO-Government Council for Aids to North Korea, stable networking with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even establishment of a humanitarian aid system for North Korea.
      Korean Sharing Movement organized first in South Korea to give a humanitarian aid to North Korea has led prompt aids to North Korea; the movement has given various emergency aids to North Korea since its establishment including Ryongcheon Railway Station Explosion Victims Relief Campaign in 2004. In addition, the movement have set successful precedents for the longer-term professional projects in terms of scale and period such as egg-laying chicken factory, farming machine repair shop, Jeongsung Ringer Medicine Factory, Chosun Red Cross Hospital and other modern hospital projects. Furthermore, it is noteworthy to see that Korean Sharing Movement has encouraged such organizations passive thus far for unification movement as religious, civil, professional organizations and local autonomous administrations to participate in the humanitarian aids to North Korea and therefore, that it has been reputed for a leader of South-North exchanges.
      Currently, the main stream of South Korea's humanitarian aids to North Korea departs from the emergency aids at its earlier stage towards developmental cooperation for agriculture, health and medicine and systematic subsidies to the poor class. In consideration of development of inter-Korean political situation and various movements, South Korea's humanitarian aids to North Korea may well be at their turning point.
      In this context, the future challenges for the humanitarian aids to North Korea may be summed as follows;
      First, it is essential to raise a fund for the humanitarian aids under a stable system, although diverse efforts to establish an efficient humanitarian aid system are being made: Korea NGO Council for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Korea NGO-Government Council for Aids to North Korea, various joint NGO projects, etc. In addition, it is also necessary to secure a considerable amount of financial resources required for longer-term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s for North Korea. Such a fund should consist of private funds raised and South-North Exchange and Cooperation Fund expanded through reinstatement of relevant codes.
      Second, it is required of the relevant organizations to enhance their roles. In other words, they need to be reorganized into more professional groups with a broader spectrum of sponsors beyond the conventional celebrities and more volunteer sub-groups, being networked through partnerships with experts eligible for agricultural and health & medicare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Third, it is necessary to set a direction for the humanitarian aids to North Korea and thereby, design effective strategies thereof. Another challenges will be to respond wisely to varying political situation around the Korean peninsula, surmount some critical public opinion against the humanitarian aids to North Korea as well as people's perception of 'pouring water into a bottomless jar'. In this vein, it is essential to justify the humanitarian aids, analyze their positive effects on development of South-North relationship and draw the blueprint to help solve the North Korean economic hardship.
      Besides, the humanitarian aids to North Korea are beset by the following academic challenges; first, it is required of the academic circle to survey the conditions of the humanitarian aids by South Korea and foreign nations to North Korea and analyze the effects of such aids on resolution of North Korean economic difficulties; second, it is also necessary to determine the nature of South Korea's humanitarian aid organizations as development and unification NGOs; third, it is deemed necessary to analyze various socio-political effects of the humanitarian aids on South Korea, North Korea and international community; fourth, it is desirable to analyze various South-North cooperative projects pursued by humanitarian groups, government and unification NGOs as well as their priorities.
      In conclusion, the humanitarian aid campaigns is a new type of NGO movements evolved over the last decade based on humanism and fraternity invoked by the special condition of national division and sudden foods shortage of North Korea. Moreover, this campaign expands its roles as intermediary of South-North exchanges and peace keeper maintaining a momentum for development of South-North relationship against political stalemates just beyond its volunteer activities for resolution of North Korea's economic difficulties. Careful analysis of and research into this campaign may be a pre-requisite for a blueprint to improve South-North relationship, establish a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unify it and develop our socie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ⅰ
      • Ⅰ. 서론 = 1
      • 1. 문제제기 및 연구 목적 = 1
      • 2. 선행 연구 분석 = 2
      • 3. 연구의 범위와 방법 및 논문구성 = 4
      • 목차 = ⅰ
      • Ⅰ. 서론 = 1
      • 1. 문제제기 및 연구 목적 = 1
      • 2. 선행 연구 분석 = 2
      • 3. 연구의 범위와 방법 및 논문구성 = 4
      • Ⅱ. 본론 = 9
      • 제1장. 대북인도지원운동의 등장과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창립 = 9
      • 1) 북한의 경제난과 대북지원 움직임의 태동 = 9
      • 2) 종교계의 대북지원운동과 대북지원시민운동단체의 등장 = 12
      • 3)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의 창립과 활동 = 17
      • 제2장.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의 시기별 대북인도지원 활동 = 20
      • 1) 태동기 (1995년-1999.4.2) = 20
      • 2) 성장기 (1999.4-2003.2) = 25
      • 3) 성숙기 (2003.2-현재) = 28
      • 제3장.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의 분야별 대북인도지원 활동 = 32
      • 1) 농업분야 지원활동 = 33
      • 2) 보건의료분야 지원활동 = 37
      • 3) 일반구호분야 지원활동 = 45
      • 제4장. 대북지원운동의 확산 및 연대 강화 = 48
      • 1) 지자체의 참여 = 48
      • 2) 대북협력민간단체협의회 및 대북지원민관정책협의회의 구성 = 51
      • 3) 대북지원 국제 네트워크 구축 = 56
      • Ⅲ. 결론 = 63
      • 1. 대북인도지원운동의 성격 = 63
      • 2. 대북인도지원운동의 역할과 영향 = 65
      • 3. 대북인도지원운동의 과제 = 70
      • 국문초록 = 76
      • ABSTRACT = 79
      • 참고문헌 = 8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