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암반비탈면에 있어서 천공기법에 의한 녹화공법의 개발 -참싸리를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Revegetation Measures using Boring Technique in Rock Slopes -Focus on Lespedeza cyrtobotry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487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early revegetation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germination and growth of Lespedeza cyrtobotrya using boring technique in rock slopes. After making up a growing basis of approximately 20 cm d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early revegetation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germination and growth of Lespedeza cyrtobotrya using boring technique in rock slopes. After making up a growing basis of approximately 20 cm depth and 10 cm diameter by using a boring machine, the surface of rock slopes was planted with vegetation-plant. The number of germinating populations by soil media was 23 in H.s, 22 in T.s, 12 in M.s, and 1 in M.g.s. The germination rate (%) by soil media was 19.2% in H.s, 18.3% in T.s, 10.0% in M.s and 0.8% in M.g.s. In monthly changes of growth rate, the aspect was northwest direction, the soil media was M.s, and the treatment was microorganism plot. The main factors affecting survivorship and growth of population were soil media and treatment plot. The interaction between each factor had a good effects in bearing × soil media, bearing × treatment plot, soil media × treatment plot. but, it is recommended that the mulching of vegetation plant is highly needed to help the germination of seed and growth of vegetation because of loss of seed and soil media occurred due to rainfall. Therefore, The result suggests that the revegetation technique using boring in rock slope was very efficient in respect of the early revegetation and the landscap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우보명, "황폐산지의 속성녹화공법개발에 관한 연구" 24 : 1-24, 1974

      2 박병익, "폐석퇴적지 사면의 녹화공법에 관한 연구" 18 : 68-77, 1987

      3 마호섭, "종자뿜어붙이기공법에 의한 임도비탈면의 식생회복" 15 : 41-50, 2005

      4 우보명, "조경녹화사방에 관한 연구" 28 (28): 67-96, 1975

      5 남상준, "자연표토 복원공법에 의한 암비탈면의 한국잔디와 목본류 종자파종에 의한 녹화" 1 (1): 141-150, 1998

      6 김홍수, "임도 비탈면의 속성 녹화기술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2002

      7 김동엽, "인공지반녹화지에서의 인공토양 내 토양미생물 활동" 59-61, 2002

      8 유택규, "암석노출지의 녹화방법에 관한 연구 -도로변 절개지를 중심으로" 9 (9): 13-18, 1982

      9 김경훈, "암비탈면 녹화용 환경친화적 PEC4 공법의 시공" 2 (2): 64-73, 1999

      10 우보명, "암벽면녹화공법개발에 관한 연구 (1) -담쟁이덩굴류의 이용성개발" 37 : 1-16, 1978

      1 우보명, "황폐산지의 속성녹화공법개발에 관한 연구" 24 : 1-24, 1974

      2 박병익, "폐석퇴적지 사면의 녹화공법에 관한 연구" 18 : 68-77, 1987

      3 마호섭, "종자뿜어붙이기공법에 의한 임도비탈면의 식생회복" 15 : 41-50, 2005

      4 우보명, "조경녹화사방에 관한 연구" 28 (28): 67-96, 1975

      5 남상준, "자연표토 복원공법에 의한 암비탈면의 한국잔디와 목본류 종자파종에 의한 녹화" 1 (1): 141-150, 1998

      6 김홍수, "임도 비탈면의 속성 녹화기술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2002

      7 김동엽, "인공지반녹화지에서의 인공토양 내 토양미생물 활동" 59-61, 2002

      8 유택규, "암석노출지의 녹화방법에 관한 연구 -도로변 절개지를 중심으로" 9 (9): 13-18, 1982

      9 김경훈, "암비탈면 녹화용 환경친화적 PEC4 공법의 시공" 2 (2): 64-73, 1999

      10 우보명, "암벽면녹화공법개발에 관한 연구 (1) -담쟁이덩굴류의 이용성개발" 37 : 1-16, 1978

      11 전권석, "시간경과에 따른 임도 절토비탈면의 식생피복도 변화" 7 (7): 14-25, 2004

      12 전기성, "사면 녹화용 외래초종과 재래 목·초본식물의 적정 파종량 및 혼파비에 관한 연구" 2 (2): 33-42, 1999

      13 김남춘, "사면 녹화 공사용 자생목본식생의 파종적기에 관한 연구" 25 (25): 73-82, 1997

      14 김남춘, "비탈면의 조기식생녹화를 위한 식물배합에 관한 연구" 26 (26): 8-18, 1998

      15 김경훈, "비탈면 녹화용 재료로서 산림 표층토의 적정 채취시기 및 이용방법" 2 (2): 53-61, 1999

      16 정인구, "니암지대황폐림지의 지피식생 조성방법에 관한 연구 -니암특성과 조기녹화" 19 : 1-23, 1973

      17 전기성, "녹화용 자생 목본식물과 초본식물종자의 혼파처리에 관한 연구" 85 (85): 271-279, 1996

      18 우보명, "道路비탈면의 景觀安定을 위한 基本모델 選定에 관한 硏究" 61 : 69-79, 1983

      19 안태석, "Eco-Stone을 이용한 사면녹화공법에 관한 연구-식재식물종의 처리구간 생장상태를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7 (7): 87-95,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임학회 -> 한국산림과학회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KCI등재
      2018-0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임학회지 -> 한국산림과학회지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10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임학회지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2 0.871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