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군정기 전국 주요 형무소 집단탈옥사건 연구 = A Study on the Collective Prison Breaches from the Major Penitentiaries in Korea during the U.S. Military Administr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3981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의 해방은 ``쟁취된 해방``이 아니라 연합군의 승리에 의해 ``주어진 해방``이라는 의미가 강했다. 그 결과 미소군정이 한반도를 장악하게 되었다. 미소군정이 들어선 가운데 좌우익세력...

      한국의 해방은 ``쟁취된 해방``이 아니라 연합군의 승리에 의해 ``주어진 해방``이라는 의미가 강했다. 그 결과 미소군정이 한반도를 장악하게 되었다. 미소군정이 들어선 가운데 좌우익세력은 첨예한 대립각을 세웠다. 그 결과 해방과 함께 교도소에서 독립운동가들을 비롯한 수형인들이 풀려난 감옥에는 또 다시 시국사범들로 넘쳐났다. 미군정기 1946년 10월 항쟁의 여파로 교도소 수감인원은 더욱 급증하였다. 하지만 교도소는 수감인원에 비해 수용시설은 턱 없이 부족했다. 이러한 가운데 미군정기 전국 주요형무소에서는 시국사범들의 주동으로 광주형무소를 비롯해, 전주형무소, 서울형무소 등지에서 대규모 집단탈옥사건이 발생하였다. 미군정기 전국 주요 집단탈옥사건은 교도소의 열악한 시설도 한몫 하였지만, 무엇보다 시국 관련 수감자들이 자신들의 수감생활에 대한 불만의 표시이자 미군정에 대한 저항으로 인식하였기 때문에 가능하였던 것으로 여겨진다. 미군정기 집단탈옥사건은 한국은 물론 세계 교도소 역사에서도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대규모 탈옥사건이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미군정 사회의 한 단면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liberation in Korea seems not to be ``one that was won,`` but to be ``one that was given`` by the victory of the Allies. Therefore, the American and the Russian military governments got the command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military admi...

      The liberation in Korea seems not to be ``one that was won,`` but to be ``one that was given`` by the victory of the Allies. Therefore, the American and the Russian military governments got the command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military administration, the Leftists and the Rightists radically conflicted each other. As a result, political offenders took over the empty rooms of penitentiaries left by the previous prisoners like fighters for national independence. The number of prisoners increased more rapidly after the October Strife in 1946 while the American military administration was in effect. During the American military administration, the penitentiaries had highly insufficient capacities compared to the number of prisoners. Large scale collective prison breaches, that were organized by the political offenders, broke out in the major Korean penitentiaries including Kwangju, Jeonju, and Seoul Jailhouses during the administration. They broke out partly because the facilities of the jailhouses were very poor, and partly, but more importantly because the political offenders recognized their behaviors as the expressions of the unsatisfactory situations in prisons and the resistance to the American military administration. Since the collective prison breaches during the American military administration broke out on a massive scale which can not be found in the history of penitentiaries in the world as well as in Korea, we have to pay attention to them in order to understand an aspect of the American military administr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대검찰청 수사과, "좌익사건실록" 1 : 1981

      2 "장흥에서의 정치투쟁 역사와 현장" 19901945~1954

      3 "장흥 유치 그 저항과 피난의 역사 탐진댐 수몰지역의 역사와 문화" 목포대박물관 2001

      4 전북일보, "1977년 11월 1일, 13일자" 2008

      5 "1949년 목포형무소 집단탈옥사건 연구" 2004

      6 호남신문, "1948년 9월 1일자" 2008

      7 경향신문, "1947년 1월 9일자, 1947년 1월 18일자, 1947년 5월 9일자, 1947년 6월 17일자" 2008

      8 조선일보, "1946년 11월 7일자, 1946년 11월 14일자, 1946년 11월 15일자, 1946년 11월 30일자, 1947년 1월 18일자, 1947년 8월 31일자, 1948년 6월 3일자, 1948년 8월 21일자" 2008

      9 서울신문, "1946년 11월 19일자, 1946년 11월 24일자, 1946년 12월 14일자, 1947년 5월 9일자, 1948년 4월 7일자, 1949년 8월 7일자, 1949년 8월 11일자, 1949년 8월 12일자" 2008

      10 매일신보, "1945년 8월 16일자, 1945년 10월 15일자, 1945년 10월 16일자, 1945년 10월 27일자, 1945년 11월 8일자" 2008

      1 대검찰청 수사과, "좌익사건실록" 1 : 1981

      2 "장흥에서의 정치투쟁 역사와 현장" 19901945~1954

      3 "장흥 유치 그 저항과 피난의 역사 탐진댐 수몰지역의 역사와 문화" 목포대박물관 2001

      4 전북일보, "1977년 11월 1일, 13일자" 2008

      5 "1949년 목포형무소 집단탈옥사건 연구" 2004

      6 호남신문, "1948년 9월 1일자" 2008

      7 경향신문, "1947년 1월 9일자, 1947년 1월 18일자, 1947년 5월 9일자, 1947년 6월 17일자" 2008

      8 조선일보, "1946년 11월 7일자, 1946년 11월 14일자, 1946년 11월 15일자, 1946년 11월 30일자, 1947년 1월 18일자, 1947년 8월 31일자, 1948년 6월 3일자, 1948년 8월 21일자" 2008

      9 서울신문, "1946년 11월 19일자, 1946년 11월 24일자, 1946년 12월 14일자, 1947년 5월 9일자, 1948년 4월 7일자, 1949년 8월 7일자, 1949년 8월 11일자, 1949년 8월 12일자" 2008

      10 매일신보, "1945년 8월 16일자, 1945년 10월 15일자, 1945년 10월 16일자, 1945년 10월 27일자, 1945년 11월 8일자" 2008

      11 동아일보, "1945년 12월 22일자, 1946년 11월 13일자, 1946년 11월 14일자, 1946년 11월 24일자, 1946년 12월 12일자, 1947년 3월 2일자, 1947년 4월 2일자, 1948년 7월 16일자" 2008

      12 자유신문, "1945년 10월 16일자"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3 0.83 0.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3 0.76 1.277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