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저층주거지 내 거주자 및 건축물의 연계분석을 통한 거주특성 규명 연구 = 서울시 마포구 연남동 휴먼타운 시범사업 구역을 대상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464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저층주거지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건축물의 특성과 함께 거주자 및 주차실태를 조사·분석하였다. 이에 70년대 토지구획정리사업으로 개발되어 대표적인 저층주...

      본 연구는 저층주거지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건축물의 특성과 함께 거주자 및 주차실태를 조사·분석하였다. 이에 70년대 토지구획정리사업으로 개발되어 대표적인 저층주거지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는 서울시 마포구 연남동 일대를 중심으로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주로 건물유형은 단독주택이 45.7%, 다세대·다가구주택이 35.7%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주민등록등재 세대의 75%는 세입자이며 1~2인 가구가 78%로 높게 나타났다. 연령이 높을수록 단독주택에, 낮을수록 다가구·다세대 주택에 거주하고 있으며 주거유형별 거주자 평균연령은 단독주택이 53.7세로 가장 높고, 연립·아파트·다세대·다가구 순으로 조사되었다. 불법주차는 평일과 주말의 주·야간 조사 결과 주차공간의 부족으로 전역에 걸쳐 나타났다. 저층주거지의 건물, 거주자, 주차실태를 명확한 공부상 자료와 관찰조사 등을 통해 연계분석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저층주거지의 가치가 새롭게 주목받는 시점에서 이 연구가 관련 특성에 대해 연계분석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향후 바람직한 주거지 재생을 위한 후속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하지만 이 연구에서 다룬 건축물, 거주자, 주차특성 외 주민들의 사회·경제적 문제를 다루지 못한 것은 이 연구의 한계이자 향후 연구과제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define the existing characters, such as residents, parking, as well as physical condition, of low-rise residential area in Seoul City. As a target area of this study Yeonnam-dong, Mapo-gu, Seoul, which is one of the representativ...

      This study focuses on define the existing characters, such as residents, parking, as well as physical condition, of low-rise residential area in Seoul City. As a target area of this study Yeonnam-dong, Mapo-gu, Seoul, which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cases that were developed in the early 1970s by the Land Adjustment Project. The results in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it found that the area consists of single-family housing of 45.7% Second, multi-family housing of 35.7% Third, 75% of tenant resident registration Forth, 78% of households have one person or two persons. In addition, the older, the more they live in single-family housing, while the younger, the more in multi-family housing. The average age based on the housing types is that single-family housing is the oldest of 53.7 years old; and row houses, apartment housing, and multi-family housing are next. Illegal parking occurred in almost any place in the area because there is not enough parking space, among which multi-family housing is the most serious. This study suggests some implications in the following that it tried to comprehensively analyse buildings, residents, and parking in low-rise residential area through field survey and official documents. Nevertheless, it need to be studied socioeconomic status of residents in the fu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저층주거지의 개념 및 실태분석의 필요성
      • 3. 대상지 선정 및 현황 분석
      • 국문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저층주거지의 개념 및 실태분석의 필요성
      • 3. 대상지 선정 및 현황 분석
      • 4. 저층주거지의 종합실태분석 및 거주특성
      • 5.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