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구통계학적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수륙경계선 기반 간석지 DEM의 오차 분석 및 확률론적 침수 취약성 추정 = Error Analysis of Waterline-based DEM in Tidal Flats and Probabilistic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using Geostatistical Simul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885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다중 시기 원격탐사 자료로부터 추출한 수륙경계선을 이용하여 제작된 간석지 수치표고모델(DEM)에 포함된 오차의 공간 분포 분석 및 침수 취약성 추정에 있다. 오차의 전...

      이 연구의 목적은 다중 시기 원격탐사 자료로부터 추출한 수륙경계선을 이용하여 제작된 간석지 수치표고모델(DEM)에 포함된 오차의 공간 분포 분석 및 침수 취약성 추정에 있다. 오차의 전역적인 통계값만을 제시했던 기존 연구와 달리, 이 연구에서는 지구통계학적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확률론적 관점에서 오차의 공간 분포를 정량적으로 해석하였다. 바람아래 간석지를 대상으로 2010년대 다중 시기 Landsat 자료로부터 추출된 수륙경계선과 보정 조위값을 이용하여 초기 DEM을 생성하였다. 현장 고도 측정 자료와 비교하였을때, 생성된 DEM은 대체로 실제 고도를 저추정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이후 오차의 공간 자기상관성 정보를 기반으로 순차적 가우시안 시뮬레이션을 적용하여 다량의 대안적 오차 공간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이 오차 공간 분포도를 이용하여 오차가 보정된 대안적 DEM을 생성한 후에, IPCC SERS해수면 상승 시나리오에 따른 침수 취약성의 확률 분포도를 제작하였다. 지구통계학적 시뮬레이션 기반 오차분석 방법론은 오차 추정의 불확실성 및 오차 전파 문제를 확률론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적용한 오차 분석 방법론은 수륙경계선 기반 간석지 DEM의 오차 추정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주제도에 포함된 오차의 확률론적 평가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errors in the DEM generated using waterlines from multi-temporal remote sensing data and to assess flood vulnerability. Unlike conventional research in which only global statistics ...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errors in the DEM generated using waterlines from multi-temporal remote sensing data and to assess flood vulnerability. Unlike conventional research in which only global statistics of errors have been generated, this paper tries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errors from a probabilistic viewpoint using geostatistical simulation. The initial DEM in Baramarae tidal flats was generated by corrected tidal level values and waterlines extracted from multi-temporal Landsat data in 2010s. When compared with the ground measurement height data, overall the waterline-based DEM underestimated the actual heights and local variations of the errors were observed. By applying sequential Gaussian simulation based on spatial autocorrelation of DEM errors, multiple alternative error distributions were generated. After correcting errors in the initial DEM with simulated error distributions, probabilities for flood vulnerability were estimated under the sea level rise scenarios of IPCC SERS. The error analysis methodology based on geostatistical simulation could model both uncertainties of the error assessment and error propagation problems in a probabilistic framework.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error analysis methodology applied in this paper will be effectively used for the probabilistic assessment of errors included in various thematic maps as well as the error assessment of waterline-based DEMs in tidal fla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동호, "한국의 간석지 연구" 한국지형학회 18 (18): 59-78, 2011

      2 장동호, "표층퇴적물 분석을 통한 동계 안면도 바람아래해수욕장 주변의 퇴적환경 변화특성" 한국지형학회 17 (17): 15-27, 2010

      3 김장수, "침수 취약성 평가: 안면도 바람아래 조간대 지역을 사례로" 한국지형학회 17 (17): 29-39, 2010

      4 박성우, "위성영상을 이용한 강화도 남단갯벌의 DEM 추출" 한국공간정보학회 11 (11): 13-22, 2003

      5 Zhen Xu, "원격탐사자료를 이용한 인공구조물 건설에 의한 군산 유부도 조간대의 지형변화 및 표면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원격탐사학회 29 (29): 57-68, 2013

      6 류주형, "원격탐사 자료로부터 해안선 추출에 의한 조간대 DEM 생성" 16 (16): 221-233, 2000

      7 장동호, "안면도 바람아래해수욕장 주변의 퇴적환경 체계 변화" 10 (10): 143-155, 2003

      8 김태림, "새만금 1호 방조제 외측 대항리 조간대 갯벌 지형 변화에 대한 영상 관측"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1 (21): 453-461, 2009

      9 이상원, "다변량 크리깅과 KOMPSAT-2 영상을 이용한 간석지 표층 퇴적물 분류" 한국지형학회 19 (19): 37-49, 2012

      10 류주형, "곰소만 조간대 퇴적물의 Landsat ETM+ 자료 특성" 대한원격탐사학회 19 (19): 117-133, 2003

      1 장동호, "한국의 간석지 연구" 한국지형학회 18 (18): 59-78, 2011

      2 장동호, "표층퇴적물 분석을 통한 동계 안면도 바람아래해수욕장 주변의 퇴적환경 변화특성" 한국지형학회 17 (17): 15-27, 2010

      3 김장수, "침수 취약성 평가: 안면도 바람아래 조간대 지역을 사례로" 한국지형학회 17 (17): 29-39, 2010

      4 박성우, "위성영상을 이용한 강화도 남단갯벌의 DEM 추출" 한국공간정보학회 11 (11): 13-22, 2003

      5 Zhen Xu, "원격탐사자료를 이용한 인공구조물 건설에 의한 군산 유부도 조간대의 지형변화 및 표면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원격탐사학회 29 (29): 57-68, 2013

      6 류주형, "원격탐사 자료로부터 해안선 추출에 의한 조간대 DEM 생성" 16 (16): 221-233, 2000

      7 장동호, "안면도 바람아래해수욕장 주변의 퇴적환경 체계 변화" 10 (10): 143-155, 2003

      8 김태림, "새만금 1호 방조제 외측 대항리 조간대 갯벌 지형 변화에 대한 영상 관측"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1 (21): 453-461, 2009

      9 이상원, "다변량 크리깅과 KOMPSAT-2 영상을 이용한 간석지 표층 퇴적물 분류" 한국지형학회 19 (19): 37-49, 2012

      10 류주형, "곰소만 조간대 퇴적물의 Landsat ETM+ 자료 특성" 대한원격탐사학회 19 (19): 117-133, 2003

      11 유주형, "고해상도 위성자료를 이용한 조간대 표층 퇴적상의 정성적 분류 - 천수만 황도 조간대의 경우 -" 대한지질학회 41 (41): 199-210, 2005

      12 Ryu, J.-H, "Waterline extraction from Landsat TM data in a tidal flat: A case study in Gomso Bay, Korea" 82 : 442-456, 2002

      13 Heygster, G, "Topographic mapping of the German tidal flats analyzing SAR images with the waterline method" 48 : 1019-1030, 2010

      14 이규성, "Topographic Relief Mapping on Inter-tidal Mudflat in Kyongki Bay Area Using Infrared Bands of Multi-temporal Landsat TM Data" 대한원격탐사학회 20 (20): 163-173, 2004

      15 박정원, "TerraSAR-X를 이용한 조간대 관측" 대한원격탐사학회 25 (25): 383-389, 2009

      16 van der Wal, D, "Regressionbased synergy of optical, shortwave infrared and microwave remote sensing for monitoring the grain-size of intertidal sediments" 111 : 89-106, 2007

      17 Goovaerts, P, "Geostatistics for Natural Resources Evalu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18 Deutsch, C. V, "GSLIB: Geostatistical Software Library and User's Guide"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19 IPCC, "Climate Change 2007: The Physical Science Basis"

      20 Remy, N, "Applied Geostatistics with SGeMS: A User’s Guid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21 Mason, D. C, "A sensitivity analysis of the waterline method of constructing a digital elevation model for intertidal areas in ERS SAR scene of Eastern England" 53 : 759-778,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 0.71 0.769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