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위험에 대한 개인차원의 통제가능성 지각이 주관적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낙관성, 회복력 및 영성의 매개 효과 = The Influence of Individual Level’s Perception of Risk Control Possibility on Subjective Life Satisfaction : Mediation Effects of Optimism, Resilience and Spiritua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5644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사회복지 실천을 위한 개인적 차원에서의 다양한 함의를 얻기 위해 개인이 직면하는 다양한 위험요인들을 통제가능 위험과 통제불가능 위험으로 구분하여 개인의 위험에 대한 통...

      본 연구는 사회복지 실천을 위한 개인적 차원에서의 다양한 함의를 얻기 위해 개인이 직면하는 다양한 위험요인들을 통제가능 위험과 통제불가능 위험으로 구분하여 개인의 위험에 대한 통제가능성 지각이 주관적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위험에 대한 통제가능성 지각과 주관적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귀인이론과 긍정심리학에 기반을 둔 낙관성, 회복력 및 영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서울·수도권에 거주하는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편의표집방식에 의해 표본을 추출하였으며 조사대상자는 총 300명의 설문지를 연구에 활용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여성이 67.7%로 남성보다 다소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은 40대가 30.3%, 30대 23.7%, 20대 21.7% 순으로 확인되었다.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을 통제한 후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제가능 위험과 통제불가능 위험은 모두 주관적 삶의 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부(-)의 영향을 미치며, 특히 통제불가능 위험이 더 주관적 삶의 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낙관성과 회복력 및 영성은 각각 주관적 삶의 만족에 정(+)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영성이 주관적 삶의 만족에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위험에 대한 통제가능성 지각과 주관적 삶의 만족 간에 낙관성, 회복력 및 영성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낙관성과 회복력은 통제가능 위험과 주관적 삶의 만족 간을 모두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영성은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낙관성과 회복력 증진훈련이 외상후 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 귀인이론과 긍정심리학의 관점에서 주관적 삶의 만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낙관성과 회복력 증진을 위한 다양한 교육훈련과 영성증진을 통해 삶의 만족을 높이려는 개인차원의 노력이 전반적인 사회복지 실천을 위한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국가가 사회복지 실천을 위해서는 먼저 거시적인 제도적 지원 뿐 아니라 미시적으로는 개인차원의 행복도를 높이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함을 시사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individual’s perception of risk control possibility on subjective life satisfaction by dividing various risk factors that an individual faces into controllable risk and uncontrollable one to have variou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individual’s perception of risk control possibility on subjective life satisfaction by dividing various risk factors that an individual faces into controllable risk and uncontrollable one to have various implications for practicing social welfare at the individual level. It also aimed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s of optimism, resilience, and spirituality based on attributional theory and positive psychology in the relation between perception of risk control possibility and subjective life satisfaction.
      Samples were taken in regular people living in Seoul and capital region by convenient sampling. A total of 300 questionnaires collected were used for analysis. To look a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the percentage of female participants was 67.7%, which appeared rather higher than that of male participants, and in age, the number of those in their 40s was 30.3%, followed by 23.7% in 30s and 21.7% in 20s.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after controll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are as follows. First, both controllable risk and uncontrollable on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 impact on subjective life satisfaction, and especially uncontrollable risk had a more negative impact on subjective life satisfaction. Second, optimism, resilience, and spirituality, respectively had a positive (+) impact on subjective life satisfaction. Especially spirituality had the most positive impact on subjective life satisfaction. Third, as a result of conducting 3-step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for verifying the mediation effects of optimism, resilience, and spirituality between perception of risk control possibility and subjective life satisfaction, optimism and resilience were found to have fu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controllable risk and subjective life satisfaction, but spirituality was found to have no meditation effect. It was suggested from this result that optimism and resilience improvement training confirmed the posttraumatic growth potential.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methods to increase the subjective life satisfaction could be identified from the attributional theory and positive psychology perspective and thus the efforts to increase the life satisfaction at the individual level through various types of education and training and spirituality improvement for improving resilience and resilience was an important factor for practicing overall social welfare. Therefore, it was suggested that for practicing social welfare, it would be necessary to make continuous efforts to not only provide institutional support macroscopically but also improve individual’s happiness microscopically, at the national leve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1
      • 제2절 연구목적 및 범위 8
      • 제3절 연구문제 9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1
      • 제2절 연구목적 및 범위 8
      • 제3절 연구문제 9
      • 제2장 이론적 배경 10
      • 제1절 개인차원의 위험과 위험 통제가능성 지각 10
      • 1. 위험의 정의 10
      • 2. 개인차원의 위험 12
      • 3. 위험 통제가능성 지각 14
      • 제2절 낙관성 22
      • 제3절 회복력 30
      • 제4절 영성 33
      • 제5절 선행연구 37
      • 제6절 주관적 삶의 만족 38
      • 제3장 연구모형 및 연구방법 42
      • 제1절 연구모형 42
      • 제2절 연구가설 44
      • 제3절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51
      • 제4절 측정도구 52
      • 1. 독립변수 52
      • 2. 종속변수 54
      • 3. 매개변수 55
      • 4. 통제변수 60
      • 제5절 자료분석방법 61
      • 제4장 연구결과의 분석 62
      • 제1절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62
      • 제2절 주요 변수의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64
      • 1. 주요 변수의 기술통계 64
      • 2. 주요 변수의 상관관계 65
      • 제3절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주요 변수의 평균 차이 67
      • 1. 성별에 따른 주요 변수의 평균차이 67
      • 2. 연령에 따른 주요 변수의 평균차이 68
      • 3. 교육수준에 따른 주요 변수의 평균차이 70
      • 4. 소득에 따른 주요 변수의 평균차이 71
      • 제4절 가설 검증 73
      • 1. 통제가능한 위험과 통제불가능한 위험이 주관적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73
      • 2. 통제가능한 위험과 통제불가능한 위험이 낙관성에 미치는 영향 74
      • 3. 통제가능한 위험과 통제불가능한 위험이 회복력에 미치는 영향 76
      • 4. 통제가능한 위험과 통제불가능한 위험이 영성에 미치는 영향 78
      • 5. 낙관성, 회복력, 영성이 주관적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79
      • 6. 통제가능한 위험과 통제불가능한 위험이 주관적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낙관성, 회복력, 영성의 매개효과 82
      • 제5장 결 론 87
      • 제1절 요약 87
      • 제2절 함의 및 제언 89
      • 1. 이론적 함의 89
      • 2. 실천적 함의 90
      • 제3절 연구의 한계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93
      • 참고문헌 94
      • 부 록 126
      • ABSTRACT 131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태수, 신희영, 백종섭, "복지행정론", 대명, 서울: 대영문화사, 2003

      2 민영순, "발달 심리학", 교육출판사, 서울: 중앙적성 출판사, 1983

      3 남세진, 조흥식, "한국 사회복지론", 나남출판, 서울: 나남 출판, 1995

      4 정진성, "위험사회 위험정치",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0

      5 김연명, 이승욱, "복지국가의 정치경제학", 서울: 한울, 1990

      6 유재경, "영성의 연구 경향과 전망", 신학과 실천, 24(2), 183-212, 2010

      7 권육상,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대영문화사, 서울: ㈜나남출판, 2002

      8 김치환, "투자선택행동과 효용이론", 嶺南大學校社會科學硏究所, 사회과학연구, 7(1), 127-143, 1987

      9 오성삼, "“메타분석에 대한 고찰”", 교육논총, 25, 33-62, 1995

      10 김계수, "AMOS 18.0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서울: 한나래출판사, 2011

      1 김태수, 신희영, 백종섭, "복지행정론", 대명, 서울: 대영문화사, 2003

      2 민영순, "발달 심리학", 교육출판사, 서울: 중앙적성 출판사, 1983

      3 남세진, 조흥식, "한국 사회복지론", 나남출판, 서울: 나남 출판, 1995

      4 정진성, "위험사회 위험정치",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0

      5 김연명, 이승욱, "복지국가의 정치경제학", 서울: 한울, 1990

      6 유재경, "영성의 연구 경향과 전망", 신학과 실천, 24(2), 183-212, 2010

      7 권육상,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대영문화사, 서울: ㈜나남출판, 2002

      8 김치환, "투자선택행동과 효용이론", 嶺南大學校社會科學硏究所, 사회과학연구, 7(1), 127-143, 1987

      9 오성삼, "“메타분석에 대한 고찰”", 교육논총, 25, 33-62, 1995

      10 김계수, "AMOS 18.0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서울: 한나래출판사, 2011

      11 김명자, "“노인의 생활만족도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20(3), 115-153, 1982

      12 주소현, "재무설계를 위한 행동재무학", 한국FP협회, 서울: FPBOOKS, 2009

      13 최무열, "「사회복지의 뿌리를 찾아서」", 나눔의집, 서울: 나눔의 집, 2008

      14 박현선, "빈곤청소년의 학교 적응유연성",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

      15 김동원, 김정희, 이경열, "한국인을 위한 영성척도의 개발",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 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5(4), 711-728, 2003

      16 권석만, "긍정심리학: 행복의 과학적 탐구", 학지사, 서울: 학지사, 2008

      17 김영욱, "위험, 위기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8

      18 이해리(Lee Harriot), 조한익(Jo Han-Ik), "한국 청소년 탄력성 척도의 개발", 한국청소년연구원, 한국청소년연 구, 42(12), 161-206, 2005

      19 전겸구, 서경현, "영적 안녕, 생활 스트레스 및 대처", 한국심리학회지: 건 강, 9(2), 333-350, 2004

      20 이종길, "사회체육활동과 생활만족과의 관계",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2

      21 김성옥, "“한국 사회복지정책 개념의 시론”", 장안논총, 28, 109-133, 2008

      22 임태홍, "운동이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대학원,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23 김소연, "지체장애인의 사회통합에 대한 고찰", 인하대학교 정책대학원, 인하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1

      24 하태희, "중년남성의 주관적 삶의 질 모형 구축", 한국디지털정책학회, 디지털융복합연 구, 14(5), 125-135, 2016

      25 배성우, 진혜민, "청소년비행 관련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청소년복지학회, 청소년복 지연구, 14(2), 193-221, 2012

      26 김명소, 한영석, "연구논문,한국인의 행복지수 공식 개발", 한국조사연구학회, 조사연 구, 7(2), 1-38, 2006

      27 조한익, 이해리, "한국 청소년 탄력성 척도의 타당화 연구", 韓國心理學會 相談心理 및 心理治療學會, 한국심 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8(2), 353-371, 2006

      28 조윤서, "긍정심리자본과 조직유효성의 관계 분석",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경기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2015

      29 최성재, "老人의 生活滿足度尺度 개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한국문화연구 원 논집, 49, 233-258, 1986

      30 이부덕, "영성적 가족치료: 다면적 접근 이론과 실제", 한국가족치료 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2007

      31 서 미, "위험의 통제가능성과 이점발견의 결정요인",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32 김계하, 이정인, 오순학, "중년 남성의 우울과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성인간호학회, 성인간호학회지, 15(3), 422-431, 2003

      33 제석봉, 최금주, "“노인의 영성이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복지학회, 노인 복지연구. 38, 109-126, 2007

      34 최용득, 이동섭, "긍정심리자본의 선행요인과 결과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학회, 경 영학연구, 39(1), 1-28, 2010

      35 홍은숙, "탄력성(resilience)의 개념적 이해와 교육적 방안", 한국특수교육학회, 특수교 육학연구, 41(2), 45-67, 2006

      36 배상정(Sang Joung Bae), 양난미 ( Nan Mee Yang ), ""영성, 희망, 외상 후 성장과 삶의 만족의 관계"", 韓國心理學會 相談心理 및 心理治療學會, 한국심리 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6(3), 597-618, 2014

      37 신정은, "노인의 여가활동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2010

      38 윤미, 홍주연, "중년여성의 영성이 행복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8(1), 219-242, 2013

      39 김민석, "“자살예방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한국사회복 지조사연구, 30, 27-56, 2012

      40 김동배, 손의성, "「한국노인의 우울관련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노년학회, 한 국노년학, 25(4), 167-187, 2005

      41 이희숙, "교육행정연구에서 메타분석법 적용가능성 탐색", 한국교육 학회 2011 춘계학술대회 발표자료, 162-176, 2011

      42 박원우(Won-Woo Park), 허규만(Kyu Mann Huh), 정상명(Sang Myung Jeong), 김미숙(Mee Sook Kim), "동일방법편의(Common Method Bias)의 원인과 해결방안", 한국인사ㆍ조직학회, 인사 조직연구, 15(1), 89-133, 2007

      43 심혜숙, 황인경, "여자중학생의 심리경향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교사교육연구, 46(1), 1-11, 2007

      44 김경은, "“일상과 영성의 통합의 관점에서 본 영성지도”", 한국실천신학회, 신학과 실천, 44, 279-301, 2015

      45 임성택, 이승엽, 민대환, "스포츠용품 인터넷 구매의 위험지각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기술응용학회,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13(2), 127-143, 2006

      46 이유정, "성격특질이 기분의 수준 및 변화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47 강선경(Sun-Kyung Kang), 노지현(Ji-Hyun Ro), "무슬림 이주노동자들의 알코올중독 경험과정 연구",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다문화콘텐츠연구, 21, 206-241, 2016

      48 안현정, 이소희,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관련 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가족복지학회, 한국가족복지학, 10(1), 65-81, 2005

      49 이성대(Seong-Dae Lee), 염동문(Dong-Moon Yeum), 김선주(Sun-Joo Kim), "사회복지분야의 메타분석 논문에 대한 고찰과 제안",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 209-222, 2014

      50 김택호, "희망과 삶의 의미가 청소년의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51 문동규, "노인의 자살생각과 관련된 유발변인의 메타회귀분석", 한국노인복지학회, 노인복지연구, 55, 133-157, 2012

      52 이혜숙, "“영성적 관점에서 가족 리질리언스의 이해와 적용”", 교회 사회사업, 11(10), 7-37, 2009

      53 엄명용, 조성우, "사회복지실천과 척도개발: 표준화된 척도를 중심으로", 서울: 학지사, 2005

      54 장재정, "중년여성의 성역할 정체감과 심리적 건강에 관한 연구", 고 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7

      55 김혜원, 한영석, 김명소, 임지영, "한국인의 행복한 삶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분석",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2(2), 1-33, 2003

      56 옥선화, 신기왕, "중년기 주부의 가족역할수행과 심리적 복지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5(1), 111-128, 1997

      57 정원철, 김수진, "초등학생 폭력피해 관련 변인에 대한 국내연구 메타분석",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한국교육문제연구, 33(4), 47-71, 2015

      58 신희천, 윤성민, "한국 수도권 중년여성들의 성격적 강점과 행복과의 관계", 韓國心理學會 相談心理 및 心理治療學會,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1), 27-49, 2012

      59 차용진, "위험 수용성에 관한 연구: 위험인식의 사회심리학적 접근",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한국위기관리논집, 2(1), 36-44, 2006

      60 소외숙, 전희순, 오복자, "한국어판 영성측정도구(SAS)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연구", 대한종양간호학회, Asian Oncology Nursing(종양간호학회지), 1(2), 168-179, 2001

      61 성규탁, 진기남, 윤경아, "노인의 고질적 긴장요인, 사회적 지원과 주관적 안 녕상태", 한국노년학회, 한국노년학, 12(1), 56-64, 1992

      62 송진희, "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기술훈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광주대학교, 광주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63 문동규, "“노인의 자살생각 억제와 관련된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한국사회복지교육, 17, 144-166, 2012

      64 배성우, 이경희, "알코올 의존자를 위한 단주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구,한국정신보건사회사업학회),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6, 35-63, 2010

      65 임창균, "노인의 사회적관계망이 주관적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 향",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66 이재신, 이지혜, "교사의 자율성, 낙관성, 교수몰입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 한국교원교육학회, 한국교원교육연구, 28(1), 65-90, 2011

      67 우문식, "긍정심리의 긍정정서와 성격강점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 향", 안양대학교 일반대학원, 안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68 이영이, "초등교사의 낙관성과 정서조절양식 및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한국동서정신과학회, 한국동서정신과학회지, 14(1), 51-63, 2011

      69 임영실, "청소년의 긍정적 자기지각과 주관적 안녕감 및 귀인성향 비교",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70 임신일 ( Shin Il Lm ), 최귀화, 이혜숙, 유영경, "“노인 대상의 교육 및 치료 프로그램 효 과 연구의 메타분석”", 한국노인복지학회, 노인복지연구, 56, 93-114, 2012

      71 신민경, 정순희, "“재무위험수용성향과 위함자산보유율 관련 변수에 관한 연 구”", Finalcial Planning Review, 4(4), 1-20, 2011

      72 염동문, 이성대, "“청소년의 휴대폰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 한 메타분석”",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미래청소년학회지, 9(4), 163-181, 2012

      73 임영아, "근거중심사회복지실천을 위한 노인미술치료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조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74 배성우, 이경희, "“정신장애인을 위한 가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2, 321-345, 2009

      75 서유미, "정신분열 정신장애인에 대한 정신사회재활훈련 효과성의 메타분 석", 경성대학교,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76 이금희, 유양, 정동섭, "조선족 근로자의 사회적 자본이 문화적응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인적자원관리연구, 23(1), 1-18, 2016

      77 허보연, "지각된 통제감 수준에 따른 낙관주의와 스트레스 대처방식간의 관계", 한양대학교 대학원,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78 홍수아, "성격유형 및 위험수용성향에 따른 은퇴준비태도 및 행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79 이점숙, 유안진, 김정민, "신체상 부모와 또래애착, 탄력성이 청소년의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5), 123-132, 2005

      80 김미정, 염동문, "“아동학대경험이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한구지역사회복지학, 43, 409-430, 2012

      81 이 현,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82 신선인 ( Sun In Shin ), "가정폭력 노출경험이 아동,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한국가족복지학, (23), 153-182, 2008

      83 신현숙, "청소년의 낙관성 및 비관성과 심리적 적응의 관계에서 대처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청소년학연구, 12(3), 165-192, 2005

      84 한기혜, 박선영, 박영신, 김의철, "청소년이 지각한 행복의 수준과 요인: 가정, 학교, 여가생활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청소년학연구, 19(9), 149-188, 2012

      85 김강훈, 박상만, 김정기, "긍정적 심리자본과 사회적 통합: 이명박 정부의 친서 민정책을 중심으로", 정치 정보연구, 14(1), 121-150, 2011

      86 박광배, "대학생의 우울과 통제지각 및 통제판단과의 관계: 신호탐 지이론의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0(1), 344-363, 1991

      87 신동민, "영성이 노인의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검증", 상지대학교 대학원, 상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88 이진영,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아동학대와의 관계에서 낙관 성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89 윤혜영, 김혜민, "성격강점 활용이 정서노동자의 주관적 안녕감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인지행동치료, 16(1), 23-42, 2016

      90 이양자, 정남운, "외상 후 성장에 대한 연구 개관 : 적응과의 관계 및 치료적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1), 1-23, 2008

      91 박제일, "“교사의 성격, 낙관성, 희망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 한 연구”", 한국재활심리학회, 재활심리연구, 19(3), 467-485, 2012

      92 주은연, "긍정적 심리학을 적용한 원예치료가 문제아동의 창의성 발 달에 미치는 영향", 대구카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93 노지현, 강선경, "‘산업재해 이후 산재장해인의 삶의 적응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삶의 재구축’", 한국직업재활학회, 직업재활연구, 23(1), 107-129, 2013

      94 조한익, 김정수, "“낙관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 처와 이점발견의 매개역할”",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3), 797-820, 2010

      95 남연희, 채인석, "“메타분석을 활용한 중증장애인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복지행정학회, 복지행정논총, 18(2), 179-198, 2008

      96 이현주, "“정신분열 장애인의 사회적 기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효 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0(3), 260-282, 2012

      97 노지현 ( Ji Hyun Ro ), 강선경 ( Sun Kyung Kang ), "산업재해를 겪은 이주노동자들의 한국생활 경험과정에 관한 연구: -근거이론 접근",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사회복지정책, 43(1), 135-164, 2016

      98 정영수, 정철호, "“1인 미디어의 지각된 위험 및 상호작용성이 사용자 만족과 몰입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정보학회, 경영정보연구, 28(1), 125-156, 2009

      99 황정규, "“메타분석(Meta-analysis)의 이론과 방법론: 경험과학적 연구 결과의 종합을 위하여”", 성곡논총, 19, 1-55, 1988

      100 신우열, 최민아, 김주환, "“회복탄력성의 세 가지 요인이 청소년의 온라인 게임 중 독 성향에 미치는 영향”",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회, 사이버커뮤니케이션 학보, 26(3), 43-81, 2009

      101 오세기, 조성경, "원자력시설및 정책의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 식인자 도출에 관한 이론적 고찰.", 한국에너지학회, 에너지 공학, 11(4): 332-341, 2002

      102 이채익, 이병철, "지방공무원의 심리적 자본이 직무만족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지방정부연구, 13(3), 67-87, 2009

      103 이나경, "“위험사건에 대한 비현실적 낙관주의: 직접 대 간접 측정 방법과 사건 빈도 효과”",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0(3), 647-662, 2011

      104 윤선정, "언어폭력과 자살사고 간 관계에서 억압적 대처, 긍정적 환 상 및 낙관성의 중재효과",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05 이상균, "“사회복지실천 프로그램에 대한 메타분석: 집단프로그램의 효과크기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한국사회복지학, -(30), 131-156, 2000

      106 최종현,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자기성찰, 낙관성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107 김동룡, "우리나라 사회복지정책에서의 복지모순에 관한 연구: 경상 북도 집행과정을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108 김민석, 노승현, "“개입연령과 개입유형이 비장애인태도개선프로그램 효과에 미치는 영향: 메타분석”",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재활복지, 14(2), 173-197, 2010

      109 남복현, 정신섭, "“노인의 특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 성과 사회활동참여를 매개효과로”",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사회복지경영연구, 3(1), 279-301, 2016

      110 박선애, "노인의 기능적 능력과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영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111 신동민, "노인의 지각된 자기효능감이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 영성의 매개 및 조절효과 검증", 한국노인복지학회, 노인복지연구, 57, 261-288, 2012

      112 김경미, 최인철, 류승아, "「삶의 의미가 노년기 행복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 청년기와 노년기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0(2), 503-523, 2011

      113 윤성민, "『행복증진 긍정심리개입활동들의 효과: 개인-초점적 활동과 관계 -초점적 활동의 비교』",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아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114 전미양 ( Mi Yang Jun ),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에서 분석한 한부모 문제화 : 영국 신노동당과 연립정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49, 49-70, 2016

      115 김학수, 최진명, 오미영, "원자력에 대한 위험인식이 방사선기술 이용생산물에 대한 위험인식과 수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 보, 52(1): 467-500, 2008

      116 이나경, "“위험사건의 발생확률 판단과 후견지명편향: 가정설계에서 기대와 결과 간의 불일치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사회과학연구논총, 29(1), 363-382, 2013

      117 이동섭, 최용득, "“긍정심리자본의 효과: 지각된 성과, 이직의도, 직 장에서의 행복,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한국인사 조직학회 발 표논문집, 2, 74-100, 2011

      118 유수현, 허경옥, "가계투자에서의 위험감수성향 판별변수조사 및 위험감 수성향에 따른 가계재무관리 특성 분석", 한국FP학회, Financial Planning Review, 5(1), 133-159, 2012

      119 김홍석, 노영천,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부모애착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낙관성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상담학연구, 13(6), 2625-2640, 2012

      120 이송이, 정희정, "에니어그램 연구동향 분석과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아동, 청소년과 부모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회, 한국가족복지학, 14(2), 121-137, 2009

      121 김영일, "콜센터 내부마케팅이 상담사의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효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호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122 김윤영, 이정미, 김윤경, 박인혜, "청소년의 지각된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낙관성과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2), 373-388, 2015

      123 박슬기, 이형룡, 성오현, "호텔 직원의 심리자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 대한경 영학회지, 23(5), 2565-2584, 2010

      124 유현숙, "“여성자본의 실태와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여성의 인적자본, 사 회자본, 심리적 자본을 중심으로,”", 아시아여성연구, 44(2). 225-259, 2005

      125 맹창호, "고령자의 사회경제적 요인이 계층귀속의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주관적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 검증", 한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126 김효진, "위험 커뮤니케이션에서 메시지 프레이밍, 수용자의 전문성 여부, 위험 유형이 위험 인식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27 노안영, 정민, "대학생의 외향성 및 신경증적 경향성과 심리적 안녕감간의 관계: 장독립-장의존적 인지양식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7(2), 373-387, 2008

      128 김동철, "긍정조직행태의 주요 요인간 관계에 관한 연구: 진성 리더 십, 심리적 자본, 심리적 주인 의식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대학원, 강원대학교 박 사학위논문, 2012

      129 조유진 ( Yu Jin Cho ), 김수영 ( Suyoung Kim ), "뇌병변 장애자녀 어머니들의 사회복지제도 속에서 생존하기: 수동적 행위자에서 능동적 행위자로 거듭나기",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사회 복지연구, 47(1), 93-121, 2016

      130 양기종, 장영철, "“여대생의 직업탐색행동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관계 연구: 복원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영교 육연구, 30(3), 133-160, 2015

      131 변미희, "“아동 청소년 상담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합리적 정서적 행동적 치료, 의사교류분석, 현실치료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4(2), 51-65, 2002

      132 김수진, "건강이슈유형에 따른 상황적 헬스커뮤니케이션 메시지 모 델 연구: 귀인이론과 감정의 인지평가이론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화여자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133 김정수, "위험사건의 통제가능성 지각에서 낙관성이 심리적 안녕 감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대처와 이점발견의 매개효과", 한양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134 김종남, 양귀화, "“외상 후 성장 과정에 대한 분석: 정서조절곤란, 침 습적 반추, 의도적 반추의 삼중매개효과와 낙관성의 조절효과”", 한국건강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9(4), 1041-1062, 2014

      135 김철수, "변혁적 거래적 리더십이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 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동신대학교 대학원, 동 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136 공정원 ( Jung Won Kong ), 엄명용 ( Myung Yong Um ), "근로 시장에서 기혼 직장여성의 출산 계획,임신,출산,육아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직접,간접차별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한국가족복지학, 51, 149-186, 2016

      137 문유호, "“긍정심리자본이 심리적 주인의식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 향: 공정성 인식과 집단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안양대학교 일반대학원, 안 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138 김종성, 최수찬, "“중소기업 기혼 근로자의 직장-가정 갈등이 직무만 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기업내 가족친화제도의 조절효 과”",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13(1), 147-176, 2016

      139 이종학, "자기 효능감이 긍정적 자산, 직무만족,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 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내 특1급 호텔 식음료 종사원을 대상 으로",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140 류경희, "지각된 위험사건의 통제가능성 여부에 따른 북한이탈주민 의 낙관성과 외상 후 성장과의 관계: 적극적 대처, 수용, 긍정적 재평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