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과 핀란드의 지식서비스산업 비교 분석 = A Comparative Study on Knowledge-based Service Industry of Korea and Finlan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2880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전 세계적으로 산업구조는 제조업 중심에서 서비스업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서비스업의 무게중심도 지식서비스업으로 변모되어 가고 있다. 핀란드는 유럽에 속해있는 국가로서 소위 ...

      전 세계적으로 산업구조는 제조업 중심에서 서비스업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서비스업의 무게중심도 지식서비스업으로 변모되어 가고 있다. 핀란드는 유럽에 속해있는 국가로서 소위 경제소국이지만 정보통신분야와 지식서비스산업분야에서는 경제대국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한국에서도 지식서비스산업에 대한 관심이 커져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업연관분석을 통하여 한국과 핀란드 지식서비스산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먼저 수요유도형 모형을 이용하여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 유발효과를 살펴 볼 것이며, 공급유도형 모형 및 레온티에프 가격모형을 적용하여 지식서비스산업의 공급지장효과와 물가파급효과에 대하여 한국과 핀란드를 비교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은 지식서비스산업을 내생부문이 아닌 외생부문으로 다룸으로써 지식서비스산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분석결과 지식서비스산업에서의 1원 생산이 타 산업에 유발하는 생산유발효과는 한국 0.2731원, 핀란드 0.3493원이었으며, 타 산업에 유발하는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한국 0.1410원, 핀란드 0.2086원이었다. 수요유도형 모형을 이용한 결과는 핀란드가 한국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지식서비스산업의 공급지장효과는 한국 0.6713원, 핀란드 0.7228원이었으며, 지식서비스산업의 10% 가격인상으로 인한 물가파급효과는 한국 0.1190%, 핀란드 0.2302%로 핀란드가 높게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industrial structure changed into service industry from manufacturing industry and has been changing into knowledge-based service industry based on knowledge world widely. Finland is an economically minor country but core country in knowledge-base...

      The industrial structure changed into service industry from manufacturing industry and has been changing into knowledge-based service industry based on knowledge world widely. Finland is an economically minor country but core country in knowledge-based service industry. Moreover the interest in knowledge-based service industry is now growing. This study attempts to compare the economic impacts of knowledge-based service industry between Finland and Korea using an inter-industry analysis. Specifically, the study analyzes and compares between Finland and Korea about production-inducing effect and value added inducing effect of knowledge-based service industry based on demand-driven model. Moreover, the study deals with supply shortage effect and sectoral price effect by using supply-driven model and Leontief price model, respectively. These analyses have made by dealing the knowledge-based service industry as exogenous not endogenous. The results show that, knowledge-based service industry induces production-inducing effect of 0.2731 won in other industries in Korea and 0.3493 won in other industries in Finland, value-added-inducing effects of 0.1410 won in other industries in Korea and 0.2086 won in other industries in Finland. results from using demand-driven model are higher in Finland than Korea. Knowledge-based service industry induces supply shortage effects 0.6713 won in other industries in Korea and 0.72628 won in other industries in Finland, and sectoral price effects are 0.1190% in Korea and 0.2302% in Finland due to the price increase of 10% of knowledge-based service industr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및 지식서비스산업의 비중
      • Ⅲ. 연구방법론
      • Ⅳ. 한국과 핀란드의 산업연관표
      • Ⅴ. 한국과 핀란드 지식서비스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및 지식서비스산업의 비중
      • Ⅲ. 연구방법론
      • Ⅳ. 한국과 핀란드의 산업연관표
      • Ⅴ. 한국과 핀란드 지식서비스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 Ⅵ.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봉철, "한국 광고산업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 타산업과의 상호 연관관계 분석을 중심으로" 3 (3): 77-118, 2003

      2 안두순, "핀란드와 아일랜드의 산업구조정책과 시사점" 28 : 1-32, 2003

      3 유승훈, "투입산출표의 외생화를 이용한 전파방송산업의 산업파급효과 분석" 17 (17): 1593-1612, 2004

      4 구문모, "지식서비스산업의 발전방안" 산업연구원 1999

      5 장영배, "지식기반사회의 혁신정책을 개선하려는 핀란드의 노력" 121 : 152-157, 2000

      6 홍동표,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한·미·일 소프트웨어 산업 분석" 9 (9): 247-273, 2002

      7 유승훈,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해양심층수 산업화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20 (20): 1345-1357, 2007

      8 강광하, "산업연관분석론" 연암사 2000

      9 Howe, C. W., "The value of whater supply erliability in urban whater systems" 26 : 19-30, 1994

      10 Gosh, A., "Input-output Approach in an Allocation System" 25 (25): 58-64, 1958

      1 김봉철, "한국 광고산업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 타산업과의 상호 연관관계 분석을 중심으로" 3 (3): 77-118, 2003

      2 안두순, "핀란드와 아일랜드의 산업구조정책과 시사점" 28 : 1-32, 2003

      3 유승훈, "투입산출표의 외생화를 이용한 전파방송산업의 산업파급효과 분석" 17 (17): 1593-1612, 2004

      4 구문모, "지식서비스산업의 발전방안" 산업연구원 1999

      5 장영배, "지식기반사회의 혁신정책을 개선하려는 핀란드의 노력" 121 : 152-157, 2000

      6 홍동표,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한·미·일 소프트웨어 산업 분석" 9 (9): 247-273, 2002

      7 유승훈,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해양심층수 산업화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20 (20): 1345-1357, 2007

      8 강광하, "산업연관분석론" 연암사 2000

      9 Howe, C. W., "The value of whater supply erliability in urban whater systems" 26 : 19-30, 1994

      10 Gosh, A., "Input-output Approach in an Allocation System" 25 (25): 58-64, 1958

      11 Miller, R.E., "Input-Output Analysis: Foundations and Extensions" Prentice-Hall 1985

      12 박용태, "B2C E-commerce Strategies From An IT Infrastructure Perspective"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6 (6): 207-228, 2006

      13 Giarratani, F., "Application of an Interindustry Supply Model to Energy Issues In: Regional Impact of Rising Energy Price" Balinger Publishing co. 1978

      14 Hoover, E. M., "An Introduction to Regional Economics" 197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20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Industrial Economics Association -> Korean Industrial Economic Association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2-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Review of Business & Economics ->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 KCI등재
      2006-06-15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Industrial Economics Association -> Korean Industrial Economic Associ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1 0.81 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5 0.97 1.238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