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주, 환대 그리고 민주적 반추 = Migration, Hospitality and Democratic Iter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954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igration, Hospitality and Democratic IterationByungkon Kim Abstract: This study seeks a political and philosophical basis for the definition of migration.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political and philosophical solutions to this iss...

      Migration, Hospitality and Democratic IterationByungkon Kim

      Abstract: This study seeks a political and philosophical basis for the definition of migration.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political and philosophical solutions to this issue. The method of research focuses on analyzing existing political and philosophical discourse on the issue of migrant membership. This study analyzes the theories on the hospitality of membership and diagnoses their limitations. This research also pay attention to the political theory of Benhabib who suggests the most convincing alternative on migration and membership. This study emphasizes Benhabib’s concept of democratic iteration and diagnoses its potential and limitations. Benhabib’s theory is recognized for its significance in that it accepts innate contradictions in the issue of migrant membership and seeks realistic alternatives. However, it should be complemented further by accepting the norms of global citizenship or such afterwards.


      Key Words: Migration, Membership, Benhabib, Hospitality, Democratic Iter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주, 환대 그리고 민주적 반추김 병 곤** 연구 목적: 이 연구는 국경을 넘어 이동이 증가하고 있는 현실에서 제기되고 있는 이주의 정의에 대한 정치철학적 바탕을 모색한다. 이 논문은 이 ...

      이주, 환대 그리고 민주적 반추김 병 곤**

      연구 목적: 이 연구는 국경을 넘어 이동이 증가하고 있는 현실에서 제기되고 있는 이주의 정의에 대한 정치철학적 바탕을 모색한다. 이 논문은 이 문제에 대한 정치철학적 해결책을 모색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 연구 방법은 이주민 성원권 문제에 대한 기존의 정치철학적 담론을 분석하는 것이다. 그리고 가장 설득력있는 대안으로 벤하비브의 논의에 대해 분석하고 이론의 현실적 의미를 파악한다.
      연구 내용: 이 논문의 연구내용은 이주민 성원권에 대한 환대의 윤리 등의 견해를 분석하고 그 한계를 진단한다. 이에 따라 대안으로 벤하비브의 민주적 반추의 개념을 분석하고 가능성과 한계를 진단한다.
      결론 및 제언: 벤하비브의 이론은 이주민 성원권 문제의 본질적 모순을 인정하고, 현실적인 대안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인정된다. 그러나 절충주의적 성격과 심의 민주주의론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실천적인 대안이 되기 위해서 세계시민주의적 규범의 수용 등 보완이 필요하다.


      핵심어: 이주, 성원권, 벤하비브, 환대, 민주적 반추















      □ 접수일: 2022년 10월 27일, 수정일: 2022년 11월 11일, 게재확정일: 2022년 12월 20일* 이 논문은 고려대학교 특별연구비에 의해서 수행되었음(K2109131).
      **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Professor, Korea Univ., Email: bkkim@korea.ac.k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설한, "자유주의, 공동체주의, 정체성 주장 인정으로서의 자유주의적 평등 개념의 확장" 평화와 민주주의연구소 21 (21): 247-284, 2013

      2 최병두, "이방인의 권리와 환대의 윤리: 칸트와 데리다 사상의 지리학적 함의"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4 (24): 16-36, 2012

      3 이선주, "유럽의 이민자통합정책과 시민권의 재구성: 네덜란드와 영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학회 21 (21): 71-92, 2014

      4 오미영, "배제와 폭력에 대한 대항으로서의 심의 민주주의의 가능성- 벤하비브(S. Benhabib)의 ‘심의 민주주의’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철학회 (10) : 29-60, 2008

      5 김남국, "문화와 민주주의" 이학사 2019

      6 현남숙, "다문화주의와 여성주의의 갈등에 관한 심의민주주의적 접근 ― S. 벤하비브의 심의민주주의 다문화 정치학을 중심으로"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 (20): 439-471, 2009

      7 이병하, "난민 위기의 원인과 해결책 그리고 환대의 윤리" 한국국제정치학회 57 (57): 199-235, 2017

      8 Lucas, S. D., "The primacy of narrative agency : re-reading Seyla Benhabib onnarrativity" 19 (19): 123143-, 2018

      9 Benhabib, Seyla, "The Rights of Others : Aliens, Residents, and Citize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10 Arendt, Hannah, "The Origins of Totalitarianism" Harcourt Brace &Company 1973

      1 설한, "자유주의, 공동체주의, 정체성 주장 인정으로서의 자유주의적 평등 개념의 확장" 평화와 민주주의연구소 21 (21): 247-284, 2013

      2 최병두, "이방인의 권리와 환대의 윤리: 칸트와 데리다 사상의 지리학적 함의"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4 (24): 16-36, 2012

      3 이선주, "유럽의 이민자통합정책과 시민권의 재구성: 네덜란드와 영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학회 21 (21): 71-92, 2014

      4 오미영, "배제와 폭력에 대한 대항으로서의 심의 민주주의의 가능성- 벤하비브(S. Benhabib)의 ‘심의 민주주의’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철학회 (10) : 29-60, 2008

      5 김남국, "문화와 민주주의" 이학사 2019

      6 현남숙, "다문화주의와 여성주의의 갈등에 관한 심의민주주의적 접근 ― S. 벤하비브의 심의민주주의 다문화 정치학을 중심으로"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 (20): 439-471, 2009

      7 이병하, "난민 위기의 원인과 해결책 그리고 환대의 윤리" 한국국제정치학회 57 (57): 199-235, 2017

      8 Lucas, S. D., "The primacy of narrative agency : re-reading Seyla Benhabib onnarrativity" 19 (19): 123143-, 2018

      9 Benhabib, Seyla, "The Rights of Others : Aliens, Residents, and Citize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10 Arendt, Hannah, "The Origins of Totalitarianism" Harcourt Brace &Company 1973

      11 Sassen, Saskia, "Response" 6 (6): 431-444, 2007

      12 Banting, K., "Multiculturalism and The Welfare State : Recognition and Redistribution in Contemporary Democracies" OxfordUniversity Press 2006

      13 Kant, Immanuel, "Kant: PoliticalWriting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14 Walzer, M, "In response: support for modesty and the nation-state"

      15 Benhabib, Seyla, "Exile, statelessness, and migration : playing chess with historyfrom Hannah Arendt to Isaiah Berlin"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8

      16 Aleinikoff, Alexander T., "Comments on the Rights of Others" 6 (6): 424-430, 2007

      17 Benhabib, Seyla, "Border regimes in the age of COVID"

      18 Benhabib, Seyla, "Another Cosmopolitanism"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19 Young, I., "Activist challenges to deliberative democracy" 29 (29): 670-690, 200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