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반논문 : 조선 초기 배불의 사상적 배경에 대한 고찰 -『조선왕조실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Backgrounds in against Buddhism of early Chosu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4118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흔히 ``숭유억불``로 규정되고 있는 조선 초기의 숭유억불의 구체적 내용을 파악하기 위한 선결 과제로서 조선 초기 배불의 사상적 배경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조선 초기 배불의 ...

      본 논문은 흔히 ``숭유억불``로 규정되고 있는 조선 초기의 숭유억불의 구체적 내용을 파악하기 위한 선결 과제로서 조선 초기 배불의 사상적 배경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조선 초기 배불의 사상적 배경으로 첫 번째로 들 수 있는 것은 주자학의 수용이다. 주자학의 형성은 철저한 배불론의 주체가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 도통의식과 벽리단논으로 무장한 주자학자들이 등장함으로써 본격적이고 철저한 배불론이 체계를 갖추었던 것이다. 특히 유교를 국가의 통치 이념으로 받아들인 조선왕조에서는 국가 권력의 새로운 지배층으로 자리 잡은 신진사대부들의 불교에 대한 비판은 체계적이면서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배불론의 사상적 배경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수 있다. 첫째, 불교가 국가의 안녕과 행복을 지켜주지 못한다는 진호국가에 대한 부정이다. 둘째, 불교가 유학의 도통설에 위배된다는 것이다. 유학에서 ``도통(道統)``이란 개념은 ``유학의 참 정신이 전해 내려온 큰 흐름``을 뜻한다. 그런데 불교는 유학의 참 정신을 해친다는 것이다. 셋째, 불교와 승단 자체가 안고 있는 문제로서 불교의 가르침이 유교의 도덕과 배치된다는 하는 점이다. 결론적으로 고려말에 시작되어 조선 왕조에 들어서 본격화 되는 배불론의 사상적 배경에는 불교에서 유교로 전환되는 국가 통치 이념의 교체와 불교의 타락과 부패를 유교의 도덕주의로 극복하고자 하는 시대적 상황이 주어져 있었던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ideological intellectuals representing the hybrid group of the period of late Koryo and early Chosun by Jeong Mong-ju awareness of their Buddhist subjects to be investigated. Prior research has recognized that The l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ideological intellectuals representing the hybrid group of the period of late Koryo and early Chosun by Jeong Mong-ju awareness of their Buddhist subjects to be investigated. Prior research has recognized that The literary noblemen``s conception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in this time on combination with the gentry were analyzed. However, this view is the period of late Koryo and early Chosun considerably long time, and each time it is different for each individual existence without considering how the same can not be applied to a problem. In addition, the terms are to Confucianism and Buddhism as a way of confrontation and conflict, harmony you want to accept the view that development takes explicit help, but that is inherent in the dynamics of chaotic and complex ideological transition there is a limit to be read out. Therefore, I have to overcome this problem effectively the period of late Koryo and early Chosun for intellectual and ide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sought to understand hybridity. Confucianism are enshrined in the new ideas were generated in the process. On the other hand, Kim Si-seup``s the ideological hybridity is becoming a lottery at the time of the founding of the Buddhist philosophy of Confucianism is to allow the process of maturation occurred. It features two people can be called ideological hybridity. In this regard, Jeong Mong-ju respectively the period of late Koryo and early Chosun changes in the transition to the new ideas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on contemporary needs through independent choice to deal with the whole body of practical can be called intellectual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국사편찬위원회 편집부, "한국사 26" 국사편찬위원회, 1997

      2 김영태, "한국불교사상(특강)" 경서원, 1997

      3 황수영, "한국금석유문" 일지사, 1976

      4 강우방, "한국 미의 재발견-불교조각" 솔, 2003

      5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진관사수륙재보존회, "진관사 국행수륙대 제" 2011

      6 최재복, "조선초기국상에서의 49재 설행과 변화" 조선시대사학보 19, 2001

      7 이영화, "조선초기 불교의례의 성격" 청계사학 10, 1993

      8 정남, "조선초기 기우제의성격 변화" 청람사학 6, 2002

      9 김용환, "조선조 초기 王室의 儒․佛意識 연구" 한국민족문화 9, 1997

      10 김탁, "조선전기의 전통신앙- 衛護와 忌晨齋를 중심으로" 종교연구 6, 1990

      1 국사편찬위원회 편집부, "한국사 26" 국사편찬위원회, 1997

      2 김영태, "한국불교사상(특강)" 경서원, 1997

      3 황수영, "한국금석유문" 일지사, 1976

      4 강우방, "한국 미의 재발견-불교조각" 솔, 2003

      5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진관사수륙재보존회, "진관사 국행수륙대 제" 2011

      6 최재복, "조선초기국상에서의 49재 설행과 변화" 조선시대사학보 19, 2001

      7 이영화, "조선초기 불교의례의 성격" 청계사학 10, 1993

      8 정남, "조선초기 기우제의성격 변화" 청람사학 6, 2002

      9 김용환, "조선조 초기 王室의 儒․佛意識 연구" 한국민족문화 9, 1997

      10 김탁, "조선전기의 전통신앙- 衛護와 忌晨齋를 중심으로" 종교연구 6, 1990

      11 김희준, "조선전기 수륙재의설행" 호서사학 30, 2001

      12 심효섭, "조선전기 수륙재의 설행과 의례" 동국사학 40, 2004

      13 임호민, "조선전기 수륙재 설행목적과법규정비" 영동문화 10, 2004

      14 한국사상사연구회, "조선유학의 개념들" 예문서원 : 435 ~ 436, 2002

      15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조선왕조실록"

      16 정문석, "조선시대 승장계 범종 연구" 동국대학교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1

      17 이희재, "조선 중종대 왕실의 불교의례 기신재를중심으로" 불교문화연구 3, 2004

      18 최응천, "조선 전반기 佛敎工藝의 도상해석학적 연구 - 명문과 도상적 특성 -" 강좌미술사 (36) : 317 ~ 345, 2011

      19 김효경, "조선 왕실의 기양의례:移御" 역사민속학 (30) : 245 ~ 292, 2009

      20 이현진, "조선 왕실의 忌晨祭 설행과 변천" 조선시대사학보 (46) : 81 ~ 123, 2008

      21 김영수, "오교양종에 대하야" 진단학보 8, 1937

      22 이봉춘, "연산조의 배불책과 그 추이의 성격" 불교학보 29,

      23 박아연, "수종사 팔각오층 석탑 봉안 왕실발원 금동불상군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9

      24 박범훈, "세종대왕이 창제한 불교음악 연구-사리영응기를 중심으로" 한국음악사학보 23, 1999

      25 김태흡, "세종대왕의 신불과 월인천강지곡" 불교 (69), 1930

      26 서울시, "서울육백년사" 서울시, 1987

      27 김정희, "문정왕후의 중흥불사와 16세기 왕실발원 불화" 미술사학연구 231, 2001

      28 강경남, "도첩제고" 동국사상 16, 1983

      29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국역 고려사" 경인문화사, 2008

      30 양혜원, "고려후기~조선전기 免役僧의 증가와 度牒制 시행의 성격" 한국사상사학 44 (44) : 1 ~ 37, 2013

      31 최진석, "고려후기 도첩제에 대하여" 경희사학 3, 1972

      32 허흥식, "고려불교사연구" 일조각, 1986

      33 황인규, "고려말· 조선전기 불교계와 고승연구" 혜안, 2005

      34 강원향토문화연구회, "강원문화재대관 : 국가지정편" 강원도, 2006

      35 최윤곤, "간경도감의 실체와 불전간행사업" 인문사회과학논문집 31, 2002

      36 한형주, "許稠와 태종~세종대 國家儀禮의 정비" 민족문화연구 (44) : 271 ~ 321, 2006

      37 이광배, "發願者 階層을 통해 본 朝鮮前期 梵鍾의 樣式" 미술사학연구 262 (262) : 5 ~ 32, 2009

      38 金容祚, "朝鮮前期의 國行祈攘佛事 연구" 동국대학교, 1990

      39 주경미, "朝鮮前期 王室發願鐘의 硏究" 동양학 (42) : 221 ~ 241, 2007

      40 沈曉燮, "朝鮮前期 忌晨齋의 設行과 儀禮" 불교학보 (40) : 365 ~ 383, 2003

      41 대한불교조계종교육원 불학연구소, "曹溪宗史-고중세편" 대한불교조계종교육원, 2005

      42 김승동, "佛敎·印度思想辭典" 부산대학교출판부,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