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수보살 신앙과 영험설화의 전승양상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191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문수보살(Ma?ju?ri) 신앙의 성격을 이해하고 문수보살 신앙이 전래하여 전개되고 있는 현상을 문수보살 영험도량과 영험설화를 통해 고찰하기 위해 씌어졌다. 이 글의 연구 방법은 ...

      이 글은 문수보살(Ma?ju?ri) 신앙의 성격을 이해하고 문수보살 신앙이 전래하여 전개되고 있는 현상을 문수보살 영험도량과 영험설화를 통해 고찰하기 위해 씌어졌다.
      이 글의 연구 방법은 문헌 자료와 현장 답사에서 얻은 자료를 바탕으로 삼았다. 분석의 틀은 먼저 경전을 통해서 문수보살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했다. 문수보살은 석가의 교화를 돕고자 일시 보살의 자리를 보인 보처보살로서 ‘훌륭한 복덕을 지녔다’ 또는 ‘완전한 지혜’라는 뜻에서 반야를 인격화한 상징적 보살이다.
      문수보살 신앙의 유입은 신라 때 중국을 통해서 자장율사에 의해 유입되었다. 문수신앙의 전승은 「삼국유사」를 통해서 알 수 있고, 태백산맥을 따라서 전승하고 있는 설화나 지명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문수신앙은 우리나라에도 오대산 신앙을 낳았고, 고려말 공민왕때 문수회가 조직되는 등 후대에까지 문수신앙은 전승되었다. 문수보살 신앙의 전승 현황은 문수도량과 기도의 현장을 통해서 확인된다.
      문수보살 영험설화를 통해서 문수보살 신앙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문수보살 영험설화의 내용은 수행승으로서 본연의 자리를 잃지 말라는 경책과 당시 귀족 불교에 대한 비판의식을 나타낸다. 영험담에서 문수보살은 어린 동자나 노인의 형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영험담의 구조는 trickster의 구조다. 이 구조의 특징은 서사구조에서 주체자를 일깨워 주고 주체자의 성격을 변화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 영험설화에서 문수보살이 동자나 스님 또는 초라한 행색으로 현신하는 형식은 중국의 설화에서도 발견된다. 이는 중국의 불경과 영험록을 접한 승려들에 의해 이식되고 변이된 양상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이해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s to inquire into the phenomenon of the Ma?ju?ri(文殊師利) Belief which is of great importance in Buddhism. It is expected that we can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Buddhism through the analysis of the Ma?ju?ri Belief stil...

      This article is to inquire into the phenomenon of the Ma?ju?ri(文殊師利) Belief which is of great importance in Buddhism. It is expected that we can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Buddhism through the analysis of the Ma?ju?ri Belief still passed down to the present generation.
      In the methodological aspect, this article is based on the data from a review of literature and field studies. It is intended to clarify Ma?ju?ri"s character by studying Buddhist scripture. Ma?ju?ri is the symbolic bodhisattva who personified the virtue of Banya, Buddhist wisdom, which means ‘having good luck and virtue’ or ‘perfect wisdom’. Ma?ju?ri becomes a bodhisattva temporarily to help Buddha eradicate all miseries of the life who are eventually destined to become Buddha in the afterlife.
      The Ma?ju?ri Belief dates back to Shilla(新羅) dynasty when Jajang(慈藏)monk transmitted it from China to Korea, which is recorded in 《Samguk Yusa》(三國遺事) :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and also mentioned in the traditional stories or the place names. The present transmission state can be detected at the sites of prayer and practice for Buddhists. The lay Buddhists taking part in the prayer expect their wishes to be realized by the miraculous power of Ma?ju?ri.
      The traditional stories of Ma?ju?ri showing the miraculous virtue help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ju?ri belief. In these stories, Ma?ju?ri is personified as a child or an old man. The structure of the stories is that of trickster, which is characterized by awakening the main agent and changing the personality. The old man warns human kinds not to be carried away by the power of their position and their arrogance. The child is interpreted as the personified bodhisattva representing an ideal human. The child not only has the meaning of linguistic symbol, ‘a young child’, but also means innocence, recovery of human nature, and the truth itself.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문수보살 신앙의 기원과 성격
      • Ⅲ. 문수보살 신앙의 전래와 전승
      • Ⅳ. 문수보살 영험 도량과 영험설화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문수보살 신앙의 기원과 성격
      • Ⅲ. 문수보살 신앙의 전래와 전승
      • Ⅳ. 문수보살 영험 도량과 영험설화
      • Ⅴ.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화엄경"

      2 한국불교사전편찬위원회, "한국불교대사전" 보련각 1982

      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91

      4 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91

      5 "잡아함경"

      6 범해찬, "자장법사, In 동사열전" 광제원 1991

      7 "유마경"

      8 김석보, "울산유사" 소문출판사 1979

      9 김용덕, "우리불교우리문화" 밀알 2005

      10 한강지, "오대산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좌상 연구" 동국대학교 2006

      1 "화엄경"

      2 한국불교사전편찬위원회, "한국불교대사전" 보련각 1982

      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91

      4 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91

      5 "잡아함경"

      6 범해찬, "자장법사, In 동사열전" 광제원 1991

      7 "유마경"

      8 김석보, "울산유사" 소문출판사 1979

      9 김용덕, "우리불교우리문화" 밀알 2005

      10 한강지, "오대산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좌상 연구" 동국대학교 2006

      11 조희웅, "신화학강요" 새문사 1989

      12 "신증동국여지승람"

      13 김창현, "신돈과 그의 시대" 푸른역사 2006

      14 "수능엄삼매경"

      15 홍윤식, "삼국유사와한국고대만다라" 원광대 1985

      16 조동일, "삼국유사 불교설화와 숭고하고 비속한 삶, In 삼국유사 연구 (상)" 영남대민족문화연구소 1983

      17 "삼국유사"

      18 김용덕, "불교설화에서 동자(童子) 출현의 양상과 의미연구" 실천민속학회 15 : 169-195, 2010

      19 홍사성, "불교상식백과" 불교시대사 1999

      20 이정수, "불공삼장의 문수신앙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1994

      21 C.G. 융 저작번역위원회, "민담에 나타난 정신 현상에 관하여, In 원형과 무의식" 솔출판사 2002

      22 김용덕, "미륵불 신앙의 현장 연구" 한국언어문화학회 (43) : 201-223, 2010

      23 장준구, "문수신앙과 돈황의 문수보살도 연구" 대구카톨릭대 인문과학연구소 12 : 2009

      24 "문수사리법보장다라니경"

      25 정병조, "문수보살의 연구" 동국대학교 1988

      26 "문수보살발원경"

      27 "문수보살반열반경"

      28 "문수보살문보리경"

      29 편집부, "문수기도집" 정우서적 2010

      30 정념, "문수기도공덕" 민족사 2002

      31 "묘법연화경"

      32 "묘법연화경"

      33 이고운, "명산고찰따라" 운주사 1991

      34 울주군, "내고장의 정기" 1983

      35 염중섭, "『오대산사적기五臺山事跡記』「제1조사전기第1祖師傳記」의 수정인식 고찰 ― 민지閔漬의 오대산불교 인식" 한국국학진흥원 (18) : 231-271, 2011

      36 염중섭, "『三國遺事』 五臺山 관련기록의 내용분석과 의미Ⅰ- 慈藏의 文殊信仰을 중심으로" 한국사학회 (101) : 81-125,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64 0.965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