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개 회충 게놈 응용 사례에서 공개용 분석 툴을 사용한 드래프트 게놈 어셈블리 생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936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NGS 기술의 발달로 시퀀싱 비용이 급격히 하락됨에 따라 대규모 크기의 유전체 염기 서열 해독을 소규모의 실험실에서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디노버 어셈블리는 표준 유전체가 없는 새로운...

      NGS 기술의 발달로 시퀀싱 비용이 급격히 하락됨에 따라 대규모 크기의 유전체 염기 서열 해독을 소규모의 실험실에서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디노버 어셈블리는 표준 유전체가 없는 새로운 종을 시퀀싱하는 경우 리드들의 염기 서열 정보를 이용하여 재구성함으로써 원래의 전체 시퀀스를 복원하는 것이다. 최근 이와 관련된 많은 연구 결과가 보고되고 있으나, 충분한 분석 노하우와 명확한 가이드라인 등이 공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들 연구에서 제시하는 동일한 어셈블리 수행 과정 및 분석 툴들을 사용하더라도 만족할만한 수준의 어셈블리 결과를 얻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NGS 기술과 디노버 어셈블리 기술을 이용하여 아직 밝혀지지 않은 생물체의 전체 DNA의 염기 서열을 밝히기 위한 일련의 과정들을 단계별로 소개하고, 각 단계에서 필요로 하는 공개용 분석 툴의 장단점을 분석하여 제시한다. 이러한 과정별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350Mbp 크기의 개 회충 게놈을 응용 사례로 사용한다. 또한 디노버 어셈블리 과정을 통해 새롭게 어셈블리된 시퀀스와 다른 유사 종과의 상동성 분석을 수행하여 어셈블리된 시퀀스에서의 유전자 영역 추출과 추출된 유전자의 기능을 예측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has become possible for small scale laboratories to interpret large scale genomic DNA, thanks to the reduction of the sequencing cost by the development of 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 De novo assembly is a method which creates a putative orig...

      It has become possible for small scale laboratories to interpret large scale genomic DNA, thanks to the reduction of the sequencing cost by the development of 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 De novo assembly is a method which creates a putative original sequence by reconstructing reads without using a reference sequence. There have been various study results on de novo assembly, however, it is still difficult to get the desired results even by using the same assembly procedures and the analysis tools which were suggested in the studies reported. This is mainly because there are no specific guidelines for the assembly procedures or know-hows for the use of such analysis tools. In this study, to resolve these problems, we introduce steps to finding whole genome of an unknown DNA via NGS technology and de novo assembly, while providing the pros and cons of the various analysis tools used in each step. We used 350Mbp of Toxocara canis DNA as an application case for the detailed explanations of each stated step. We also extend our works for prediction of protein-coding genes and their functions from the draft genome sequence by comparing its homology with reference sequences of other nematod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디노버 어셈블리
      • 3. 결론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디노버 어셈블리
      • 3. 결론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D. R. Zerb, "Velvet: Algorithms for de novo short read assembly using de Bruijn graphs" 18 : 821-829, 2008

      2 R. Li, "The sequence and de novo assembly of the giant panda genome" 463 : 311-317, 2010

      3 N. Cloonan, "Stem cell transcriptome profiling via massive-scale mRNA sequencing" 5 : 613-619, 2008

      4 M. L. Metzker, "Sequencing technologies-the next generation" 11 : 31-46, 2010

      5 N. Nagarajan, "Sequence assembly demystified" 14 : 157-167, 2013

      6 M. B. Scholz, "Next generation sequencing and bioinformatic bottlenecks: the current state of metagenomic data analysis" 23 (23): 9-15, 2012

      7 원정임, "NGS 데이터를 이용한 대용량 게놈의 디노버 어셈블리" 한국정보과학회 40 (40): 26-35, 2013

      8 M. Margulies, "Genome sequencing in micro fabricated high-density picolitre reactors" 437 : 376-380, 2005

      9 M. Stanke, "Gene Prediction with a Hidden Markov Model and a new Intron Submodel" 19 : 215-225, 2003

      10 T. D. Wu, "Fast and SNP-tolerant detection of complex variants and splicing in short reads" 26 (26): 873-881, 2010

      1 D. R. Zerb, "Velvet: Algorithms for de novo short read assembly using de Bruijn graphs" 18 : 821-829, 2008

      2 R. Li, "The sequence and de novo assembly of the giant panda genome" 463 : 311-317, 2010

      3 N. Cloonan, "Stem cell transcriptome profiling via massive-scale mRNA sequencing" 5 : 613-619, 2008

      4 M. L. Metzker, "Sequencing technologies-the next generation" 11 : 31-46, 2010

      5 N. Nagarajan, "Sequence assembly demystified" 14 : 157-167, 2013

      6 M. B. Scholz, "Next generation sequencing and bioinformatic bottlenecks: the current state of metagenomic data analysis" 23 (23): 9-15, 2012

      7 원정임, "NGS 데이터를 이용한 대용량 게놈의 디노버 어셈블리" 한국정보과학회 40 (40): 26-35, 2013

      8 M. Margulies, "Genome sequencing in micro fabricated high-density picolitre reactors" 437 : 376-380, 2005

      9 M. Stanke, "Gene Prediction with a Hidden Markov Model and a new Intron Submodel" 19 : 215-225, 2003

      10 T. D. Wu, "Fast and SNP-tolerant detection of complex variants and splicing in short reads" 26 (26): 873-881, 2010

      11 A. Tritt, "An integrated pipeline for denovo assembly of microbial genomes" 7 (7): e42304-, 2012

      12 E. W. Myers, "A whole-genome assembly of Drosophila" 287 : 2196-2204, 2000

      13 G. Marcais, "A fast, lock-free approach for efficient parallel counting of occurrences of k-mers" 27 (27): 764-770,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9-1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정보과학회논문지 : 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외국어명 : Journal of KIISE : 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KIISE Transactions on Computing Practices
      KCI등재
      2013-04-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ISS : 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Journal of KIISE : 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정보과학회논문지 : 컴퓨팅의 실제 -> 정보과학회논문지 : 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외국어명 : Journal of KISS : Computing Practices -> Journal of KISS : 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4 0.21 0.503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