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고등학교 현장적용 사례 및 과제 연구 = A Study on the Application Cases and Tasks of the 2015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for High Sch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055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의 특징과 의미를 중심으로 고등학교 현장 적용 사례를 살펴보고, 그에 따른 과제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자는 최근 2년 동안 2015 개정 체육과 교...

      이 연구는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의 특징과 의미를 중심으로 고등학교 현장 적용 사례를 살펴보고, 그에 따른 과제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자는 최근 2년 동안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을 실천하고 있는 고등학교 체육 교사 5명을 선정하여 2017년 1월부터 7월까지 문서와 심층 면담, 수업 관찰 일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8월부터 12월까지 그 의미를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새로운 교육과정의 이해를 바탕으로 교사와 학생의 상호관련성과 역량 함양에 기초한 학생 중심 교수·학습 방법 등을 설계하고 적용하며 과정 평가를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새로운 교육과정 적용을 위한 과제로는 첫째, 고등학교 체육 신설 과목에 대한 세부 내용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학교 실정에 맞는 과목과 교수·학습 모형을 선정하고 평가 방법을 어떻게 활용할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였다. 둘째, 새로운 교육과정의 핵심인 핵심 역량과 교과 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계획-수업-평가-기록의 일치성 있는 연계성이 요구되었다. 셋째, 새롭게 개설된 안전 영역은 따로 분리된 수업이 아닌 융합적인 접근을 통해 평가에 활용하는 방안들까지 모색해볼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 연구가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의 이해를 바탕으로 고등학교 현장에 안정적으로 안착되기를 희망하며 실천적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pplication cases and tasks of the 2015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for high school, focusing on its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The researcher selected total five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pplication cases and tasks of the 2015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for high school, focusing on its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The researcher selected total five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racticing the 2015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for last two years, collected data through documents, in-depth interview, and lesson observation journal from January to July 2017, and then analyzed the meanings from August to December.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new curriculum,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trying hard for the evaluation by designing/applying the student-centered teaching/learning methods based on the cultivation of competencies and correlations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Regarding the tasks for the application of the new curriculum, first, it would be
      necessary to select the subjects and teaching/learning models suitable for school condition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detailed contents of newly-established physical education subject of high school, and also to think about how to use the evaluation method. Second, it was required to have the consistent connectivity of curriculum, planning, lesson, evaluation, and record for cultivating the keypoint of the new curriculum such as core competency and subject competency. Third, it would be needed to seek for the measures for utilizing the newly-established safety area for the evaluation through the convergent approach, instead of the separated lesso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practical data for the stable settlement of the 2015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n high school sit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i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연구방법
      • Ⅲ.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고등학교 현장 적용 사례
      • Ⅳ.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고등학교 적용을 위한 과제
      • Ⅴ. 요약 및 제언
      • Ⅰ. 서 론
      • Ⅱ. 연구방법
      • Ⅲ.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고등학교 현장 적용 사례
      • Ⅳ.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고등학교 적용을 위한 과제
      • Ⅴ. 요약 및 제언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교육부, "체육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1호 【별책 11】"

      2 김진필, "중등체육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체육교육학회 17 (17): 31-50, 2012

      3 Saad F., "Teacher-driven curriculum development at the classroom level: Implications for curriculum, pedagogy and teacher training" 63 : 296-313, 2017

      4 Monica S., "Planning Physical Education-from Theory to Practice" 76 (76): 790-794, 2013

      5 Marilyn M. Buck.,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second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McGraw-Hill College 2006

      6 김명수,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의 특징과 현장 적용을 위한 과제" 한국초등체육학회 23 (23): 1-14, 2017

      7 장용규,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서 역량중심의 의미와 초등체육의 지향" 한국초등체육학회 22 (22): 77-91, 2016

      8 이종원,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체육교사의 관심도 분석"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7 (7): 165-173, 2017

      9 박혜연,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학교무용교육의 변화와 과제" 한국체육학회 56 (56): 577-587, 2017

      10 권점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교육과정 적용 방안 자료집: 국어, 사회, 과학, 영어, 초등 통합 교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1 교육부, "체육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1호 【별책 11】"

      2 김진필, "중등체육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체육교육학회 17 (17): 31-50, 2012

      3 Saad F., "Teacher-driven curriculum development at the classroom level: Implications for curriculum, pedagogy and teacher training" 63 : 296-313, 2017

      4 Monica S., "Planning Physical Education-from Theory to Practice" 76 (76): 790-794, 2013

      5 Marilyn M. Buck.,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second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McGraw-Hill College 2006

      6 김명수,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의 특징과 현장 적용을 위한 과제" 한국초등체육학회 23 (23): 1-14, 2017

      7 장용규,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서 역량중심의 의미와 초등체육의 지향" 한국초등체육학회 22 (22): 77-91, 2016

      8 이종원,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 대한 체육교사의 관심도 분석"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7 (7): 165-173, 2017

      9 박혜연,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학교무용교육의 변화와 과제" 한국체육학회 56 (56): 577-587, 2017

      10 권점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교육과정 적용 방안 자료집: 국어, 사회, 과학, 영어, 초등 통합 교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11 서지영,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체육과 평가기준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12 박은아,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적용 방안(Ⅱ) 일반고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