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신궁 예제(例祭)와 조선 아악 = The Annual Ancestral Rite and Joseon Aak in Joseon Shrin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조선신궁의 예제에서 연행된 악무를 고찰하여, 일본 황실과 조선총독부 관련 의례에서의 조선 아악의 활용 양상과 역할에 대해서 밝히고자 했다. 조선신궁은 일본 황실에서 폐...

      이 글에서는 조선신궁의 예제에서 연행된 악무를 고찰하여, 일본 황실과 조선총독부 관련 의례에서의 조선 아악의 활용 양상과 역할에 대해서 밝히고자 했다. 조선신궁은 일본 황실에서 폐백을 받는 관폐대사로서 창건되어, 1925년 10월 17일 제1회 예제를 시작으로 일본이 패망하기 전까지 매해 같은 날 제의를 거행했다. 예제는 단순한 신사의 행사가 아니라 조선총독부에서 관리하는 국가 차원의 제사였다. 총독부는 조선신궁의 창건부터 제반 사항, 참배자 동원 등 모든 면에서 관여했으며, 예제에서 사용될 “악무 제정”을 위해 궁내성 악부와 긴밀하게 협력했다. 예제 의식 중에 연주된 제사악은 기악편성의 가구라 또는 가가쿠 중 도가쿠로, 신전의 문을 열고 닫을 때, 신찬을 올리고 물릴 때 배경음악으로 사용되었다. 의식 후에는 봉납가무가 연행되었는데, 가구라 춤은 1934년 예제에서 처음 등장하는 반면에 이왕직아악부가 연주하는 조선 아악은 이보다 8년이나 이른 1926년 제2회 예제부터 시작되었다. 아악은 매년 제례악과 연례악으로 구성된 6~8곡이 연주되었다. 악곡은 총 37곡으로, 제례악이 7곡, 연례악이 30곡이다. 초기에는 제례악이 중심이었으나 시간이 갈수록 연례악의 비율이 높아지고 1940년대에 이르면 연례악만 연주되었다. 이는 조선 아악의 역할이 신에게 봉납하는 음악에서 점차 일반인들을 위한 여흥 음악으로 변해갔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예제에 참여한 이왕직아악부원들은 16~20명이었고 아악사장이 직접 인솔한 것으로 확인된다. 또한 무악이 연행되었던 1935년과 1939~1941년에는 30여 명이 동원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조선 아악은 총독부의 식민정책을 선전하기 위한 시각적 이미지로도 활용되었다. 1939년 조선신궁에 건립된 황국신민서사지주의 정면에는 일본 국가 <기미가요>를 조선 악기로 연주하는 이왕직아악부의 모습이 동판으로 조각되었다. 이는 조선의 궁중문화가 일본문화의 일부라는 것을 가시화하려는 시도였고, 1920년대부터 궁내성 악부가 구상해 온 “아악을 통한 내선일체”를 실천해가는 것이었다. 조선총독부와 궁내성 악부의 개입으로 시작된 조선신궁 예제의 악무는 제사악과 봉납가무라는 형태로 내지의 신사 음악 관행 그대로 연행되었다. 제사악은 의식을 진행하는 관계자 외에는 직접 볼 수 없었던 반면에 봉납가무는 누구나 관람이 허용되었기 때문에 궁중 악사들이 연주하는 조선 아악은 신사에 참배객을 운집시키는 데 매우 효과적인 수단으로 작용했다. 조선신궁에서의 조선 아악은 총독부의 통치 권력과 조선 황실의 굴욕을 보여주는 것이었지만 한편으로는 궁궐에서만 향유되던 음악이 공개된 장소에서 정기적으로 연주되었다는 점에서 볼 때 일반인들이 향유할 수 있는 음악의 범위를 넓히는 역할도 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선신궁 예제”는 궁중음악의 전용(轉用)과 음악 문화의 확장이라는 양상을 동시에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한국근대음악사 연구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d the music and dance performed at the annual ancestral rite held at the Joseon Shrine. The yearly ancestral ritual of the Joseon Shrine began on the October 17 in 1925. The service was not just a shrine event, but also a state-lev...

      This article examined the music and dance performed at the annual ancestral rite held at the Joseon Shrine. The yearly ancestral ritual of the Joseon Shrine began on the October 17 in 1925. The service was not just a shrine event, but also a state-level ritual, managed by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which worked closely with the Music Department of the Imperial Household Agency of Japan, in order to establish the music to be used in the ritual. The music performed during the ancestral rite was Japanese kagura and togaku, which played a role as background music. Since the beginning of the ritual, music and dance that was dedicated to Japanese God were performed in different occasions. Kagura dance was first performed in 1934, and aak by Yiwangjik-aakbu began to be played at Joseon Shrine in 1926, eight years earlier than the kagura performance. Each year, six to eight aak pieces were played at the Shrine. 37aak were performed in total, while 7 pieces of ritual music and 30 pieces of banquet music were practiced. In the early days, ritual music became the center of the performance, but as time passed by, the ratio of banquet music was increased and, by the 1940s, only banquet music was adopted. This indicates that the role of aak has gradually changed from music that has been dedicated to God to entertainment music for the general public. Aak was also used as an image to promote Japanese colonial policy. In front of the tower, which was built in 1939 at the Joseon Shrine, a statue of Yiwangjik-aakbu, playing the Japanese national anthem using Korean instruments, was placed with copper plates. This was an attempt to show that Joseon s royal culture was part of Japanese culture, and also to idealize the ideology of “Japan and Korea are one entity via music,” which Japanese court musicians had conceived since the 1920s. The music and dance played at the Joseon Shrine, which began with the intervention of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nd the Music Department of the Imperial Household Agency, were performed in the same way, as the customs of mainland Japan, in that the both ritual music and music was dedicated to God. As the performance of aak was allowed for anyone to attend, the music that was played by Korean court musicians, served as a very effective means of gathering worshipers to the Joseon Shrine. Aak in the Joseon Shrine showed the ruling power of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s well as the humiliation of the Joseon Dynasty. On the other hand, it played a part in expanding the scope of music that was enjoyed by the general public. The annual ancestral ritual music at the Joseon Shrine has an important meaning in the study of modern Korean music history in that, it not only shows the aspects of the appropriation of court music, but also the expansion of the music culture of that tim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Ⅱ. 예제의 절차와 규모 Ⅲ. 예제에서 연행된 일본 악무 Ⅳ. 예제에서 연행된 조선 아악 Ⅴ. 기타 행사에 활용된 조선 아악 Ⅵ. 맺음말
      • Ⅰ. 머리말 Ⅱ. 예제의 절차와 규모 Ⅲ. 예제에서 연행된 일본 악무 Ⅳ. 예제에서 연행된 조선 아악 Ⅴ. 기타 행사에 활용된 조선 아악 Ⅵ. 맺음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佐藤和道, "「戰時下の能樂 -『忠靈』 『皇軍艦』を中心に" 日本演劇學會 65 : 2017

      2 송혜진, "함화진론-생애와 민속음악론을 중심으로" 한국민속학회 28 : 1996

      3 이지선, "한국음악학학술총서, 제10집:조선아악기 사진첩 건, 조선아악기해설ㆍ조선아악기사진첩, 이왕가악기" 국립국악원 2014

      4 이수정, "조신신궁 예제와 이왕직아악부" 음악연구소 23 (23): 79-106, 2019

      5 이지선, "조선신궁 진좌제(鎭座祭)와 악무 - 조선총독부 통치이념의 선전 -" 국립국악원 (39) : 339-367, 2019

      6 서정완, "제국일본의 문화권력"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1

      7 이지선, "제국 일본과 식민지 조선의 음악정책 -국민가의 제정과 전개양상을 중심으로-" 일본연구소 (29) : 269-290, 2010

      8 이지선, "제국 일본과 식민지 조선의 음악정책 2 - 국민개창운동을 중심으로 -" 일본연구소 (45) : 7-26, 2010

      9 국성하, "일제강점기 동화정책 수단으로서의 조선신궁의 건립과 운영-일본인 학부차관의 교육간섭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학회 26 (26): 31-56, 2004

      10 이수정, "이왕직아악부의 조직과 활동" 한국학중앙연구원 2015

      1 佐藤和道, "「戰時下の能樂 -『忠靈』 『皇軍艦』を中心に" 日本演劇學會 65 : 2017

      2 송혜진, "함화진론-생애와 민속음악론을 중심으로" 한국민속학회 28 : 1996

      3 이지선, "한국음악학학술총서, 제10집:조선아악기 사진첩 건, 조선아악기해설ㆍ조선아악기사진첩, 이왕가악기" 국립국악원 2014

      4 이수정, "조신신궁 예제와 이왕직아악부" 음악연구소 23 (23): 79-106, 2019

      5 이지선, "조선신궁 진좌제(鎭座祭)와 악무 - 조선총독부 통치이념의 선전 -" 국립국악원 (39) : 339-367, 2019

      6 서정완, "제국일본의 문화권력"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1

      7 이지선, "제국 일본과 식민지 조선의 음악정책 -국민가의 제정과 전개양상을 중심으로-" 일본연구소 (29) : 269-290, 2010

      8 이지선, "제국 일본과 식민지 조선의 음악정책 2 - 국민개창운동을 중심으로 -" 일본연구소 (45) : 7-26, 2010

      9 국성하, "일제강점기 동화정책 수단으로서의 조선신궁의 건립과 운영-일본인 학부차관의 교육간섭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학회 26 (26): 31-56, 2004

      10 이수정, "이왕직아악부의 조직과 활동" 한국학중앙연구원 2015

      11 이종숙, "이왕직아악부의 정재 음악 연구 - 이병성ㆍ성경린 무보를 중심으로 -" 한국공연문화학회 (34) : 173-214, 2017

      12 송혜진, "이왕직아악부의 이습회 운영과 성과" 한국음악문화학회 14 : 2019

      13 성경린, "노을에 띄운 가락" 휘문출판사 1978

      14 이지선, "고종의 일본식 국장과 음악" 한국국악학회 66 : 123-166, 2019

      15 寺内直子, "雅樂の<近代>と<現代>" 岩波書店 2010

      16 "純宗實錄(附錄)"

      17 多忠朝, "神社音樂の話" 紀元二千六百年奉祝會 2 (2): 1939

      18 神宮皇學館館友會神社調査部 , "神社關係発行定期刊行物一覧 昭和十三年十二月調査" 神宮皇學館館友會神社調査部 1939

      19 明文社編輯部, "神社祭式行事作法" 明文社 1942

      20 島津宣史, "神宮雅樂の傳統" 伊勢神宮崇敬會 2015

      21 "海外神社(跡地)に關するデータベース"

      22 "每日申報"

      23 "東亞日報"

      24 山本華子, "李王職雅樂部の硏究" 書肆フローラ 2011

      25 官幣大社朝鮮神宮社務所, "朝鮮神宮略記" 官幣大社朝鮮神宮社務所 1936

      26 "朝鮮時報"

      27 "朝鮮日報"

      28 "朝鮮新聞"

      29 官幣大社朝鮮神宮社務所, "昭和五~六年の朝鮮神宮" 官幣大社朝鮮神宮社務所 朝鮮神宮社務所 1932

      30 官幣大社朝鮮神宮社務所, "昭和七~十八年 朝鮮神宮年報" 官幣大社朝鮮神宮社務所 朝鮮神宮社務所 1944

      31 塚原康子, "明治國家と雅樂-傳統の近代化/國樂の創成" 有志舍 2009

      32 平野健次, "日本音樂大事典" 平凡社 1989

      33 朝鮮敎育會, "文敎の朝鮮 164호, 165호, 173호"

      34 朝鮮神宮奉贊會, "恩賴" 朝鮮神宮奉贊會 1937

      35 "官報" 內閣印刷局

      36 "京城日報"

      37 田邊尙雄, "中国ㆍ朝鮮音楽調査紀行" 音楽之友社 1970

      38 寺内直子, "‘治亂太平’の響き-紀元二千六百年新作舞樂 <悠久>と<昭和樂>" 東洋音樂學會 (81) : 2016

      39 이지선, "1930년대 일본인의 조선음악 연구 -『조선아악기해설』․『조선아악기사진첩』을 중심으로-" 한국국악학회 53 : 79-113,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1 0.41 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29 1.006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