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어러니 야노시의「웨일즈의 음유시인」연구 = A study on Janos Arany’s “The Bards of Wal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366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헝가리에서 1848년 3월 15일에 일어난 혁명은 독립을 쟁취하기 위한 범민족적인 정치운동으로, 후일 독립전쟁으로 이어진다. 이 전쟁에서 패배한 9년 뒤, 1857년 합스부르크의 프란츠 요제프 1...

      헝가리에서 1848년 3월 15일에 일어난 혁명은 독립을 쟁취하기 위한 범민족적인 정치운동으로, 후일 독립전쟁으로 이어진다. 이 전쟁에서 패배한 9년 뒤, 1857년 합스부르크의 프란츠 요제프 1세 부부가 헝가리를 첫 방문하면서 어러니 야노시에게 환영시를 의뢰하는데, 시인은 황제 부부를 환영하는 대신 패전으로 좌절한 헝가리 민중을 격려하기 위하여 이 발라드를 썼다. 시의 소재는 영국의 에드워드 1세 왕이 무자비하게 웨일즈를 점령한 뒤 몽고메리 성에서 연회를 베푼 역사적 사건이다. 연회에 나온 음유시인들은 왕을 칭송하는 노래가 아니라 그를 꾸짖고 저주하는 노래를 부르다가 화형을 당한다. 이 발라드는 민중발라드가 가진 기본 특징을 모두 갖추고 있으며, 여기서 한층 발전된 완숙한 형식미와 정제된 내용이 사건의 삼단계적 발전과정을 통해 도입-전개-결말의 일직선으로 진행되는 예술발라드이다. 내용적으로 가장 중요한 점은 에드워드 왕이 정복자로서 많은 무고한 생명을 죽이는 죄를 저지르며, 그 죄를 속죄하는 과정 ? 온전한 정신을 잃어가는 과정을 묘사하여 죄와 속죄의 모티브를 보여준 점이다. 어러니는 죄를 지은 사람에게 사법적 처리를 하는 것이 벌이 아니라, 스스로 자신이 저지른 벌을 인지하고 정화하는 시간과 상황을 가지도록 하여 죄의 사슬을 끊게 해야 한다는 기독교적 윤리관을 지니고 있었다. 그러므로 발라드의 결말에서도 누구도 처벌할 수 없는 절대군주 에드워드 왕이 스스로 양심의 가책을 받아 밤마다 환청에 시달리며 잠을 이루지 못하는 속죄의 과정이 나타난다. 이 발라드는 독립을 염원한 당시 헝가리의 시대정신을 반영하며, 패전으로 실의에 빠져 있던 민중에게 이방의 지배자들이 저지른 악행과 그들이 미래에 거쳐야하는 속죄의 과정을 보여줌으로써 헝가리 민중에게 위로를 주는 역사적인 의미를 지닌 작품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ungarian Revolution of 1848, which took place on March 15th, 1848, was a pan-national movement to achieve independence, and developed into a war of independence where many young men voluntarily participated. In 1857, nine years after the defeat in wa...

      Hungarian Revolution of 1848, which took place on March 15th, 1848, was a pan-national movement to achieve independence, and developed into a war of independence where many young men voluntarily participated. In 1857, nine years after the defeat in war, Franz Joseph I. of the Habsburg visited Hungary and requested a welcoming poem to a poet, Janos Arany. Arany, instead of writing a poem that gave Franz Joseph I a welcome, composed a poem that consoled the Hungarian people in despair from the lost war. The subject matter of the poem was a historical event, when King Edward I of England held a banquet after seizing Wales ruthlessly. The troubadours did not sing songs that praised the king at the banquet, but sang songs that admonished him. They were burnt at the stake for their lack of loyalty. Arany’s poem possesses the beauty of form that is more advanced than that of the folk ballads. It is also an art ballad refined in terms of its contents, unfolding the introduction ? the development ?the ending through a three-phased process of advancement. Arany artistically described the crime King Edward I committed as a conqueror, the process of atonement, and his madness that followed. The relationship between crime and punishment Arany proposed in the poem shows Calvinistic view of ethics. Instead of punishing King Edward, the sinner, judicially, the poet suggested that a chain of crime can only be broken when one acknowledges his or her sin and allows time and circumstances to purify oneself. Thus, the process of atonement was revealed in the ending; the king free from judicial punishment hallucinated sounds and finally lost his mind from the guilt. The ballad reflects the sprit of the age and is conceded as a masterpiece with literary and historical valu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헝가리에서 1848년 3월 15일에 일어난 혁명은 독립을 쟁취하기 위한 범민족적인 정치운동으로, 후일 독립전쟁으로 이어진다. 이 전쟁에서 패배한 9년 뒤, 1857년 합스부르크의 프란츠 요제프 1...

      헝가리에서 1848년 3월 15일에 일어난 혁명은 독립을 쟁취하기 위한 범민족적인 정치운동으로, 후일 독립전쟁으로 이어진다. 이 전쟁에서 패배한 9년 뒤, 1857년 합스부르크의 프란츠 요제프 1세 부부가 헝가리를 첫 방문하면서 어러니 야노시에게 환영시를 의뢰하는데, 시인은 황제 부부를 환영하는 대신 패전으로 좌절한 헝가리 민중을 격려하기 위하여 이 발라드를 썼다. 시의 소재는 영국의 에드워드 1세 왕이 무자비하게 웨일즈를 점령한 뒤 몽고메리 성에서 연회를 베푼 역사적 사건이다. 연회에 나온 음유시인들은 왕을 칭송하는 노래가 아니라 그를 꾸짖고 저주하는 노래를 부르다가 화형을 당한다. 이 발라드는 민중발라드가 가진 기본 특징을 모두 갖추고 있으며, 여기서 한층 발전된 완숙한 형식미와 정제된 내용이 사건의 삼단계적 발전과정을 통해 도입-전개-결말의 일직선으로 진행되는 예술발라드이다. 내용적으로 가장 중요한 점은 에드워드 왕이 정복자로서 많은 무고한 생명을 죽이는 죄를 저지르며, 그 죄를 속죄하는 과정 ? 온전한 정신을 잃어가는 과정을 묘사하여 죄와 속죄의 모티브를 보여준 점이다. 어러니는 죄를 지은 사람에게 사법적 처리를 하는 것이 벌이 아니라, 스스로 자신이 저지른 벌을 인지하고 정화하는 시간과 상황을 가지도록 하여 죄의 사슬을 끊게 해야 한다는 기독교적 윤리관을 지니고 있었다. 그러므로 발라드의 결말에서도 누구도 처벌할 수 없는 절대군주 에드워드 왕이 스스로 양심의 가책을 받아 밤마다 환청에 시달리며 잠을 이루지 못하는 속죄의 과정이 나타난다. 이 발라드는 독립을 염원한 당시 헝가리의 시대정신을 반영하며, 패전으로 실의에 빠져 있던 민중에게 이방의 지배자들이 저지른 악행과 그들이 미래에 거쳐야하는 속죄의 과정을 보여줌으로써 헝가리 민중에게 위로를 주는 역사적인 의미를 지닌 작품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ungarian Revolution of 1848, which took place on March 15th, 1848, was a pan-national movement to achieve independence, and developed into a war of independence where many young men voluntarily participated. In 1857, nine years after the defeat in wa...

      Hungarian Revolution of 1848, which took place on March 15th, 1848, was a pan-national movement to achieve independence, and developed into a war of independence where many young men voluntarily participated. In 1857, nine years after the defeat in war, Franz Joseph I. of the Habsburg visited Hungary and requested a welcoming poem to a poet, Janos Arany. Arany, instead of writing a poem that gave Franz Joseph I a welcome, composed a poem that consoled the Hungarian people in despair from the lost war. The subject matter of the poem was a historical event, when King Edward I of England held a banquet after seizing Wales ruthlessly. The troubadours did not sing songs that praised the king at the banquet, but sang songs that admonished him. They were burnt at the stake for their lack of loyalty. Arany’s poem possesses the beauty of form that is more advanced than that of the folk ballads. It is also an art ballad refined in terms of its contents, unfolding the introduction ? the development ?the ending through a three-phased process of advancement. Arany artistically described the crime King Edward I committed as a conqueror, the process of atonement, and his madness that followed. The relationship between crime and punishment Arany proposed in the poem shows Calvinistic view of ethics. Instead of punishing King Edward, the sinner, judicially, the poet suggested that a chain of crime can only be broken when one acknowledges his or her sin and allows time and circumstances to purify oneself. Thus, the process of atonement was revealed in the ending; the king free from judicial punishment hallucinated sounds and finally lost his mind from the guilt. The ballad reflects the sprit of the age and is conceded as a masterpiece with literary and historical valu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들어가는 글
      • Ⅱ. 작품의 배경
      • Ⅲ. 내용 분석
      • Ⅳ. 형식적 분석
      • [국문초록]
      • Ⅰ. 들어가는 글
      • Ⅱ. 작품의 배경
      • Ⅲ. 내용 분석
      • Ⅳ. 형식적 분석
      • Ⅴ. 모티브 분석
      • Ⅵ. 맺는 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Péterfy Jenő, Budapesti Szemle 161-176,

      2 Keresztury Dezső, "így élt Arany János" Akadémiai Kiadó 1974

      3 "http://www.mult-kor.hu/20100312_a_forradalom_elfeledett_hosei?pIdx=2http://erettsegi.com/tetelek/irodalom/a-ballada-es-arany/"

      4 "http://www.mozaweb.hu/Lecke-Magyar_nyelv_es_irodalom-Irodalom_6-Ar any_Janos_A_walesi_bardok-107593"

      5 "http://www.literatura.hu/irok/romantik/arany.htm"

      6 "http://www.csesznekinyar.hu/magyar/oldalak/wb/"

      7 "http://www.amilapunk.hu/eozin/jartamban/volt%20egyszer%20egy%20kialli tas/zichybp3/zichybp3"

      8 "http://patacsipilvax.hu/2012/10/06/az-aradi-golgota/"

      9 "html http://mupa.hu/program/karl-jenkins-a-walesi-bardok-8211-kantata-2011-06-21_19-30-bbnh"

      10 Péterfy Jenő, "Válogatott Művei" Szépirodalmi Könyvkiadó 632-638, 1983

      1 Péterfy Jenő, Budapesti Szemle 161-176,

      2 Keresztury Dezső, "így élt Arany János" Akadémiai Kiadó 1974

      3 "http://www.mult-kor.hu/20100312_a_forradalom_elfeledett_hosei?pIdx=2http://erettsegi.com/tetelek/irodalom/a-ballada-es-arany/"

      4 "http://www.mozaweb.hu/Lecke-Magyar_nyelv_es_irodalom-Irodalom_6-Ar any_Janos_A_walesi_bardok-107593"

      5 "http://www.literatura.hu/irok/romantik/arany.htm"

      6 "http://www.csesznekinyar.hu/magyar/oldalak/wb/"

      7 "http://www.amilapunk.hu/eozin/jartamban/volt%20egyszer%20egy%20kialli tas/zichybp3/zichybp3"

      8 "http://patacsipilvax.hu/2012/10/06/az-aradi-golgota/"

      9 "html http://mupa.hu/program/karl-jenkins-a-walesi-bardok-8211-kantata-2011-06-21_19-30-bbnh"

      10 Péterfy Jenő, "Válogatott Művei" Szépirodalmi Könyvkiadó 632-638, 1983

      11 Gero von Wilpert, "Sachwörterbuch der Literatur" Alfred Kröner Verlag 1969

      12 Kerényi Ferenc, "Matúra Klasszikusok" IKON Kiadó 1993

      13 Vargyas Lajos, "Magyar népballadák" Európa könyvkiadó 1994

      14 Keresztury Dezső, "Kapcsos könyv" Magyar Helikon-Akadémiai Kiadó 1977

      15 Makkai Ádam, "In Quest of ‘Miracle Stag’: The poetry of Hungary" Chicago – London 1996

      16 Lázár Aladár, "Hungary - A Brief History" Corvina 1990

      17 Hanák Péter, "History of Hungary from earliest times until the present day" Corvina Kiadó 1988

      18 Alföldy Jenő, "Arany és Petőfi levelezése" Mágus Kiadó 1995

      19 J. Soltész Katalin, "Arany János verselése" Akadémiai Kiadó 1987

      20 Dávidházi Péter, "Arany János kritikusi öröksége" Argumentum Kiadó 1994

      21 Németh G. Béla, "Arany János" Magvető 7-41, 1970

      22 Somogyi Sándor, "A magyar irodalom története, IV." Akadémiai Kiadó 196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1 0.3 0.703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