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액체종균에 의한 표고의 수확 주기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Lentinula edodes cultivated with liquid spawn according to harvest cyc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820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액체종균으로 생육된 표고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수확 주기에 따라 비교하였다. 수확 주기가 경과 됨에 따라 수분 함량은 유의차가 없었으나, 조지방 및 조단백질 함량은 감소...

      액체종균으로 생육된 표고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수확 주기에 따라 비교하였다. 수확 주기가 경과 됨에 따라 수분 함량은 유의차가 없었으나, 조지방 및 조단백질 함량은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β-Glucan 함량은 1주기 버섯에서 가장 많았으며, 2 및 3주기 버섯은 1주기 버섯의 68.5% 및 62.3% 수준이었다. 무기물은 버섯의 갓과 대에서 비슷한 함량이었으며, 2주기 버섯의 갓에서 무기물 함량은 가장 많았다. 구성 및 유리아미노산은 수확 주기가 경과됨에 따라 감소되는 경향이었으며,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1주기 버섯에서 가장 많았다. 총 페놀 함량은 1주기 버섯의 갓에서 31.96 mg/100 g, 대에서 21.10 mg/100 g으로 가장 높았으며, 수확 주기가 경과됨에 따라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주기 버섯의 갓에서 11.13 mg/100 g이었으며 수확 주기가 경과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또한 항산화 활성도 1주기 버섯에서 가장 높았으며, 수확 주기가 경과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따라서 액체종균으로 생육된 표고의 3주기 버섯은 품질특성면에서 1주기 버섯에 비해 시장성에 손색이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Lentinula edodes cultivated with liquid spawn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harvest cycle (1-3 cycl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oisture content. The crude lipid and cru...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Lentinula edodes cultivated with liquid spawn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harvest cycle (1-3 cycl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oisture content. The crude lipid and crude protein contents tended to decrease according to harvest cycle. The content of β-glucan was the highest in mushrooms after one cycle. The β-glucan content in cycles 2 and 3 was 68.5% and 62.3% that of the content after cycle 1, respectively. Mineral content in the pileus and stipe was similar. The mineral content was highest in the pileus after two cycles. Composition and contents of free amino acids tended to decrease according to the harvest cycle. Contents of essential amino acids were higher in mushroom after one cycle. Total phenol content was highest in the pileus (31.96 mg/100 g) and the stipe (21.10 mg/100 g) after one cycle and tended to decrease with subsequent cycles. The flavonoid content was 11.13 mg/100 g after one cycle and significantly decreased according to the harvest cycle. Antioxidant activities were also highest after one cycle and significantly decreased according to the harvest cycle. When compared to L. edodes cultured for one cycle, L. edodes cultivated with liquid spawn for three cycles was considered to have similar marketability in terms of quality characteristic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우관식, "품종 및 재배시기에 따른 조와 기장의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1 (41): 302-309, 2012

      2 이수정, "표고의 액체종균 배양 조건 및 품질 특성" 한국버섯학회 17 (17): 99-106, 2019

      3 김재현, "표고버섯의 항산화능과 알코올분해능에 미치는 영향" 대한본초학회 24 (24): 159-164, 2009

      4 한소라, "표고버섯(Lentinus edodes) 용매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항균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4 (44): 1144-1149, 2015

      5 장혜림, "표고버섯(Lentinula edodes) 및 표고버섯 신품종 이슬송이버섯(Lentinula edodes GNA01)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비교"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4 (44): 1484-1491, 2015

      6 박정숙, "표고버섯 추출액을 이용한 조청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4 (34): 1082-1090, 2005

      7 문지원, "표고 톱밥재배용 신품종 ‘농진고’ 특성" 한국버섯학회 13 (13): 228-232, 2015

      8 박영애, "표고 톱밥재배에서 배지조성과 버섯발생 온도에 따른 β-glucan 함량 비교" 한국균학회 44 (44): 296-299, 2016

      9 오태석, "표고 톱밥재배 시 상대습도가 자실체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버섯학회 16 (16): 263-266, 2018

      10 백일선, "표고 톱밥배지 재배시 LED 광파장이 자실체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버섯학회 11 (11): 226-229, 2013

      1 우관식, "품종 및 재배시기에 따른 조와 기장의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1 (41): 302-309, 2012

      2 이수정, "표고의 액체종균 배양 조건 및 품질 특성" 한국버섯학회 17 (17): 99-106, 2019

      3 김재현, "표고버섯의 항산화능과 알코올분해능에 미치는 영향" 대한본초학회 24 (24): 159-164, 2009

      4 한소라, "표고버섯(Lentinus edodes) 용매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항균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4 (44): 1144-1149, 2015

      5 장혜림, "표고버섯(Lentinula edodes) 및 표고버섯 신품종 이슬송이버섯(Lentinula edodes GNA01)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비교"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4 (44): 1484-1491, 2015

      6 박정숙, "표고버섯 추출액을 이용한 조청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4 (34): 1082-1090, 2005

      7 문지원, "표고 톱밥재배용 신품종 ‘농진고’ 특성" 한국버섯학회 13 (13): 228-232, 2015

      8 박영애, "표고 톱밥재배에서 배지조성과 버섯발생 온도에 따른 β-glucan 함량 비교" 한국균학회 44 (44): 296-299, 2016

      9 오태석, "표고 톱밥재배 시 상대습도가 자실체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버섯학회 16 (16): 263-266, 2018

      10 백일선, "표고 톱밥배지 재배시 LED 광파장이 자실체 생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버섯학회 11 (11): 226-229, 2013

      11 김경제, "표고 수집종들의 유리당, 아미노산 및 β-glucan 함량" 한국버섯학회 14 (14): 27-33, 2016

      12 장명준, "표고 봉지재배에 있어서 영양원에 따른 재배적 특성 비교" 한국버섯학회 9 (9): 105-109, 2011

      13 김정태, "팽이와 느타리버섯 자실체의 갓과 대에서 아미노산 및 유리아미노산 함량 비교" 한국버섯학회 12 (12): 341-349, 2014

      14 서수영, "참나무 수종별 톱밥재배에 따른 표고의 항산화 특성" 한국균학회 45 (45): 121-131, 2017

      15 이수정, "액체종균으로 배양된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한국버섯학회 17 (17): 24-33, 2019

      16 강미영, "시장성이 없는 품질의 갈변 표고버섯(Lentinus edodes)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과학회 36 (36): 648-654, 2004

      17 문갑순, "수확시기에 따른 부추 성분 및 항산화효과의 변화" 한국식품과학회 35 (35): 493-498, 2003

      18 이안수, "산느타리 봉지재배시 배지의 화학성이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버섯학회 18 (18): 135-140, 2020

      19 김진경, "사과/배 부산물 및 표고버섯균사체를 이용한 발효물 개발" 한국식품과학회 51 (51): 286-294, 2019

      20 이관우, "배지조성에 따른 표고 톱밥재배의 생육 효과" 한국버섯학회 16 (16): 267-271, 2018

      21 유미희, "로즈마리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균·항산화 활성" 한국생명과학회 21 (21): 375-384, 2011

      22 김경제, "국내 수집 표고 5품종의 일반성분, 유리당, 아미노산 및 무기성분 함량" 한국버섯학회 15 (15): 216-222, 2017

      23 Benzie IFF,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FRAP)as a measure of"antioxidant power" : the FRAP assay" 239 : 70-76, 1996

      24 Huang D, "The chemistry behind antioxidant capacity assays" 53 : 1841-1856, 2005

      25 Korea Forest Service,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2018

      26 Gutfinger T., "Polyphenols in olive oils" 58 : 966-968, 1981

      27 Eghianruwa Q,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cute toxicity studies of a lectin from the saline extract of the fruiting bodies of the shiitake mushroom, Lentinula edodes(Berk)" 2 : 309-317, 2011

      28 Islam T, "Phenolic profiles, antioxidant capacities and metal chelating ability of edible mushrooms commonly consumed in China" 72 : 423-431, 2016

      29 박영애, "LC-MS/MS를 이용한 표고 균주별 에리타데닌 함량 분석" 한국균학회 39 (39): 239-242, 2011

      30 Oba K, "Individual patient based meta-analysis of lentinan for unresectable/recurrent gastric cancer" 29 : 2739-2745, 2009

      31 Mendez LA, "Effect of substrate and harvest on the amino acid profile of oyster mushroom(Pleurotus ostreatus)" 18 : 447-450, 2005

      32 Kawai G, "Effect of liquid mycelial culture used as a spawn on sawdust cultivation of shiitake(Lentinula edodes)" 37 : 201-207, 1996

      33 Kwon JH, "Effect of chemical fumigant and γ-rays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ried oak mushrooms" 19 : 273-278, 1987

      34 Yim SB, "Determination of dietary fiber contents in mushrooms" 7 : 69-76, 1991

      35 박원철, "Determination of Glucan Contents in the Fruiting Bodies and Mycelia of Lentinula edodes Cultivars" 한국균학회 42 (42): 301-304, 2014

      36 Sharma VP, "Cultural requirements, enzyme activity profile, molecular identity and yield potential of some potential strains of shiitake(Lentinula edodes)" 22 : 105-110, 2013

      37 Hong JS, "Contents of free amino acids and total amino acids in Agaricus bisporus, Pleurotus ostreatus, and Lentinus edodes" 21 : 58-62, 1989

      38 Havrlentova M, "Content of ß-D-glucan in cereal grains" 45 : 97-103, 2006

      39 Moreno MIN,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71 : 109-114, 2000

      40 Cho DB, "Chemical compositions of Lentinula in growth stage –A study on application plan of Lentinula I" 15 : 128-134, 2002

      41 Manzi P, "Beta-glucans in edible mushrooms" 68 : 315-318, 2000

      42 Ferreira IC, "Antioxidants in wild mushrooms" 16 : 1543-1560, 2009

      43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181 : 1199-1200, 1958

      44 Re R,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26 : 1231-1237, 1999

      45 Cheung LM,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s of edible mushroom extracts" 81 : 249-255,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5-04-0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Mushroom Science and Production -> Journal of Mushrooms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