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도덕적 상상력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와 교사교육자의 인식 및 요구 =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and Teacher Educators’ Perceptions and Needs regarding the Moral Imagination Teacher Education Progra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1207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pre-service teachers’ and teacher educators’ perceptions and needs in terms of the moral imagination program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To collect the data, 450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and...

      This study examined pre-service teachers’ and teacher educators’ perceptions and needs in terms of the moral imagination program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To collect the data, 450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and conducted survey questionnaires, and four teacher educators were individually interviewed.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pre-service teachers and teacher educators were intrigued by moral imagination, expecting it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eaching quality and potential for improvement. The pre-service teachers generally considered moral imagination to be included within their teacher education curriculums, while the teacher educators connected it with professional ethics. Both required teacher education programs to foster moral imagination because it can benefit character- and mo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mong the elements of moral imagination, emotion and caring for self were highly demanded, and a short or medium term, course-integrated program was preferred; specifically the teacher educators emphasized using learning methods which were aligned with reflective thinking and daily experiences. This study concluded with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programs designed to foster moral imagination in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도덕적 상상력 신장 프로그램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와 교사교육자의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여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정보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예비...

      본 연구의 목적은 도덕적 상상력 신장 프로그램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와 교사교육자의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여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정보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예비유아교사4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교사양성대학에 재직하는 4명의 교수와 개인면담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와 교사교육자 모두 도덕적 상상력에 대한 관심과 교수역량에 미치는 영향, 교육 및 훈련에 의한 향상가능성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와 교사교육자들은 영유아 인성 및 도덕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도덕적 상상력 신장 프로그램의필요성과 참여의사를 높게 인식하였다. 셋째, 도덕적 상상력의 교육내용 가운데 정서 및 자아에 대한배려 요구가 공통적으로 높았고, 기존 교과목과 통합하여 중단기로 운영하는 방안을 선호하였다. 특히 교사교육자들은 실생활과 연계하여 예비유아교사들의 반성적 실천을 강조하는 교수학습방법의 사용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도덕적 상상력에 기초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교육인적자원부, "학교교육력 제고를 위한 교원양성체계 개선방안" 2006

      2 고미숙, "체현과 도덕적 정서교육" 한국윤리교육학회 (21) : 81-108, 2010

      3 교육부, "인성교육진흥법"

      4 신은수, "유치원 교원 핵심역량 구성 방향 탐색"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203-226, 2011

      5 김영옥,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297-324, 2009

      6 오채선, "유아교육 ․ 보육 정책 변화에 따른 유아교사 전문성탐색"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249-277, 2011

      7 허미경, "유아교사의 윤리적 딜레마 해결력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8 조형숙, "유아교사의 교직윤리 의식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모형 개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373-394, 2012

      9 임승렬, "유아교사의 교직 윤리인식에 관한 연구" 19 (19): 157-173, 2002

      10 염지숙, "유아교사론" 정민사 2015

      1 교육인적자원부, "학교교육력 제고를 위한 교원양성체계 개선방안" 2006

      2 고미숙, "체현과 도덕적 정서교육" 한국윤리교육학회 (21) : 81-108, 2010

      3 교육부, "인성교육진흥법"

      4 신은수, "유치원 교원 핵심역량 구성 방향 탐색"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203-226, 2011

      5 김영옥,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297-324, 2009

      6 오채선, "유아교육 ․ 보육 정책 변화에 따른 유아교사 전문성탐색"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249-277, 2011

      7 허미경, "유아교사의 윤리적 딜레마 해결력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8 조형숙, "유아교사의 교직윤리 의식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모형 개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373-394, 2012

      9 임승렬, "유아교사의 교직 윤리인식에 관한 연구" 19 (19): 157-173, 2002

      10 염지숙, "유아교사론" 정민사 2015

      11 박은혜, "유아교사론" 창지사 2013

      12 조형숙,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윤리 인식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5 (15): 301-326, 2008

      13 김순환,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교직인성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8 (18): 339-363, 2014

      14 김미래, "예비유아교사가 PBL 기반 교직윤리 교육에서 경험한 윤리적 딜레마해결 과정의 의미탐색"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8 (18): 585-615, 2014

      15 조혜진, "예비유아교사 정서역량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와 교수의 인식 및 요구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 23 (23): 231-256, 2016

      16 전재선, "예비유아교사 인성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한국보육학회 13 (13): 305-327, 2013

      17 임연기, "예비교사를 위한 도덕성 함양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교육학회 24 (24): 119-141, 2007

      18 김규수, "영유아사회교육" 공동체 2015

      19 염지숙, "영유아교사의 직업의식과 윤리: 포스트모던 윤리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7 (17): 229-249, 2013

      20 김은설, "보육시설장·보육교사 윤리강령 개발연구" 한국보육시설연합회, 육아정책연구소 2010

      21 신현우, "도덕적 행동의 동기화 요소로서 도덕적 상상력에 관한 연구" 한국윤리학회 1 (1): 187-204, 2012

      22 김국현, "도덕적 상상력을 함양하는 도덕교육" 한국윤리학회 1 (1): 193-225, 2006

      23 김은수, "도덕적 상상력을 통한 초등학교 도덕과 교수-학습 효율화 방안 연구"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19) : 227-250, 2004

      24 Johnson, M., "도덕적 상상력: 체험주의 윤리학의 새로운 도전" 서광사 2008

      25 고미숙, "도덕적 상상력 함양을 위한 교육―초등학교 도덕교육을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소 (19) : 2-54, 2003

      26 정지연, "도덕적 상상력 함양을 위한 과정드라마 활용 수업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연극학회 8 (8): 73-96, 2016

      27 지성애, "도덕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7 (17): 31-57, 2013

      28 유경애, "교직윤리교육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윤리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윤리교육학회 (31) : 283-303, 2013

      29 강기수, "교사교육론" 세종출판사 2000

      30 Bachelard, G., "공기와 꿈" 이학사 2000

      31 Haidt, J., "The righteous mind: Why good people are divided by politics and religion" Penguin 2012

      32 Chapman, A., "The moral imagination in pre-service teachers' ethical reasoning" 38 (38): 131-143, 2013

      33 Campbell, E., "The ethics of teaching as a moral profession" 38 (38): 357-385, 2008

      34 Eisenberg, N., "The caring child" Harvard University press 1992

      35 Joseph, P., "Teaching about the moral classroom : Infusing the moral imagination into teacher education" 31 (31): 7-20, 2003

      36 Kats, L., "Talks with teachers of young children: A collection" Ablex 1995

      37 Freeman, N. K., "Serving and learning at a university laboratory school : Students from birth through adulthood benefit when service learning is integrated into the preservice curriculum" 21 (21): 93-105, 2000

      38 Boon, H., "Raising the bar : Ethics education for quality teachers" 36 (36): 76-93, 2011

      39 Abowitz, K. K., "Moral perception through aesthetics : Engaging imaginations in educational ethics" 58 (58): 287-298, 2007

      40 Schjetne, E., "Empirical moral philosophy and teacher education" 11 (11): 29-41, 2016

      41 Bert, L. E., "Child Development" Sigma Press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4-14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Association for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26 2.26 2.2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6 2.22 2.445 0.4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