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현장과 전체상에 충실한 한국학을 위한 제언 = Suggestion for Korean Studies Faithful to the Scenes of Life and the Overall Pictur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specific problems of the field where scholars are researching Korean Studies. It would be one of various efforts to find a new path of Korean Studies. It can not be overemphasized that Korean researchers sh...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specific problems of the field where scholars are researching Korean Studies. It would be one of various efforts to find a new path of Korean Studies. It can not be overemphasized that Korean researchers should explore the subject in the temporal and spatial context. Jeong Yag‒yong’s political thoughts are considered to have opened a new era beyond the medieval limits. But, as confirmed by two cases of Banjeong(The Restoration of the Righteous King), the realities of Joseon’s politics were more advanced than the idea of Jeong. Although the traditions of all provinces and towns are important, it seems to be more important that the studies of regional history in the late Joseon period should be conducted in the context of the construction of a unified national state. In the field of Korean literature, when we look into the place where Chunhyang and I‒doryeong first met and loved, It is revealed that the conventional explanation of Chunyang‒jeon have understood the novel in a streotyped and outdated framework. The researches of Korean Studies have placed too much importance on the words and writings of intellectuals. Scholars should make efforts to build the whole picture when they study intellectuals or a society.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we must promote discussion and debate first of all. It is because there is a limit to the ability of every scholar. Scholars of Korean Studies are required to have basic knowledge in philosophy, history, social sciences as well as in literature and fine art. And there are more specific conditions. We need to increase the weighting of provocative agenda setting and active debates in peer reviews. It is desirable that academic conferences should be held on controversial themes. And a journal should be established that specializes in discussions and debat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한국학의 활로를 개척하는 방안으로 연구 현장의 구체적인 문제를 재검토하였다. 한국학 연구자들은 연구대상을 그 시간적・공간적 현장 속에서 탐구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정약용의...

      오늘날 한국학의 활로를 개척하는 방안으로 연구 현장의 구체적인 문제를 재검토하였다. 한국학 연구자들은 연구대상을 그 시간적・공간적 현장 속에서 탐구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정약용의 정치사상은 조선후기 정치사상의 신기원을 연 것으로 이해되지만, 조선왕조 개창, 반정의 현장은 그의 사상보다 더 나아가 있었다. 지방사・지역사 연구의 경우 주민공동체의 전통도 중요하지만 국민국가의 형성이라는 당대의 현장을 우선할 필요가 있다. 문학 연구에서도 춘향이 이도령을 만나고 사랑을 나누는 현장을 들여다보면 지금까지의 통설이 춘향전을 관념적이고 상투적인 틀 속에서 이해했음이 확인된다. 개인이든 사회든 그 특정한 일면을 돋을새김하여 의미를 부여하는 오류를 극복하여야 한다. 특히 지식인들의 말과 글은 사회를 구성하는 일부분에 그치므로 그것에 매몰되지 않고 전체상을 구성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전체상을 지향할 때 지금까지의 설명과 다른 면모가 확인될 사례로 정조와 정약용의 정치사상, 조선후기의 화이론, 조선시대 국왕의 권한 등을 들 수 있다. 한국학의 총체성은 근대 학문이 이룩한 분과학문의 전문성을 살리는 바탕 위에서 추구하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기 위해 연구자들은 이웃 분야의 기본 식견을 공유한 위에서 토론을 활성화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는 학술지의 논문 심사에서 도발적 문제 제기와 논쟁에 대한 가중치를 높여야 하며, 학술대회를 논쟁 위주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론과 논쟁 중심의 학술지를 운영할 필요도 있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은 학계의 토론과 논쟁을 이끌어야 중앙을 자처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초하, "현실과 소통하는 한국학의 정립을 위한 예비적 시론 ― 한국유학을 중심으로" 한국국학진흥원 (14) : 5-32, 2009

      2 오수창, "춘향전에 담긴 저항의 원동력과 필연성"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63 : 335-367, 2017

      3 허영란, "지방사를 넘어, 지역사로의 전환 -한국 근대 지역사 연구의 현황과 새로운 모색-" 역사문화학회 20 (20): 347-381, 2017

      4 오수창, "조선후기 평안도 사회발전연구" 일조각 2002

      5 오수창, "조선의 통치체제와 춘향전의 역사적 성취" 역사문제연구소 (99) : 341-372, 2012

      6 오수창, "조선왕조 개창의 형식과 논리 – 禪讓論과 추대 사실의 검토" 국학연구원 (176) : 93-120, 2016

      7 오수창, "정조와 정조 이후" 역사비평사 204-234, 2017

      8 김영식, "정약용의 문제들" 혜안 2014

      9 조성을, "우송 조동걸선생 정년기념논총 1" 나남 394-412, 1997

      10 임형택, "실사구시의 한국학" 창작과비평사 2000

      1 유초하, "현실과 소통하는 한국학의 정립을 위한 예비적 시론 ― 한국유학을 중심으로" 한국국학진흥원 (14) : 5-32, 2009

      2 오수창, "춘향전에 담긴 저항의 원동력과 필연성"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63 : 335-367, 2017

      3 허영란, "지방사를 넘어, 지역사로의 전환 -한국 근대 지역사 연구의 현황과 새로운 모색-" 역사문화학회 20 (20): 347-381, 2017

      4 오수창, "조선후기 평안도 사회발전연구" 일조각 2002

      5 오수창, "조선의 통치체제와 춘향전의 역사적 성취" 역사문제연구소 (99) : 341-372, 2012

      6 오수창, "조선왕조 개창의 형식과 논리 – 禪讓論과 추대 사실의 검토" 국학연구원 (176) : 93-120, 2016

      7 오수창, "정조와 정조 이후" 역사비평사 204-234, 2017

      8 김영식, "정약용의 문제들" 혜안 2014

      9 조성을, "우송 조동걸선생 정년기념논총 1" 나남 394-412, 1997

      10 임형택, "실사구시의 한국학" 창작과비평사 2000

      11 오수창, "시론: 2011 역사 교육과정과 '자유민주주의'의 현실" 한국역사연구회 (81) : 3-15, 2011

      12 류준필, "소실된 ‘근대성’과 왜곡된 ‘한국학’을 넘어서" 39 (39): 409-412, 2011

      13 박명림, "박정희 시기의 헌법 정신과 내용의 해석―절차, 조항, 개념, 의미를 중심으로" 역사문제연구소 (96) : 109-139, 2011

      14 한길사, "90년대 한국 사회의 쟁점" 한길사 1990

      15 중앙일보사, "80년대 한국사회 대논쟁집"

      16 한길사, "80년대 사회운동논쟁" 한길사 1989

      17 박희병, "21세기 한국학, 어떻게 할 것인가" 푸른역사 43-65,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3-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정신문화연구 -> 한국학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03-0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Academy of Korean ->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7-07 학술지등록 한글명 : 정신문화연구
      외국어명 : Korean Studies Quarterly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1 0.71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82 1.267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