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소설과 영화의 대비를 통해 본 시간과 공간의 변증법 : <그랜드 호텔>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Dialectics of Time and Space: Comparing Novel and Film Version of Grand Hote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360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비키 바움의 소설 『그랜드 호텔』 (Menschen im Hotel, 1929)과 이를 영상에 옮긴 에드먼드 굴딩 감독의 영화 〈그랜드 호텔〉(in Grand Hotel, 1932)의 대비를 통해 선조적 순차성에 말미암...

      본고에서는 비키 바움의 소설 『그랜드 호텔』 (Menschen im Hotel, 1929)과 이를 영상에 옮긴 에드먼드 굴딩 감독의 영화 〈그랜드 호텔〉(in Grand Hotel, 1932)의 대비를 통해 선조적 순차성에 말미암아 시간성(시대성)이 강조되는 소설과 그 물리적 재현의 프레임 축적으로 공간성이 강조되는 영화의 매체적 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바이마르 시대의 진취적이고도 문란한 세태를 대변하는 각계 각층의 인물들이 등장해 복마전같은 그들의 인간관계를 노정시킴으로써 세태폭로적 절정으로 치닫는 소설 『그랜드 호텔』은 당대를 살았던 투숙객들과 이들을 조감하는 관찰자적 인물의 적층적 교호를 통해 1920년대 중후반, 개성과 재능을 갖춘 인사들이 불나방처럼 몰려들어 한 시절을 풍미했던 베를린의 시대적 이면을 추적하고 있다. 호텔에 투숙한 인물들의 성격과 행동의 원초적 개연성을 유추할 수 있게 하는 과거 회상이나 인물간의 대화 등을 통해 그들의 이력을 제시함으로써 단지 지금 호텔에 머무르고 있다는 공간 그 자체의 한시성으론 재단하기 어려운 각개 인물들의 개인사적 내력을 노정시킨다. 그리하여 이들이 발딛고 서있는 그랜드 호텔의 공간이 담아내지 못하는 당대의 시간성, 즉 시대적 의미를 규정해주고 있다. 소설과는 달리 등장인물들의 활동공간인 그랜드 호텔의 현장성을 부각시킴으로써 동일한 공간에 몸담고 있는 인물들에 대한 탐구 그 자체에 초점을 맞추는 영화 〈그랜드 호텔〉은 호텔 바깥의 공간이 일절 등장하지 않음으로써 이와 연관한 당대의 사회성을 배제한 채, 철저히 호텔 내부에서 기인한 공간내적 긴장감을 조성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이와 함께, 가독적 사실성을 제고하기 위해 구체적 디테일을 설정한 소설에 비해 영화는 이를 대폭 단순화하거나 특정 장면으로 대체함으로써 공간적 가시성을 드러내면서 미장센 효과를 제고하고 있다. 소설의 추상적 디테일과는 차별화되는 가시적 공간성을 두드러지게 부각시키고 이를 통해 동일한 공간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상이한 세계관을 들추어냄으로써 같은 공간에 공존하는 각개 인물들의 인간성 탐구로 나아가고 있는 것이다. 본고를 통해 선조적 순차성에 말미암아 시간성이 강조되는 소설과 그 물리적 재현의 프레임 축적으로 공간성이 강조되는 영화의 매체적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article, I attempt to discren the media characteristics of novels (which emphasize temporality due to linear sequentiality) and films (which emphasize spatiality by the accumulation of frames into physical representations). The primary subject...

      In this article, I attempt to discren the media characteristics of novels (which emphasize temporality due to linear sequentiality) and films (which emphasize spatiality by the accumulation of frames into physical representations). The primary subjects for comparison are Vicky Baum’s novel Grand Hotel(1929) and it’s 1932 film adaptation(directed by Edmund Goulding). In the novel Grand Hotel, characters from all walks of life present enterprising and irreverent scenes of the Weimar era. Each makes their way to the fore of the exposition by exposing their human relationships, such as those developed during World War I. The novel traces behind the times of Berlin, a city to which (in the mid-to-late 1920s) people with personality and talent flocked like a fireflies. This environment fostered a lavish exchange between observers and their contemporaries. The author presents characters histories through both past recollections of, and current conversations between, characters. This enables readers to deduce the primacy of each character, while observing the behaviors of the hotel’s residents. In this way, the spatial aspects of the hotel mirror the current residents open disclosure of their personal histories, and the ways in which time has not settled their wounds. Thus, they define the temporal meaning of the contemporary world as the space inside the Grand Hotel which can never be filled. Unlike the novel, the film adaptation of Grand Hotel focuses on exploring the characters who occupy this shared space by highlighting the grandeur of the Grand Hotel itself. Serving as an activity space for characters, Grand Hotel focuses on creating a sense of spatial tension caused by the hotel’s interior. This close framing eschews usage of the hotel’s exterior space, simultaneously excluding the era’s sociality. Compared to novels (which include specific details to enhance readable reality), the film greatly accentuates the effect of mise-en-scène. It does so by exposing dramatically simplified spatial visibility, or replacing it with a specific scene. The film does a remarkable job contrasting differences in visible spatiality with the Abstract details of the novel. In this way, the film presents a different world view, wherein characters share one space. Such close proximity indicates movement toward an exploration of each person’s coexisting humanity. This study elucidates the media characteristics of both the film (which emphasizes spatiality through the accumulation of frames into physical representations) and the novel (which emphasizes temporality through linear sequential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2. 소설에 나타난 시간성 3. 영화에 나타난 공간성 4. 결론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 1. 서론 2. 소설에 나타난 시간성 3. 영화에 나타난 공간성 4. 결론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현주, "현대 영화에 나타난 시간성의 표현 방식 - <500일의 썸머>와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을 중심으로" 방송·예술연구소 11 (11): 71-90, 2016

      2 윤미애, "통과장소의 의미론과 1920년대 독일어권의 호텔문학"

      3 프란치스카 쇠슬러, "젠더와 노동 - 양 세계대전 간의 장편소설에 나타나는여비서 -" 12 : 29-58, 2013

      4 서정남, "영화의 서사적 시간성 연구" 14 : 357-405, 1998

      5 시모어 채트먼, "영화와 소설의 서사구조" 민음사 1990

      6 채윤정, "영화공간과 투시법" 14 : 340-356, 1998

      7 윤정헌, "영화 번안에 따른 변용양상 고찰" 12 : 227-266, 2009

      8 이지행, "영화 내러티브에서의 시간성 표현 -영화 <사랑니>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7 (7): 125-133, 2007

      9 윤정헌, "소설의 영화화 방식에 대한 대비 고찰 -「오발탄」과 「하얀 전쟁」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17) : 135-161, 2005

      10 서정남, "소설과 영화의 서사적 시간성 연구" 55-61, 1998

      1 최현주, "현대 영화에 나타난 시간성의 표현 방식 - <500일의 썸머>와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을 중심으로" 방송·예술연구소 11 (11): 71-90, 2016

      2 윤미애, "통과장소의 의미론과 1920년대 독일어권의 호텔문학"

      3 프란치스카 쇠슬러, "젠더와 노동 - 양 세계대전 간의 장편소설에 나타나는여비서 -" 12 : 29-58, 2013

      4 서정남, "영화의 서사적 시간성 연구" 14 : 357-405, 1998

      5 시모어 채트먼, "영화와 소설의 서사구조" 민음사 1990

      6 채윤정, "영화공간과 투시법" 14 : 340-356, 1998

      7 윤정헌, "영화 번안에 따른 변용양상 고찰" 12 : 227-266, 2009

      8 이지행, "영화 내러티브에서의 시간성 표현 -영화 <사랑니>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7 (7): 125-133, 2007

      9 윤정헌, "소설의 영화화 방식에 대한 대비 고찰 -「오발탄」과 「하얀 전쟁」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17) : 135-161, 2005

      10 서정남, "소설과 영화의 서사적 시간성 연구" 55-61, 1998

      11 한국문학평론가협회, "문학비평용어사전(상)" 국학자료원 2006

      12 두산동아 백과사전연구소, "두산세계대백과사전" 두산동아 2002

      13 비키 바움, "그랜드 호텔" 문학과지성사 2017

      14 Brian McFarlane, "Novel to Film : An Introduction to the Theory of Adapt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15 Roland Barthes, "Introduction to the Structural Analysis of Narratives" Fontana/Collins 196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3-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문화와 융합 -> 문화와융합 KCI등재
      2022-03-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 The Society of Korean Culture and Convergence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4-03-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문학과언어학회 -> 한국문화융합학회
      영문명 : Munhak Kwa Eoneo Hakhoi ->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