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 일대일로 참여국의 위협요인과 메카니즘: 중국 접경국가의 인프라 건설 사례를 중심으로 = A Structural Analysis of Threat Factors of participating nation in the OBOR project: focused on the case of infrastructural construction of the 14 border countries of Chin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763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threats and mechanisms participating nation in the OBOR project and to identify the gap between the basic principles and reality of One Belt And One Road. In 14 border countries of China, the 10 border c...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threats and mechanisms participating nation in the OBOR project and to identify the gap between the basic principles and reality of One Belt And One Road. In 14 border countries of China, the 10 border countries are participating in the OBOR project and 6 economic corridors except India, Bhutan, Afghanistan and North Korea. The threats and issues of the border states of China as a recipient of infrastructure construction on OBOR can be classified economically, politically, and socioculturally Economic threats are increasing liabilities, delivery of energy resources, unfair contracts, transfer of land leasing and operating rights due to repayment conditions or defaults, disadvantages due to China's business methods and mechanisms. Political threats are corruption of bureaucrats, venality, retaliatory measures, infringement of national sovereignty and territories, promotion of conflicts and military threats, and the preoccupation of geographical and strategic location. Socio-cultural threats are Increase in demonstrations against China due to application of China's technical standards, land leasing, illegal immigration of Chinese workers, and environmental problems. Xi Jinping Government was expressed offically about OBOR such as open cooperation, harmony and inclusion, market mechanism and mutual win-win, co-existence of co-prosperity and so on. However mechanism of the national corporation which is centered on 'the party' is contradictory to the Belt and Road's philosophy that China insists on. This means that chinese characteristic socialism in business process in a practical OBO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의 목적은 일대일로에 참여한 중국의 접경국가가 받는 위협요인과 메카니즘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일대일로의 기본원칙과 실제 사이의 간극을 규명하는 것이다. 중국의 14개 ...

      이 글의 목적은 일대일로에 참여한 중국의 접경국가가 받는 위협요인과 메카니즘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일대일로의 기본원칙과 실제 사이의 간극을 규명하는 것이다. 중국의 14개 접경국 중에서 일대일로의 6개 경제회랑에 참여한 국가는 인도, 부탄, 아프가니스탄, 북한을 제외한 10개국이다. 일대일로의 수용국이자 중국의 접경국이 받았던 위협요인과 쟁점을 경제적, 정치적,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분류하여 보면 아래와 같다. 경제적 위협요인은 부채증가, 에너지 자원 송출, 채무불이행 혹은 상환조건으로 토지 및 운영권 양도, 중국 특색의 일대일로 사업방식과 불공정 계약으로 인한 불이익이다. 정치적 위협요인은 현지 관료의 부정부패 및 금품매수, 보복조치, 국가주권 및 영토 침해, 갈등조장 및 군사위협과 견제, 지리적・전략적 요충지 선점이다. 사회문화적 위협요인은 중국의 기술표준 적용, 토지임대, 중국인 노동자의 불법이주, 환경문제, 토지보상 및 이주비용 문제 등의 이유로 반중시위가 증가이다. 이것은 시진핑 정부가 표명했던 개방적인 협력, 조화와 포용, 윈윈효과, 공생공영, 운명공동체, 평화와 번영 등의 일대일로 기본원칙은 실제 접경국가의 사례에서는 적용되지 않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를 낳게 된 주요한 원인은 ‘당’ 중심의 국가주식회사로 철저히 중국에게 이익이 돌아갈 수밖에 없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민지, "행복의 나라 부탄, 인도-중국 사이에서 고민 중"

      2 "파키스탄 철도국"

      3 "파키스탄 정부"

      4 세계한인언론인협회, "타반톨고이 광산과 철도"

      5 김중근, "키워드를 알면 ‘일대일로’가 보인다"

      6 "카자흐스탄 정부"

      7 주카자흐스탄대사관, "카-중 교역 및 투자 현황"

      8 김규환, "차이나 스코프: 핵심 기술 빼내고 고금리 장사"

      9 서정경, "지정학적 관점에서 본 시진핑 시기 중국 외교 : ‘일대일로(一帶一路)’ 전략을 중심으로" 한국국제정치학회 55 (55): 225-257, 2015

      10 원동욱, "중국의 지정학과 주변외교: ‘일대일로’를 중심으로" 현대중국학회 17 (17): 293-328, 2016

      1 최민지, "행복의 나라 부탄, 인도-중국 사이에서 고민 중"

      2 "파키스탄 철도국"

      3 "파키스탄 정부"

      4 세계한인언론인협회, "타반톨고이 광산과 철도"

      5 김중근, "키워드를 알면 ‘일대일로’가 보인다"

      6 "카자흐스탄 정부"

      7 주카자흐스탄대사관, "카-중 교역 및 투자 현황"

      8 김규환, "차이나 스코프: 핵심 기술 빼내고 고금리 장사"

      9 서정경, "지정학적 관점에서 본 시진핑 시기 중국 외교 : ‘일대일로(一帶一路)’ 전략을 중심으로" 한국국제정치학회 55 (55): 225-257, 2015

      10 원동욱, "중국의 지정학과 주변외교: ‘일대일로’를 중심으로" 현대중국학회 17 (17): 293-328, 2016

      11 진정미, "중국의 일대일로와 동북아 경제협력의 확장성 연구-남⋅북⋅중 접경지 물류⋅관광 협력 중심으로-" 한국동북아경제학회 29 (29): 79-122, 2017

      12 김옥준, "중국의 일대일로(一帶一路)구상과 정치·경제적 함의: 실크로드 경제벨트 구축을 중심으로"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18 (18): 289-308, 2015

      13 최필수, "중국의 유라시아 전략과 몽골"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6

      14 이호철, "중국의 부상과 지정학의 귀환" 극동문제연구소 33 (33): 39-61, 2017

      15 이강국, "중국의 新실크로드 전략: 일대일로" BookStar 2016

      16 박기철, "중국의 ’일대일로‘ 정책과 ’평택항‘의 연계 가능성에 대한 연구 - 한중열차페리를 중심으로" 중국학연구회 (84) : 185-215, 2018

      17 박종은, "중국의 ‘일대일로’활용에 따른 한⋅중 복합운송 규정의 통일 필요성에 관한 연구" 부설법학연구소 50 : 287-309, 2016

      18 "중국-파키스탄 경제회랑 건설 난항"

      19 "중국-러시아-몽골 경제회랑, 유라시아 번영의 견인차 (2)"

      20 정민승, "중국, 환경 문제 안중에도 없나 새 석탄발전소 추진에 발끈한 베트남 여론"

      21 김창모, "중국 주변국도 ‘일대일로’ 반발"

      22 김흥규, "중국 일대일로(一帶一路) 전략과 동북아 국제관계의 변화: 한계점과 전망" 아태지역연구센터 40 (40): 7-48, 2016

      23 안승섭, "중국 일대일로 프로젝트, 아프가니스탄까지 확대 추진"

      24 이정태, "중국 일대일로 전략의 정치적 의도와 실제 분석" 대한정치학회 25 (25): 207-236, 2017

      25 이민영, "중국 부채의 덫에 걸린 라오스…&돌아갈 곳 없다"

      26 이충배, "중국 ‘일대일로’이니셔티브와 내륙항의 발전" 한국항만경제학회 33 (33): 1-16, 2017

      27 차재복, "중국 ‘일대일로’의 전략적 의의와 한반도에 대한 시사점" 동북아역사재단 (60) : 160-195, 2018

      28 민영규, "중국 ODA 차관에 뿔난 베트남 일정 지연, 비용 눈덩이"

      29 김충남, "주변국 분쟁 셀프해결?…中‘一帶一路재판소’만든다"

      30 박성준, "일대일로 전략의 전망과 한국의 물류분야 대응방안 - 글로벌 가치사슬 관점 -" 한국해운물류학회 32 (32): 361-385, 2016

      31 "일대일로 5주년 키르기스스탄 국민, 中 도로건설자 극찬"

      32 나확진, "인도, 중국 일대일로 참여 제안 또다시 거부"

      33 이길성, "유럽서 쏟아져 나온 中 팽창외교 경계령"

      34 최형규, "시진핑이 베트남에 공손할 수밖에 없는 이유"

      35 윤성학, "시진핑의 일대일로 위기일발"

      36 이동률, "시진핑 정부 ‘해양강국’ 구상의 지경제학적 접근과 지정학적 딜레마" 한국국제정치학회 57 (57): 369-403, 2017

      37 "베트남: Hai Duong 화력발전, 마침내 개발 협력 파트너"

      38 "베트남 현지신문 주요기사" 주베트남대한민국대사관

      39 "베트남 주간 에너지 동향" 주베트남대한민국대사관

      40 유희복, "모스크바-카잔 고속철도 1단계 2024년 개통"

      41 정민승, "라오스·중국·캄보디아 수력발전소 건설 열풍, 수자원 분쟁으로 번져"

      42 박선미, "골 깊은 중국-베트남, 반중 시위로 긴장고조"

      43 중화인민공화국상무부 홈페이지, "钟山部长《党建研究》刊文:实现我国开放事 业新发展新提高新突破"

      44 特里萨伦, "新丝绸之路:习近平的大战略欧亚"

      45 王勇, "攻击防御:带和道路主动性和中国的新的大战略"

      46 洪宇, "仅次于中国的'一带,一路'倡议和亚洲基础设施建设投资银行动机"

      47 习近平, "习近平谈治国理政" 外文出版社 2014

      48 习近平, "习近平谈治国理政" 外文出版社 35-36, 2014

      49 中國現代國際關系研究院世界政治所課題組, "中國特色大國外交穩中有進"

      50 郑永年, "中国改革路线图 东方出版社" 东方出版社 2016

      51 朴英爱, "中国 '一带一路' 与韩国 '欧亚倡议' 的战略对接探析" (1) : 2016

      52 진병태, "中-미얀마, 항만개발 프로젝트 합의…일대일로 다시 탄력받나?"

      53 박상주, "中, ‘일대일로’ 68국에 8조 달러 지원…8개국 금융취약국 전락"

      54 김상훈, "中 주도 ‘일대일로’ 경제 회랑, 미얀마인 절반 생존 위협"

      55 王义桅, "世界是通的 ‘一带一路’的逻辑" 商务印书馆 2016

      56 金玲, "一带一路: 中国的马歇尔计划?" (1) : 91-92, 2015

      57 "アジアニュース米国防長官、対中国もう寛容ではない" 日本経済新聞

      58 Giovanni Arrighi, "lineages of the twenty-first century" Verso 2007

      59 "Xinhua Silk Road Information Service"

      60 MichelleI Witte, "Xi Jinping Calls For Regional Cooperation Via New Silk Road"

      61 M. Nicolas, "World Pensions Council: Pension Investment in Infrastructure Debt: A New Source of Capital" World Bank blog

      62 Kiani, Khaleeq, "With a new Chinese loan, CPEC is now worth $57bn"

      63 Yiping Huang, "Understanding China's Belt & Road Initiative: Motivation, framework and assessment"

      64 "The Time of India"

      65 Theresa Fallon, "The New Silk Road: Xi Jinping's Grand Strategy for Eurasia"

      66 Xiaoyu, Pu, "The Geo-economic effects of OBOR, One Belt, One Road: Visions and Challenges of China's Geoeconomic Strategy" University of Nevada 2015

      67 "The Diplomat"

      68 Stanley Toops, "Reflections on China's Belt and Road Initiative"

      69 François Godement, "One Belt, One Road:China’s Greate Leap Outward"

      70 Hong Yu, "Motivation behind China's ‘One Belt, One Road’ Initiatives and Establishment of the Asian Infrastructure Investment Bank" 2016

      71 파키스탄계획발전개혁부, "Ministry of Planning, Development and Reform"

      72 "Malaysia's Mahathir warns against ‘new colonialism’ during China visit"

      73 Peter Janssen, "Land-locked Laos on track for controversial China rail link"

      74 Wade Shepard, "Is China’s ‘New Silk Road’ Really A Recipe For Peace?"

      75 "International Trade Centre"

      76 Aiman Turebekova, "Integrating Kazakhstan Nurly Zhol, China's Silk Road economic belt will benefit all, officials say"

      77 Weidong Liu, "Inclusive globalization: unpacking China's Belt and Road Initiative"

      78 "How will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advance China's interests?" CSIS China Power Project

      79 "Global Security"

      80 "GPF Geo-political Futures"

      81 "East-West Center"

      82 Michael D. Swaine, "Chinese Views and Commentary on the 'One Belt, One Road' Initiative" (47) : 2015

      83 Brahma Chellaney, "China’s Imperial Overreach" Project Syndicate

      84 Liangyu, "China-Laos railway completes first continuous beam block construction on Mekong River"

      85 Prashanth Parameswaran, "China, Laos to build $6 Billion Railway by 2020"

      86 Hussain, Tom, "China's Xi in Pakistan to cement huge infrastructure projects, submarine sales"

      87 Brahma Chellaney, "China's Debt-Trap Diplomacy" Project Syndicate

      88 Nadège Rolland, "China's 'Belt and Road Initiative': Underwhelming or Game-Changer?"

      89 Baktybek Beshimov, "China extends grip in Central Asia" The Jamestown Foundation

      90 Danish Hyder, "CPEC: The devil is not in the details"

      91 Salman Siddiqui, "CPEC investment pushed from $55b to $62b - The Express Tribune" The Express Business

      92 袁新濤, "'一带一路'建設的國家戰略分析" (11) : 2014

      93 薛力, "'一带一路'与'欧亚世纪'的到来" 中国社会科学出版社 2016

      94 王义桅, "'一带一路': 机遇与挑战" 人民出版社 2015

      95 金玲, "'一带一路': 中國的馬歇爾計划?" (1) :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3-15 학회명변경 한글명 : 세계평화통일학회 ->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영문명 : The Society of world Peace and Unification -> The Korean Association of Peace Studies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8 0.58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48 0.882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