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주거지원 프로그램이 주거비부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저소득 청년과 노인 임차가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 of Housing Support Program on Housing Cost Burden: Focused on Low-Income Young and Elderly Household Tena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485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저소득 청년가구와 저소득 노인가구의 주거비부담에 대한 영향을 주거지원 프로그램별로 구분하여 각 집단의 인문학적, 사회 경제적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

      본 연구의 목적은 저소득 청년가구와 저소득 노인가구의 주거비부담에 대한 영향을 주거지원 프로그램별로 구분하여 각 집단의 인문학적, 사회 경제적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거지원 프로그램에 의해 지원받는 저소득 청년가구와 저소득 노인가구의 주거 복지 향상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2019 주거실태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요 관련 주거지원 프로그램 이용 변수는 저소득 청년가구에게 양(+)의 영향을 미치고, 저소득 노인가구에게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저소득 청년가구가 지원금을 대부분 주거환경의 질의 향상을 위해 임대료 지출에 사용한 반면, 저소득 노인가구는 기존의 주거환경을 유지하는 가운데 수요 관련 주거프로그램 지원금을 통해 주거비부담을 줄이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둘째, 공급 관련 주거지원 프로그램은 저소득 청년 및 노인가구 모두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부에서 지원하는 공급 주거지원 프로그램이 저소득 청년 및 노인가구의 주거비부담을 감소시키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social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of each young and elderly household group. We employ the 2019 Residential Survey to derive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housing welfare for low-income young and low-income elderly househ...

      This study examines the social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of each young and elderly household group. We employ the 2019 Residential Survey to derive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housing welfare for low-income young and low-income elderly households supported by housing support program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use of demand-related housing support programs has a positive effect on low-income young households and a negative effect on low-income elderly households. We argue that it implies low-income young households mostly use the subsidies to spend rent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residential environment while low-income elderly households spend to reduce the burden of housing cost while maintaining the existing residential environment. Second, supply-related housing support programs have negative effects on both low-income young and elderly households, and housing support programs directly affect the burden of housing cos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선행연구의 고찰 Ⅲ. 분석자료와 모형 Ⅳ. 실증분석 Ⅴ. 결론
      • Ⅰ. 서론 Ⅱ. 선행연구의 고찰 Ⅲ. 분석자료와 모형 Ⅳ. 실증분석 Ⅴ.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혜진, "한국 중고령 가계의 주거부담 결정요인"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10 (10): 19-37, 2014

      2 임세희, "최저주거기준미달가구의 결정요인: 지역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2 (42): 47-73, 2015

      3 박정민, "최저주거기준과 주거비 과부담을 기준으로 한 빈곤가구의 주거취약 유형화와 관련요인"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6 (46): 101-123, 2015

      4 홍성조, "주택부담능력을 고려한 다세대·다가구 주택 밀집지역 주거환경정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5 김혜승, "주거비지불능력 개념에 기초한 주거비보조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4

      6 오서안, "주거비 부담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2018

      7 이경영, "점유형태별 주거비부담능력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수도권 및 비수도권의 지역 간 비교를 중심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3 (53): 143-161, 2018

      8 강정희, "저소득층의 주거실태와 주거안정성에 관한 연구 −부산시 수급가구와 차상위가구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6 (26): 249-274, 2010

      9 유병선, "저소득 임차가구의 주거비부담 결정 요인 분석: 전세가구와 월세가구의 차이를 중심으로"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 26 (26): 1-38, 2017

      10 임세희, "유형별 주거빈곤가구의 차이 - 최저주거기준 하위기준미달, 주거비 과부담, 중복주거빈곤가구" 한국사회정책학회 24 (24): 31-62, 2017

      1 조혜진, "한국 중고령 가계의 주거부담 결정요인"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10 (10): 19-37, 2014

      2 임세희, "최저주거기준미달가구의 결정요인: 지역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2 (42): 47-73, 2015

      3 박정민, "최저주거기준과 주거비 과부담을 기준으로 한 빈곤가구의 주거취약 유형화와 관련요인"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6 (46): 101-123, 2015

      4 홍성조, "주택부담능력을 고려한 다세대·다가구 주택 밀집지역 주거환경정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5 김혜승, "주거비지불능력 개념에 기초한 주거비보조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4

      6 오서안, "주거비 부담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2018

      7 이경영, "점유형태별 주거비부담능력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수도권 및 비수도권의 지역 간 비교를 중심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3 (53): 143-161, 2018

      8 강정희, "저소득층의 주거실태와 주거안정성에 관한 연구 −부산시 수급가구와 차상위가구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6 (26): 249-274, 2010

      9 유병선, "저소득 임차가구의 주거비부담 결정 요인 분석: 전세가구와 월세가구의 차이를 중심으로"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 26 (26): 1-38, 2017

      10 임세희, "유형별 주거빈곤가구의 차이 - 최저주거기준 하위기준미달, 주거비 과부담, 중복주거빈곤가구" 한국사회정책학회 24 (24): 31-62, 2017

      11 배병우, "서울시 거주 대학생의 주거비 부담능력 분석" 서울연구원 14 (14): 23-38, 2013

      12 권건우, "생애주기별 가구의 주거비 부담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주택학회 24 (24): 49-69, 2016

      13 최열, "로짓모형을 이용한 월세 거주자의 주거비부담능력 결정요인 분석- 부산시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부동산학회 (59) : 45-58, 2014

      14 권연화, "노년층의 가구구성 및 주택점유형태에 따른 주거비 부담능력에 관한 분석" 대한토목학회 35 (35): 977-986, 2015

      15 권연화, "노년층과 잠재 노년층의 주거선택 비교분석 - Social Network의 특성을 중심으로 -" 한국부동산학회 (66) : 73-87, 2016

      16 고홍, "고령세대 주거비 부담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학회 33 (33): 47-55, 2017

      17 이태진, "경제위기에 따른 주거빈곤 개선방안" 148 (148): 43-55, 2009

      18 Hancock, K. E., "‘Cant Pay? wont Pay?’ or Economic Principles of ‘Affordability’" 30 (30): 127-145, 1993

      19 국토교통부, "2017년도 주거실태조사보고서: 통계보고서" 2018

      20 최병숙, "2006년과 2016년 주거실태조사에 나타난 청년 1인가구의 주거실태 변화" 22 (22): 85-93,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