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1950년대 한국 여성담론 연구 : 젠더화된 근대인식과 여성성의 재현을 중심으로 = Korean Discourse on Woman in the 1950s : Gendered Understanding and Representation of Femin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173242

      • 저자
      • 발행사항

        용인 : 경희대학교, 201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경희대학교 대학원 , 국제한국언어문화학과 , 2010. 8

      • 발행연도

        2010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811 판사항(20)

      • 발행국(도시)

        경기도

      • 형태사항

        144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이선이
        참고문헌 : p.136-141

      • 소장기관
        •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dentifying western modernity as others, Korean understanding of modernity aiming at Korean way of modernity in the 1950s, intended to shape the identity of nation state by calling tradition. As the discourse on tradition in the 1950s, a counter-disco...

      Identifying western modernity as others, Korean understanding of modernity aiming at Korean way of modernity in the 1950s, intended to shape the identity of nation state by calling tradition. As the discourse on tradition in the 1950s, a counter-discourse against western modernity, intended to find spiritual value in tradition which leads modernization, suppressed individual value such as freedom and personal uniqueness based in the western civil society. And the conception on tradition in the 1950s regards women and families as a space of pure tradition, burdened woman with order of pre-modern tradition. Thus the conception on tradition formated gendered understanding of modernity.
      Dominant feminity in the 1950s is created in discourse by the conception on tradition, thus the discourse on woman in the 1950s is a part of understanding of modernity in the 1950s. The symbol of dominant feminity in the discourse on woman in the 1950s is divided in two in the basis of traditional paternallism. 'Hynmoyangchur' is a symbol of ideal feminity which complies order of paternallism and guard the national tradition. On the other hand, 'jeonjangmimangin', 'yangkongju' and 'jayubuin' are symbols of dangerous woman violates order of paternallism. By the political mechanisms in the discourse such as that, the subject of gendered understanding of modernity in the 1950s called Korean women in the name of tradition, as such they intended to bring the crisis in paternallism caused by Korean Civil War and modernization under contro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서구적 근대를 타자로 인식하는 가운데 한국적 근대를 지향했던 1950년대의 근대인식은 전통의 소환을 통해 민족적 정체성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1950년대의 전통론은 서구적 근대에 대한 대...

      서구적 근대를 타자로 인식하는 가운데 한국적 근대를 지향했던 1950년대의 근대인식은 전통의 소환을 통해 민족적 정체성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1950년대의 전통론은 서구적 근대에 대한 대항담론으로서 근대를 추동하는 정신적 가치를 과거의 전통 속에서 발견하고자 하였기 때문에 서구적 시민사회의 정신적 기반인 개인의 자유와 개성을 억압하였다. 1950년대의 전통론은 여성과 가정을 순수한 전통의 공간으로 지목하고, 근대와는 이율배반적인 전통의 짐을 여성에게 지우게 됨으로써 젠더화된 근대인식을 형성한다.
      1950년대의 지배적 여성성은 당시 근대인식의 주체가 여성과 가정을 전통의 소재지로 지목하는 가운데 형성된 담론적 구성물이며, 이로써 여성담론은 전통을 매개로 1950년대 근대인식의 유기적 구성요소가 된다. 1950년대 지배적 여성담론이 재현한 여성성의 기호는 전통적인 가부장적 질서를 기준으로 이분화 되었다. 현모양처가 가부장적 질서와 민족적 전통을 수호하는 이상적 여성성의 기호라면, 전쟁미망인, 양공주, 자유부인은 민족적 정체성에 균열을 가하고 가부장적 질서를 위반하는 위험여성이다. 1950년대 젠더화된 근대인식의 주체는 이러한 담론적 정치기제를 통하여 여성들을 전통의 이름으로 호명함으로써 전쟁과 시대적 변화로 인해 초래된 가부장적 질서의 균열을 봉합하고자 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1
      • 1.1. 연구의 목적과 의의 1
      • 1.2. 선행연구 검토 5
      • 1.3. 연구방법 9
      • 2. 1950년대 근대인식과 여성담론의 지형 14
      • 1. 서론 1
      • 1.1. 연구의 목적과 의의 1
      • 1.2. 선행연구 검토 5
      • 1.3. 연구방법 9
      • 2. 1950년대 근대인식과 여성담론의 지형 14
      • 2.1. 이론적 배경 15
      • 2.2. 1950년대 근대인식과 전통론의 대두 20
      • 2.3. 젠더화된 전통론과 여성성의 재현 31
      • 3.1 950년대 여성담론의 실제 42
      • 3.1 전쟁미망인 담론 분석 46
      • 3.1.1 전쟁미망인 담론의 근대적 기원 47
      • 3.1.2. 1950년대 전쟁미망인 담론의 양상 52
      • 3.1.3. 전쟁미망인의 재현 양상과 특징 63
      • 3.2. 양공주 담론 분석 69
      • 3.2.1. 양공주 담론의 근대적 기원 70
      • 3.2.2. 1950년대 양공주 담론의 양상 75
      • 3.2.3. 양공주의 재현 양상과 특징 84
      • 3.3. 자유부인 담론 분석 88
      • 3.3.1. 자유부인 담론의 근대적 기원 89
      • 3.3.2. 1950년대 자유부인 담론의 양상 93
      • 3.3.3. 자유부인의 재현 양상과 특징 106
      • 3.4. 현모양처 담론 분석 112
      • 3.4.1. 현모양처 담론의 근대적 기원 113
      • 3.4.2. 1950년대 현모양처 담론의 양상 118
      • 3.4.3. 현모양처의 재현 양상과 특징 125
      • 4. 결론 130
      • 참고문헌 136
      • 국문초록 142
      • 영문초록 14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