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예비초등교사의 건강지각, 건강증진행위 및 천식아동에 대한 태도간의 관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2530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일부 지역 교육대학생의 건강지각, 건강증진행위, 만성질환인 천식 아동에 대한 태도를 확인하고 천식아동에 대한 태도에 영향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G광역시에 소재하고 ...

      본 논문은 일부 지역 교육대학생의 건강지각, 건강증진행위, 만성질환인 천식 아동에 대한 태도를 확인하고 천식아동에 대한 태도에 영향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G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교육대학생 3, 4학년 329명을 최종 연구대상자로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3.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빈도분석, t-test, ANOVA, Pearson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육대학생의 건강지각점수는 4점 만점에 2.85점, 건강증진행위는 4점 만점에 2.49점, 천식아동에 대한 태도 점수는 5점 만점에 3.67점이었다. 연구변수간의 상관관계는 천식아동에 대한 태도와 건강지각, 건강증진행위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천식아동에 대한 태도에 영향하는 요인으로 건강증진행위 하위영역 중 대인관계, 건강지각, 학년이 확인되었고, 천식아동에 대한 태도를 12.2% 설명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보다 적극적인 자기건강관리가 요구되는 예비교사인 교육대학생에게 있어 스스로 자신의 건강에 대한 인식으로부터 출발되어 건강증진을 위한 행위 실천이 만성질환아동인 천식에 대한 태도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천식 및 만성질환 아동에 대한 긍정적 태도 함양을 위해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건강관리 및 건강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의 마련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reservice teacher"s health perception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attitudes towards children with asthma, as well 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and the influencing factors. Th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reservice teacher"s health perception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attitudes towards children with asthma, as well 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and the influencing factors. The participants were 329 third and fourth grade students from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G cit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t-test, ANOVA, Scheffe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WIN 23.0. The score for the participants" health perception was 2.85 out of a possible 4, health promoting behavior about 2.49 out of a possible 4, and their score for attitude towards asthma was 3.67 points of a possible 5. The health perception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attitudes about child with asthma. Interpersonal relations and health perception and grad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attitudes about child with asthma. These variables accounted for 12.2% of the attitudes about child with asthma. The results highlight the need for intervention strategies to enhance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health percep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본론
      • 3. 연구결과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본론
      • 3. 연구결과
      • 4. 논의
      • 5. 결론 및 제언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인순, "일 지역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와 영향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 13 (13): 203-211, 2007

      2 서혜진, "우리나라에서 학교 중심의 소아천식관리사업의 적용가능성과 발전 방향: 일부 학교의 시범사업 평가결과를 중심으로" 한국학교보건학회 22 (22): 1-16, 2009

      3 노진형, "예비유아교사의 건강에 대한 지식과 건강 행위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2 (12): 29-48, 2008

      4 이채호, "보육교사의 건강지각 및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 8 (8): 41-51, 2008

      5 신경림, "도시지역 여성노인의 건강관심도, 주관적 건강평가, 건강상태 및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연구" 한국간호과학회 34 (34): 869-880, 2004

      6 김선정, "대학생의 건강지각, 건강지식 및 건강증진행위와의 관련성"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5394-5403, 2015

      7 문소현, "교육대학교 학생의 천식에 대한 지식, 공감 및 천식아동에 대한 태도" 한국아동간호학회 22 (22): 11-20, 2016

      8 김정연, "건강장애학생과 건강장애교육에 대한 중등학교 예비교사들의 인식" 한국통합교육학회 10 (10): 121-140, 2015

      9 홍세화, "간호대학생의 지각된 건강상태와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 19 (19): 78-86, 2013

      10 양남영, "간호대학생의 지각된 건강상태, 건강증진행위 및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이 대학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 19 (19): 33-42, 2013

      1 박인순, "일 지역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와 영향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 13 (13): 203-211, 2007

      2 서혜진, "우리나라에서 학교 중심의 소아천식관리사업의 적용가능성과 발전 방향: 일부 학교의 시범사업 평가결과를 중심으로" 한국학교보건학회 22 (22): 1-16, 2009

      3 노진형, "예비유아교사의 건강에 대한 지식과 건강 행위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2 (12): 29-48, 2008

      4 이채호, "보육교사의 건강지각 및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 8 (8): 41-51, 2008

      5 신경림, "도시지역 여성노인의 건강관심도, 주관적 건강평가, 건강상태 및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연구" 한국간호과학회 34 (34): 869-880, 2004

      6 김선정, "대학생의 건강지각, 건강지식 및 건강증진행위와의 관련성"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5394-5403, 2015

      7 문소현, "교육대학교 학생의 천식에 대한 지식, 공감 및 천식아동에 대한 태도" 한국아동간호학회 22 (22): 11-20, 2016

      8 김정연, "건강장애학생과 건강장애교육에 대한 중등학교 예비교사들의 인식" 한국통합교육학회 10 (10): 121-140, 2015

      9 홍세화, "간호대학생의 지각된 건강상태와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 19 (19): 78-86, 2013

      10 양남영, "간호대학생의 지각된 건강상태, 건강증진행위 및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이 대학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 19 (19): 33-42, 2013

      11 Daniel Stokols, "Translating Social Ecological Theory into Guidelines for Community Health Promotion" SAGE Publications 10 (10): 282-298, 2016

      12 H. H. Cho,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The Social Competence Promotion Program for the Children with Cancer" Korea University 2006

      13 B R Bewley, "Teachers' smoking." BMJ 33 (33): 219-222, 1979

      14 김희경, "Pender 모형을 활용한 대학생의 건강증진 행위와 영향요인" 한국여성건강간호학회 12 (12): 132-141, 2006

      15 Uzi Brook, "Knowledge and attitudes of high school teachers towards pupils suffering from chronic diseases" Elsevier BV 43 (43): 37-42, 2001

      16 University of Nebraska Medical Center,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II. The"

      17 S. N. Yun, "Health-promoting Behaviors of the Women Workers at the Manufacturing Industry based on the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8 (8): 130-140, 1999

      18 Albert Bandura, "Health promo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cognitive theory" Informa UK Limited 13 (13): 623-649, 1998

      19 J. E. Ware., "Health Perception Questionnaire, Instruments for Measuring Nursing Practice and other Care Variable" DHEW Publication 1979

      20 Fabien Gilbert, "Health Behaviors: Is There Any Distinction for Teachers? A Cross-Sectional Nationwide Study" Public Library of Science (PLoS) 10 (10): e0120040-, 2015

      21 W. Y. Lee, "Development of Community based Strategy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Asthma and Atopic Eczema, Health Promotion Fund Research Report. Gwache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hung-Ang University of College of Medicine 2008

      22 L. P. Hsieh, "Comparison of Epilepsy and Asthma Perception among Preschool Teachers in Taiwan" 42 (42): 647-650, 2001

      23 NHIS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Child and Adolescent with Allergy"

      24 H. Y. Kim, "Case Study of Pre-daycare Teachers'Knowledge on Health and its Practice" Dongduk Womens Universuty 2003

      25 M. Barrueco, "Attitudes of Teachers about Tobacco Prevention at School" 28 (28): 219-224, 2000

      26 T. H. Lee, "Analysis of Impact Variable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Yonsei Universuty 1989

      27 W. K. Kim, "An Assessment of Asthmatic Knowledge of School Teachers" 8 (8): 179-189, 1998

      28 C. N. Kim, "A Correlational Study on Spiritual Wellbeing, Hope and Perceived Health Status of Teachers" 8 (8): 92-102,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7-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현장점검) (기타) KCI등재후보
      2017-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8-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CI등재후보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cademic Inderstrial Society ->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1 0.842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