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조사중첩 교육 방안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064696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2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 국어국문학과 , 2022. 2

      • 발행연도

        2022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895.1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Educational study on Korean double postpositional particles for foreigner learners

      • 형태사항

        v, 74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한국외국어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임형재
        참고문헌: p. 68-72

      • UCI식별코드

        I804:11059-200000600670

      • 소장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효과적인 조사중첩 유형을 교수하기 위해 첫 번째로 조사 체계를 고찰하고 조사중첩 유형을 요구하는 문장을 확인하여 어떤 경우에 조사중첩이 쓰이는지 확인하며, 실제 교재에 ...

      본 연구는 효과적인 조사중첩 유형을 교수하기 위해 첫 번째로 조사 체계를 고찰하고 조사중첩 유형을 요구하는 문장을 확인하여 어떤 경우에 조사중첩이 쓰이는지 확인하며, 실제 교재에 쓰인 조사중첩을 분석하여 단계별 교육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기존의 한국어 교재 분석을 통해 조사체계를 정리하고 한국어 교재 내 조사중첩 현황을 파악하였으며 학습자 수준에 따라 분류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수업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교재 간의 조사중첩 교육내용 편차가 큼, 수준별 반복학습과 새로운 유형 제시 등 단계별, 체계적 학습이 이루어지지 않음, 초급에서 중급, 고급 학습 조사가 나타나는 등의 문제가 있다고 보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수업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본 연구의 의의는 크게 네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조사 체계의 정리를 통하여 격조사의 조사중첩 어순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줄일 수 있다. 둘째, 보조사의 의미기능을 파악하여 조사중첩형이 사용되는 상황 및 맥 락 등을 학습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셋째, 학습자의 수준에 부합하는 조사중첩형 교수를 위하여 교수 순서를 정리하기 위한 객관적 기준을 기존 교재 분석을 근거로 제시하였다. 넷째, 실제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수업안을 제시하였다.
      즉, 본 연구는 기존의 교재를 분석하여 객관적 근거를 바탕으로 교수 순서 및 수업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나 두 개의 조사가 중첩되는 것만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tudy a method for educating learners on effective postposition overlapping types.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sets up the postposition system and identifies the sentences that require the postposition overlapping type. I...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tudy a method for educating learners on effective postposition overlapping types.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sets up the postposition system and identifies the sentences that require the postposition overlapping type. In addition, this study aimed to confirm when postposition overlapping would be used and present a step-by-step educational plan by analyzing the postposition overlapping used in actual textbooks. The research on the postposition system was organized through literature study and analysis of existing Korean textbooks, and the status of postposition overlapping in Korean textbooks was identified.
      This study confirmed the problems that there was a large deviation in postposition overlapping educational content between textbooks, and that step-by-step and systematic learning, such as repeated learning by level and new type presentation, was not carried out. In addition, this study found that there were postpositions for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in learning Korean at the beginner level, which was hard to understand as a beginner. Thus, this study suggests a lesson plan to improve them.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roughly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First, this study can reduce the errors that occur in the word order of the postposition overlapping of case particles through the arrangement of the postposition system.
      Second, this study presents educational contents so that learners can easily understand the situation and context in which the postposition overlapping type is used by understanding the semantic function of auxiliary postpositional particles.
      Third, this study shows objective criteria for arranging the teaching sequence for postposition-overlapping teaching that matches the learner's level as the basis for analyzing existing textbooks.
      Fourth, this study presents a specific lesson plan that can be applied to actual lessons.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presents the educational order and lesson plan based on objective evidence by analyzing the existing Korean textbooks.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it is only targeted at the overlapping of two postposit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1
      • 1.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
      • 1.2 연구 대상 및 범위 3
      • 1.3 연구 방법 및 내용 4
      • 1.4 선행 연구 6
      • 1. 서론 1
      • 1.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
      • 1.2 연구 대상 및 범위 3
      • 1.3 연구 방법 및 내용 4
      • 1.4 선행 연구 6
      • 2. 조사중첩 교육을 위한 기본적 논의 11
      • 2.1 기존 조사 체계 고찰 11
      • 2.2 조사의 중첩과 중첩의 제약 14
      • 2.3 한국어 조사중첩 유형 23
      • 2.3.1 격조사+격조사 24
      • 2.3.2 격조사+보조사 25
      • 2.3.3 보조사+격조사 28
      • 2.3.4 보조사+보조사 30
      • 3. 한국어 교재 분석 35
      • 3.1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조사 교육 현황 37
      • 3.1.1 서울대학교 <서울대 한국어> 조사 현황 37
      • 3.1.2 연세대학교 <연세 한국어> 조사 현황 38
      • 3.1.3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조사 현황 39
      • 3.2 조사중첩 교육 현황 분석 40
      • 3.2.1 서울대학교 <서울대 한국어> 조사중첩 현황 40
      • 3.2.2 연세대학교 <연세 한국어> 조사중첩 현황 41
      • 3.2.3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조사중첩 현황 42
      • 3.3 조사중첩 유형 비교 및 문제점 분석 44
      • 3.3.1 초급 교재에 나타난 조사중첩 유형 44
      • 3.3.2 중급 교재에 나타난 조사중첩 유형 45
      • 3.3.3 고급 교재에 나타난 조사중첩 유형 48
      • 3.3.4 조사중첩 교육 문제점 분석 50
      • 4. 한국어 조사중첩의 교육 방안 52
      • 4.1 조사중첩의 교수-학습 방안 52
      • 4.2 조사중첩 교재 내용 구성 53
      • 4.2.1 조사중첩의 교육 목표 53
      • 4.2.2 조사중첩의 교수-학습 내용 53
      • 4.2.3 조사중첩의 교육 실제 56
      • 5. 결론 66
      • 참고문헌 68
      • ABSTRACT 7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