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현행 중학교 국사교과서의 고‧중세시기 문화교류 내용 서술과 분석 = Analysis of cultural exchanges in the ancient and medieval Ages described in the current middle school textbooks of the korean hist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103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2002, middle school textbooks were compiled according to the 7th Training Course. In many ways, differing from the textbooks of the 6th Training Course, they included contents such as materials for reading, guide writings, deep courses, research qu...

      In 2002, middle school textbooks were compiled according to the 7th Training Course. In many ways, differing from the textbooks of the 6th Training Course, they included contents such as materials for reading, guide writings, deep courses, research questions, and so on. However, only external changes of the textbooks do not make guarantee of their quality. The seventh textbooks don’t contain recent academic researches of cultural exchanges and still focus on political history. Moreover, they describe cultural exchanges as trade of merchandises required in the process of building a state. Without basic understanding of cultural exchanges, students would have a difficulty in learning historical changes related to cultural exchanges.
      It isn’t actually easy to demand active and voluntary study of younger students. Therefore, the textbooks of the korean history have to include not only political history but also cultural history, because a study of the impact of cultural exchanges can cultivate open-mindedness toward other cultures as well as expand the vision of the korean and world histories.
      This article aims to make an analysis of learning objectives and curriculum of the 7th Training Course and to show how they were reflected in the middle school textbooks of the Korean history. In addition, it reviewed what the objectives and the curriculum of the amended 7th Training Course were. For this purpose, it focused on the learning contents related to cultural exchange of the ancient and medieval Ages described in the middle school textbooks of the korean histo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중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과서는 제7차 교육과정에 의거하여 2002년에 편찬한 국정교과서이다. 여러 가지 면에서 제6차 교육과정에 의한 교과서와는 차별되는데, 학생들의 빠른 이해...

      현재 중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과서는 제7차 교육과정에 의거하여 2002년에 편찬한 국정교과서이다. 여러 가지 면에서 제6차 교육과정에 의한 교과서와는 차별되는데, 학생들의 빠른 이해를 돕기 위한 읽기 자료나 도움글, 심화과정, 탐구문제 등을 적극 반영하였다. 하지만 교과서의 외형적인 변화가 교과서 내용의 충실도까지 담보해주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문화교류와 관련된 학계의 다양한 연구 성과를 반영하기보다는 정치사 위주의 내용이 중심이 되면서, 문화교류에 대한 이해는 대체로 국가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필요한 물자의 교역 정도로 서술되고 있었다. 중학교 과정에서의 학습 내용이 심도 깊게 진행될 수 없다 하더라도, 문화교류에 대한 이해가 전제되지 않고는 이후의 다양한 국가 환경과 교역 등으로 인한 시대적 변화상을 학습하는데 장애를 가져올 가능성이 높다.
      현행 중학교 국정교과서를 학습하는 단계의 어린 학생들에게 능동적이고 자발적인 학습을 요구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그러기 때문에 국사교과서의 내용 선정은 정치사를 중심으로 하는 주제별 학습에 더하여 문화사 또는 문화교류사를 보완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문화교류가 끼치는 영향을 전제로 세계와 한국사를 바라보는 시각의 확대를 꾀하게 할 뿐 아니라, 他文化에 대한 개방된 태도를 함양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의 학습목표와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이것이 중학교 국사교과서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개정 제7차 교육과정이 목표하는 학습내용은 무엇인지에 대한 검토도 함께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현행 중학교 국사교과서에 반영된 고ㆍ중세시기의 문화교류 학습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수일, "혜초의 서역기행과 왕오천축국전" 동국대학교 27 : 2004

      2 전상운, "한국에 있어서의 이슬람 문화" 14 (14): 1992

      3 존 카터 코벨, "한국문화의 뿌리를 찾아" 학고재 1999

      4 김당택, "한국대외교류의 역사" 일조각 2009

      5 윤재운, "한국 고대무역사 연구" 경인문화사 2006

      6 전덕재, "한국 고대 서역문화의 수용에 대한 고찰 - 百戱歌舞의 수용을 중심으로 -" 부산경남사학회 (58) : 1-39, 2006

      7 최선일, "통일신라시대 梵鐘에 표현된 天人像 연구" 신라사학회 (15) : 41-77, 2009

      8 김대식, "처용이 있는 풍경" 대원사 2002

      9 국사편찬위원회, "중학교 국사교과서" 교육인적자원부 2007

      10 양호환, "중등 역사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과 시안의 특성" 2 : 2005

      1 정수일, "혜초의 서역기행과 왕오천축국전" 동국대학교 27 : 2004

      2 전상운, "한국에 있어서의 이슬람 문화" 14 (14): 1992

      3 존 카터 코벨, "한국문화의 뿌리를 찾아" 학고재 1999

      4 김당택, "한국대외교류의 역사" 일조각 2009

      5 윤재운, "한국 고대무역사 연구" 경인문화사 2006

      6 전덕재, "한국 고대 서역문화의 수용에 대한 고찰 - 百戱歌舞의 수용을 중심으로 -" 부산경남사학회 (58) : 1-39, 2006

      7 최선일, "통일신라시대 梵鐘에 표현된 天人像 연구" 신라사학회 (15) : 41-77, 2009

      8 김대식, "처용이 있는 풍경" 대원사 2002

      9 국사편찬위원회, "중학교 국사교과서" 교육인적자원부 2007

      10 양호환, "중등 역사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과 시안의 특성" 2 : 2005

      11 정예경, "중국북제․북주 불상연구" 혜안 1998

      12 엔닌, "입당구법순례행기" 선인 2007

      13 신대현, "옥기공예-옥과 옥리를 통해 본 동양의 정신문화" 혜안 2007

      14 정수일, "씰크로드학" 창작과 비평사 2001

      15 나가사와 가즈도시, "실크로드의 역사와 문화" 민족사 1994

      16 김복순, "신라와 고려의 사상적 연속성과 독자성- 불교를 중심으로 -" 한국고대사학회 (54) : 367-394, 2009

      17 전영준, "신라사회에 유입된 서역 문물과 多文化的 요소의 검토" 신라사학회 (15) : 161-192, 2009

      18 송호정, "선사 및 국가 형성 관련 서술 검토" 한국고대사학회 29 : 5-46, 2003

      19 송화섭, "불교의례로서 당산제와 줄다리기-부안 내소사․석포리 당산제를 중심으로-" 한국역사민속학회 (32) : 229-272, 2010

      20 정재훈, "북아시아 遊牧民族의 移動과 定着" 동양사학회 (103) : 87-116, 2008

      2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별책 3 중학교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 2007

      22 정수일, "문명의 루트 실크로드" 효형출판 2002

      23 정수일, "문명교류사연구" 사계절 2004

      24 李成市, "동아시아의 왕권과 교역" 청년사 1999

      25 盧明鎬, "동명왕편과 이규보의 다원적 천하관" 83 : 1997

      26 주보돈, "금석문과 신라사" 지식산업사 2002

      27 이명희, "국사교육의 방향. in: 중학교 국사 교사용지도서" 국사편찬위원회 2002

      28 권영오, "국사교과서의 신라하대 서술 내용과 개선 방향 - 7차 교육과정 중고등학교 국사교과서를 중심으로 -" 부산경남사학회 (59) : 77-108, 2006

      29 안지원, "고려의 국가 불교의례와 문화" 서울대출판부 2005

      30 김철웅, "고려와 大食의 교역과 교류" 한국문화사학회 (25) : 129-145, 2006

      31 전영준, "고려시대 팔관회의 설행과 국제문화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3 : 213-243, 2010

      32 김혜숙, "고려 팔관회의 내용과 기능" 9 : 1999

      33 최인표, "고려 성종의 유교정치이념 채택과 역사적 의의" 5 : 2004

      34 교육부, "고등학교 교육과정(Ⅰ), 교육부 고시 제1997-15호 별책4" 교육부 1997

      35 교육과학기술부,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1-총론, 재량활동, 특별활동" 2009

      36 김복순, "고대 문화 관련 서술 검토" 한국고대사학회 29 : 129-150, 2003

      37 전덕재, "고대 경제, 사회 부분 분석" 한국고대사학회 29 : 83-128, 2003

      38 盧明鎬, "高麗의 多元的 天下觀과 海東天子" 105 : 1999

      39 이진한, "高麗時代 宋商 貿易의 再照明" 역사교육연구회 (104) : 49-82, 2007

      40 金炯佑, "高麗時代 國家的 佛敎行事에 대한 硏究" 동국대 1992

      41 李龍範, "處容說話의 一考察-唐代 이슬람 商人과 신라" 32 : 1969

      42 高柄翊, "東아시아文化史論考"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7

      43 이한상, "新羅墳墓 속 西域系文物의 現況과 解析" 한국고대사학회 (45) : 133-159, 2007

      44 무함마드 깐수, "新羅․西城交流史" 단국대학교 출판부 1992

      45 박경식, "新羅 始原期 石塔에 대한 考察" 한국문화사학회 (19) : 79-95, 2003

      46 安啓賢, "八關會攷. in: 韓國佛敎思想史硏究" 동국대출판부 1983

      47 金定慰, "中世 中東文獻에 비친 韓國象" 16 : 1977

      48 이한상, "三國時代 環頭大刀의 製作과 所有方式" 한국고대사학회 36 : 257-286, 2004

      49 강선주, "‘문화적 접촉과 교류의 역사’의 내용 선정 방안" 한국역사교육학회 (3) : 61-97, 2006

      50 버지니아 아나미, "Encounters with Korean Communities of Tang China Depicted in Monk Ennin’s Diary" 신라사학회 (13) : 219-239, 2008

      51 김창석, "8∼10세기 이슬람 제종족의 신라 來往과 그 배경" 한국고대사학회 (44) : 92-126, 2006

      52 서인원, "2007년 개정 7차 교육 과정의 내용 분석-사회과 교육 과정 중 역사 과목을 중심으로-" 역사실학회 (34) : 8-8, 2007

      53 개빈 맨지스, "1421 중국, 세계를 발견하다" 사계절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12-17 학회명변경 한글명 : 동국사학회 -> 동국역사문화연구소
      영문명 : Dongguk Historical Society -> Dongguk history & culture institute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6 0.36 0.3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4 0.758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