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문산 김삼룡박사의 생애와 사상 = The Life and Thoughts of Dr. Munsan Samryong Kim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문산 김삼룡(文山 金三龍, 1925-2014)의 생애와 사상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그는 원불교 창립기에 교조 소태산대종사(少太山大宗師, 朴重彬, 1891-1943)와 2대 종법사인 정산종사(鼎山宗...

      본고는 문산 김삼룡(文山 金三龍, 1925-2014)의 생애와 사상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그는 원불교 창립기에 교조 소태산대종사(少太山大宗師, 朴重彬, 1891-1943)와 2대 종법사인 정산종사(鼎山宗師, 宋奎, 1900-1962)가 집안에서 제우(際遇)한 인연으로 어린 시절, 원불교 교역자의 길에 들어선다.
      그의 생애는 크게 6기로 나눌 수 있다. 제1기는 성장교육기(成長敎育期)로, 1925년(1세) 출생에서부터 1938년(14세)까지의 재가 유․소년기이다. 제2기는 출가수학기(出家修行期)로, 소태산대종사 문하에 출가하여 주경야독으로 수행과 연구를 시작하고부터 1956년(33세) 동국대학교 불교학과를 졸업하고 원광대학 강사로 임용되도록까지의 청년기이다. 제3기는 창학교수기(創學敎授期)로, 원광대학 강사로 대학의 기틀을 쌓는데 참여하고부터 1972년(48세) 원광대학교가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어 교무처장에 취임하도록까지의 장년 1기이다. 제4기는 연구활동기(硏究活動期)로, 원광대학이 종합대학으로 개편되고부터 대학과 교단, 그리고 지역사회를 잇는 활발한 활동과 함께 마한․백제문화연구소를 중심한 익산문화와 미륵신앙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1986년(62세)에 총장에 취임하도록까지의 장년 2기이다. 제5기는 경영지도기(經營指導期)로, 원광대학교 총장에 취임하여 교단과 지역사회를 대표하는 대내외의 활동을 전개하고부터 2000년(76세) 정산종사탄생100주년기념사업회 회장으로 성업을 성공리에 마치도록까지의 장년 3기이다. 제6기는 수양보은기(修養報恩期)로, 정산종사관련 성업의 회향으로부터 원로수도원에 안주하여 교단원로로 수양하며 법문집 등을 펴내는 보은행을 하다가 2014년(90세) 열반에 들도록까지의 만년기이다.
      그의 업적은 원불교의 문화사업과 원광대학교의 교육․연구사업, 그리고 지역사회의 발전을 위한 활동을 통해 드러난다. 원불교신문사의 설립과 <원불교신문>의 창간, 마한․백제문화연구소 초대소장으로서 익산지역의 백제왕도 구명, 전북애향운동본부 총재로서 인재육성사업 등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문산의 사상은 원불교사상의 전개를 바탕으로 하여 미륵신앙 등의 다양한 분야에 걸쳐 있다. 이를 정리하면 우선 다음과 같은 네 가지를 들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새 회상관(會上觀)으로, 대종사의 대각으로부터 전개된 구세제인(救世濟人)을 위한 모임의 실체관이다. 둘째, 새 회상관에 새 주세불관(主世佛觀)으로, 소태산대종사를 새로운 주세불로 본다. 셋째, 사생관(死生觀)으로, 모태에서 와서 모태로 돌아간다는 모태회귀의 관점을 가지고 있다. 넷째, 국가‧민족관(國家民族觀)으로, 한민족인 세계정신의 지도국, 인류도덕의 부모국으로 거듭잘 것이라는 전망이다.
      다만, 문산의 생애와 업적 등은 앞으로 세밀한 보충이 요망된다. 그의 저술을 비롯하여 대담이나 회고 등을 포함하면 그의 사상은 좀더 다양하고 풍성한 관점이 드러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Life and Thoughts of Dr. Munsan Samryong Kim Eunyong Yang Honorary Professor Wonkwang University ABSTRACT The present article aims to observe the life and thoughts of Munsan Samryong Kim (1925-2014). Thanks to the connection of his f...

      The Life and Thoughts of Dr. Munsan Samryong Kim

      Eunyong Yang Honorary Professor Wonkwang University









      ABSTRACT

      The present article aims to observe the life and thoughts of Munsan Samryong Kim (1925-2014). Thanks to the connection of his family with the Great Master Sotaesan (Jungbin Park, 1891-1943), the founder of Won-Buddhism, and the 2nd Master Jeongsan (Gyu Song, 1900-1962), he began his career as a priest of Won-Buddhism from early in his youth.
      His lifetime might be divided into 6 phases. The 1st phase is the period of his growth and education, ranging from his birth in 1925 (age 1) to his teen ages in 1938 (age 14) when he spent his childhood and adolescence at home. The 2nd phase corresponds to the period of his youth during which he left home, entered Buddhist priesthood as a disciple of the Great Master Sotaesan, working and practicing during the day and studying at night, and was appointed as lecturer of Wonkwang College upon graduation from the department of Buddhism, Dongguk University in 1956 (age 33). The 3rd phase is the first part of his middle age during which he contributed to laying the groundwork for Wonkwang College as its lecturer and took office as dean of the academic affairs when the school was upgraded to university in 1972 (age 48). The 4th phase of his life covers the second part of his middle age during which, since reorganization of college to university, he had been actively engaged in researches of Iksan culture and studies on Maitreya belief with Mahan-Baekje Cultural Research Institute as his base together with other joint activities with the academic circles and local community until he was appointed the president of the university in 1986 (age 62). The 5th phase corresponds to the third part of his middle age, called the period of management consultation during which he performed domestic as well as foreign duties as president of Wonkwang University representing the religious order and the local communities until he successfully retired from chairman of the foundation for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birth of the Master Jeongsan in 2000 (age 76). In the 6th or last phase of his life, to be duly called the period of mind cultivation and repayment of kindness, he retreated to the abbey for seniors spending days publishing the collection of his talks, recollecting the projects related to the Master Jeongsan and cultivating his mind as senior member of the religious order, and at last passed away in 2014 at his age of 90.
      His achievements could be summed up in the cultural projects of Won-Buddhism, education and research programs of Wonkwang University and activities for development of the local communities. Typical examples of his achievements include establishment of Won-Buddhism Newspaper Company, the first publication of Won-Buddhism Newspaper, research of Iksan area as capital city of Baekje Kingdom in the capacity of the first director of Mahan-Baekje Cultural Research Institute, and initiative in manpower training as president of the Love Jeonbuk Movement.
      Munsan's thoughts showed a broad range of spectrum, starting from development of Won-Buddhistic ideas as basis to Maitreya belief. His areas of concern and activities may be classified in the following categories: First, a new 'view of hoesang' (會上觀) that represents substance of meetings for 'save the world and govern the people' (救世濟人) developed from enlightening of the Great Master. Second, a new view of main Buddha in addition to the new view of hoesang in which the Great Master Sotaesan shall be regarded as a new main Buddha. Third, a view of living and death from the viewpoint of recurrence of uterus which everything comes from and returns ultimately to. Fourth, a view of nation and state believing that the Korean people shall be reborn as those of the leading country of the world or parent country for human moralism.
      More refined studies are requested to fill up the vacancy in the ...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산김삼룡박사 화갑기념사업회, "한국문화와 원불교사상" 원광대학교출판국 1985

      2 김삼룡, "한국 미륵신앙의 연구" 동화출판공사 1983

      3 박혜명, "한교당 한교당이 열릴때마다" 원불교출판사 1990

      4 김삼룡, "포교학시론(강의노트)"

      5 김삼룡, "창조를 위한 여백" 동화출판공사 1985

      6 김삼룡, "지정학적인 측면에서 본 익산-수로교통로를 중심으로" 15 : 2001

      7 "주산종사 회고"

      8 "정치와 타협하지 않는 참 교육자"

      9 정화사, "정전·대종경(원불교교전)" 원불교출판사 1962

      10 정화사, "정산종사법어" 원불교출판사 1972

      1 문산김삼룡박사 화갑기념사업회, "한국문화와 원불교사상" 원광대학교출판국 1985

      2 김삼룡, "한국 미륵신앙의 연구" 동화출판공사 1983

      3 박혜명, "한교당 한교당이 열릴때마다" 원불교출판사 1990

      4 김삼룡, "포교학시론(강의노트)"

      5 김삼룡, "창조를 위한 여백" 동화출판공사 1985

      6 김삼룡, "지정학적인 측면에서 본 익산-수로교통로를 중심으로" 15 : 2001

      7 "주산종사 회고"

      8 "정치와 타협하지 않는 참 교육자"

      9 정화사, "정전·대종경(원불교교전)" 원불교출판사 1962

      10 정화사, "정산종사법어" 원불교출판사 1972

      11 김정용, "전무출신으로 살았습니다" 원불교출판사 2014

      12 김삼룡, "일본 속의 백제" 1974

      13 김정용, "인류문명과 원불교사상" 원불교출판사 1991

      14 김삼룡, "익산의 선사와 고대문화" 마한백제문화연구소·익산시 2003

      15 김삼룡, "익산의 선사와 고대문화" 마한백제문화연구소·익산시 2003

      16 김삼룡, "익산의 선사와 고대문화" 마한백제문화연구소·익산시 2003

      17 김삼룡, "익산문화권의 연구" 원광대학교출판국 1977

      18 김삼룡, "익산문화권연구의 회고와 전망"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6 : 1983

      19 김삼룡, "원불교학개론" 원광대학교출판국 1973

      20 김정용, "원불교칠십년정신사" 원불교출판사 1989

      21 류병덕, "원불교와 한국사회" 시인사 1977

      22 원불교중앙총부 교정원총무부, "원불교법훈록" 교정원 1999

      23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원불교대사전" 원불교출판사 2013

      24 정화사, "원불교교사" 원불교출판사 1975

      25 원불교자료실, "원불교 초기교서" 원광대학교 도서관 1997

      26 김삼룡, "원불교" 원광대학교출판국 1973

      27 김정용, "우리들 큰일" 금강단 (창간) : 1946

      28 "열반인 사업성적 및 장의관계"

      29 양은용, "소태상대종사(少太山大宗師)의 정기훈련 중 법문(法門) 연구 -1936년 하선에서 1940년 동선까지의 『선원일지』를 중심으로-" 원불교사상연구원 (41) : 135-221, 2009

      30 문산김삼룡박사 고희기념논총간행위원회, "소태산대종사와 원불교사상" 원광대학교출판국 1994

      31 양은용, "소태산대종사관의 전개-「소태산대종사성비명」의 찬술과정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18․19 : 1994

      32 김정용, "생불님의 함박웃음" 원불교출판사 2000

      33 원광대학교, "사진으로 보는 원광반백년" 원광대학교출판국 1995

      34 원광대학교 의전과, "봉황(鳳凰)과 더불어-제2대 문산 김삼룡총장 문집-" 원광대학교 1994

      35 김삼룡, "백제의 익산천도와 그 문화적 성격"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2 : 1977

      36 김삼룡, "백제 미륵사상의 역사적 위치"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4‧5 : 1982

      37 김삼룡, "박길진박사 고희기념 논문집, 『한국근대종교사상사』" 원광대학교출판국 1984

      38 김삼룡, "미륵사상과 正像末三時說"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7 : 1984

      39 김삼룡, "미륵사 창건에 대한 미륵신앙적 배경"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창간) : 1975

      40 김삼룡, "미륵불" 대원사 1991

      41 한국사상사학회, "문산김삼룡박사 고희기념논문집, 『미륵사상의 본질과 전개』" 서문문화사 1994

      42 문산김삼룡박사 고희기념논총간행위원회, "마한백제문화와 미륵사상" 원광대학교출판국 1994

      43 김삼룡, "마한․백제문화와 미륵사상" 원광대학교출판국 1994

      44 김삼룡, "마한․백제문화 연구의 어제와 오늘" 원광대학교 12 : 1975

      45 김삼룡, "동방의 등불 한국" 행림출판사 1994

      46 양은용, "대종사성비명의 연구" 신룡교학회 2 : 1983

      47 대산종사법어편수위원회, "대산종사법어" 원불교100년기념성업회 2014

      48 "나의 이력서"

      49 양은용, "국제불교문화학술회의 40년의 회고와 전망" 원불교사상연구원 (50) : 403-438, 2011

      50 "교원 이력서"

      51 김삼룡, "고대 익산지역 수로고" 원광대학교 10 : 1975

      52 김삼룡, "韓國彌勒信仰の硏究" 敎育出版センタ- 198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